연암 한문단편소설의 현실인식

 1  연암 한문단편소설의 현실인식-1
 2  연암 한문단편소설의 현실인식-2
 3  연암 한문단편소설의 현실인식-3
 4  연암 한문단편소설의 현실인식-4
 5  연암 한문단편소설의 현실인식-5
 6  연암 한문단편소설의 현실인식-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연암 한문단편소설의 현실인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논문요약
1. 머리말
2. 방경각외전의 현실인식
2.1 우도와 신의의 문제
2.2 인재등용의 문제
2.3 양반사회의 부도덕성 문제
3. 맺음말

Ⅱ. 문제제기
본문내용
Ⅰ. 논문요약

1. 머리말

연암(燕巖) 박지원(1737~1805)은 조선 후기의 문학가이다. 그는 당시의 사회 현실을 문학을 통하여 풍자하였다.
연암은 작가 자신이 처한 현실의 문제를 문학의 대상으로 삼아야 개성적이고 독창적인 글이 창조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사실주의 문학을 바탕으로 열하일기를 비롯하여 많은 글들을 저술하였다. 그 중 의 9편의 소설과 , 등은 소설사에서 많은 관심이 주어졌다.
그가 살았던 18C 조선 후기 사회는 국내외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던 전환기였다. 국내적으로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국가적 위기를 수습할 수 없는 성리학에 대한 반감으로 실학이 대두 되었다. 국외적으로는 청의 등장과 문물의 발달로 북학론이 등장하게 되었다. 실학은 다시 경세치용(經世致用), 이용후생(利用厚生), 실사구시(實事求是) 등으로 나오는데 연암은 상공업의 발전과 농업생산기술의 개혁을 주요 관심사로 하던 이용후생파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용후생적 모습뿐만 아니라 토지제도, 인재등용에 관심을 가졌으며 새로운 윤리관, 민족주의적 사고등 기존의 봉건적 질서에 대한 새로운 사고를 모색했다는 점도 간과할 수는 없다. 특히 문단에서는 당시의 문단풍조에 대한 도전과 실천적인 모습을 보였다.
지금까지의 연암의 한문단편소설들에 대한 연구는 그가 실학자로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물론 그 연구들의 상당한 성과를 거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지나치게 작품들을 실학과 북학사상과 연결을 짓다 보니 작품에 따라 오류에 빠지기도 하였다. 이러한 이유는 그의 작품을 그의 생애를 면밀히 관찰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생긴 일이다.
예를 들어 20대 초반의 연암의 작품과 40대에 쓴 작품을 같은 시각으로 연구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는 것이다. 연암의 생애를 고찰해 보면 청년기, 장년기, 노년기에 따라 사회를 보는 시각이 다름을 알 수 있다. 그의 작품이 대부분 풍자적 요소가 있는 것은 사실이나 작품에 담긴 사상과 사회를 바라보는 시각은 서로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세 전후에서 30세 초반에 쓰인 은 실학사상보다는 인간사회의 윤리 도덕적 측면에 더 큰 관심을 보인 작품이다.

2. 의 현실인식

에는 9편의 한문단편소설이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들은 그를 둘러싸고 있던 현실의 구조적 모순에 대한 고민 속에서 창작된 것이다.
의 첫머리에는 오륜(五倫)에서 붕우유신(朋友有信)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각 작품의 저술동기를 간단하게 나타내었다. 이는 에 담긴 9편 전편의 내용을 포괄적으로 담을 수 있는 오륜에 대한 견해이다. 오륜(五輪)에서 붕우유신(朋友有信)이 가장 마지막에 나오지만 다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내용이다. 이는 연암이 다른 것들보다도 신의(信義)를 중요시했음을 알 수 있다. 부자·군신·장유·부부의 관계는 태어날때부터 맺어지거나 혹은 한번 맺어지면 쉽게 그 관계를 끊을 수 없지만 친구 관계는 언제든지 가변적인 관계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복잡한 인간관계에서 교우(交友)관계는 신의(信義)로 맺어져야지만 참다운 관계라고 설명하였다. 연암은 당시 교우(交友)관계가 권세와 명예, 이익에 따라 맺어지는 것에 대하여 불만을 가지고 이를 소설을 통해 풍자한 것이 의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