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론] 공사상을 통해 살펴본 `구운몽`의 주제의식

 1  [고전소설론] 공사상을 통해 살펴본 `구운몽`의 주제의식-1
 2  [고전소설론] 공사상을 통해 살펴본 `구운몽`의 주제의식-2
 3  [고전소설론] 공사상을 통해 살펴본 `구운몽`의 주제의식-3
 4  [고전소설론] 공사상을 통해 살펴본 `구운몽`의 주제의식-4
 5  [고전소설론] 공사상을 통해 살펴본 `구운몽`의 주제의식-5
 6  [고전소설론] 공사상을 통해 살펴본 `구운몽`의 주제의식-6
 7  [고전소설론] 공사상을 통해 살펴본 `구운몽`의 주제의식-7
 8  [고전소설론] 공사상을 통해 살펴본 `구운몽`의 주제의식-8
 9  [고전소설론] 공사상을 통해 살펴본 `구운몽`의 주제의식-9
 10  [고전소설론] 공사상을 통해 살펴본 `구운몽`의 주제의식-10
 11  [고전소설론] 공사상을 통해 살펴본 `구운몽`의 주제의식-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소설론] 공사상을 통해 살펴본 `구운몽`의 주제의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1.연구방향
2.『구운몽』에 대한 기존 논의
2-1)원본에 대한 논의
2-2)작가에 대한 논의
2-3)주제에 대한 논의
Ⅱ본론
1. 김만중의 불교사상
2. 공(空)사상의 개념
3. 구운몽에서 나타나는 공(空)사상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Ⅰ서론

1.연구방향
국문학을 배운 학생은 물론이고 일반 대중을 포함하더라도 『구운몽』을 모르는 이는 찾아보기가 힘들다. 특별한 한문 소양이 없더라도 읽을 수 있는 번역서가 다수 존재하고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통해서도 쉽게 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게 『구운몽』은 성진의 일장춘몽과 그에 대한 허무의식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과거 동시대의 이본 사이에도 번역상의 오류나 차이가 있고, 줄거리나 지나치게 단순화시킨 번역본의 일부분만을 보는 상황들은 『구운몽』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줄 수 있다. 또 『구운몽』의 구조를 간략화시켜 '현실-꿈-현실'의 과정을 통한 성진의 허무감에만 초점을 맞추고, 『구운몽』의 주제를 부귀영화에 대한 허무라고 보는 것은 『구운몽』의 소설적 가치를 제대로 끌어내지 못한 시각이다.
이러한 접근은 허황된 꿈을 버리라는 교훈이 내재된 각 나라의 사상누각담과 같은 수준에 『구운몽』을 머무르게 할 뿐이다. 『구운몽』의 진정한 가치는 금강경에 나타난 불교의 공(空)사상을 소설의 골격구조로 문학화시켜 심미적이고 교훈적인 면모를 보이는 데 있다. 이에 임명덕 교수의 한문본을 바탕으로 『구운몽』이 담고자한 주제의식을 깊이 있게 이해해 보려했다.

2.『구운몽』에 대한 기존 논의

2-1)원본에 대한 논의
고소설에 대한 연구에서 원본에 대한 확정은 반드시 집고 넘어가야 하는 부분이다. 원본이 확정되지 않으면 필사 과정에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이본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구운몽』의 경우는 최초에 창작될 당시 한글로 쓰였는지, 한문으로 쓰였는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정규복 교수는 강진섭 교수가 소장한 ‘노존B본’을 원본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 보고 ‘노존B본’을 바탕으로 한 한문이본이 나오거나 한글번역을 통해 한글본이 나왔다고 주장한다.
한글 원작설을 지지하는 의견은 현재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한글본인 ‘규장각본’을 원본에 가까운 것으로 보고 있다. 한글원작설의 주된 근거는 『서포연보』에 나오는 김만중이 어머니를 위로하기 위해 『구운몽』을 지었다는 기록과, 김만중이 한글소설을 여러 편 지었으며 부녀자에게 읽힐 목적으로 「남정기」를 한글로 지었다는 김춘택의 기록이다. 즉 김만중이 노모를 위해 『구운몽』을 지었으면 당연히 한글로 짓지 않았겠냐는 논리이다. 하지만 이 주장은 직접적인 증거가 부족하며, 김만중의 어머니인 윤부인은 어린 시절 김만중에게 한문 교육을 했을 정도로 소설을 읽기에는 충분한 한문 실력을 지니고 있었기에 한글원작설의 주장은 기반이 약해질 수밖에 없다.
원본에 대한 논의는 직접적인 증거를 바탕으로 이뤄져야한다. 따라서 원본에 대한 논란이 사라지기 위해서는 가장 오래된 한문본인 ‘노존B본’이나 가장 오래된 한글본인 ‘규장각본’이외에 추가적인 자료의 발견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만중,『西浦集』券6
김만중 저, 홍인균 역주,『西浦漫筆』, 일지사, 1987
김병국,『서포 김만중의 생애와 문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金鎭圭,『竹泉集』券之 三十五「西浦先生府君[金萬重]行狀」
金昌翕,「西浦集序」,『三淵集』卷23
박성재, 「『西浦漫筆』을 통해 본 金萬重의 佛敎觀」, 慶尙大學校大學院 석사학위논문, 2006
설성경·박태상 『고소설의 구조와 의미』 새문사
정길수, 『구운몽 다시읽기』, 돌베개, 2010
조동일 『구운몽과 금강경, 무엇이 문제인가 김만중 연구』 새문사 1983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최인학 『구전설화연구』 새문사 1995
현성 스님, 「금강경강의」, 대한불교 조계종 불타사(시카고), 현광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