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 활동을 통한 치료

 1  예술 활동을 통한 치료-1
 2  예술 활동을 통한 치료-2
 3  예술 활동을 통한 치료-3
 4  예술 활동을 통한 치료-4
 5  예술 활동을 통한 치료-5
 6  예술 활동을 통한 치료-6
 7  예술 활동을 통한 치료-7
 8  예술 활동을 통한 치료-8
 9  예술 활동을 통한 치료-9
 10  예술 활동을 통한 치료-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예술 활동을 통한 치료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주제 선정의 동기


Ⅱ. 본론

1. 미술치료
1-1. 미술치료의 정의
1-2. 미술치료의 목적 및 효과
1-3. 미술치료의 종류
1-4. 미술치료의 사례

2. 음악치료
2-1. 음악치료(music therapy)의 정의
2-2. 음악치료의 목적 및 효과
2-3. 음악치료의 종류
2-4. 음악치료의 사례

3. 무용치료
3-1. 무용치료(dance therapy)의 정의
3-2. 무용치료의 목적 및 효과
3-3. 무용치료의 사례

4. 놀이치료
4-1. 놀이치료의 정의
4-2. 놀이치료의 목적 및 효과
4-3. 놀이치료의 종류
4-4. 놀이치료의 사례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주제 선정의 동기

2011년 우리나라 자살자 수는 15,403명, 2010년에 15,566명 을 조사되었다. 자살자 수가 전년도에 비해 줄기는 하였지만, 여전히 많은 숫자이다. 뿐만 아니라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를 비율적으로 계산하여 보면 우리나라는 세계 2위이며, 이는 매일 42명이라는 적지 않은 수의 사람들이 극단적인 수단으로 세상을 떠난다. 이와 같이 많은 수의 사람들이 극단적인 수단으로 매일 세상을 등진다. 그들 대다수는 심리적 불안이나 고통(우울증을 예로 들 수 있다.)을 느꼈으며, 죽음만이 모든 것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와 같이 되돌릴 수 없는 선택을 했을 것이다.
이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현대의학으로 개발된 약들은 한계가 있음과 환자의 심리적 불안이나 고통을 치료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우리는 개인 또는 집단의 심리적 불안 및 고통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이에 우리는 심리학과 예술을 연관시켜 예술심리치료라는 분야를 생각해 보았다.
우리나라에서는 1992년 한국미술치료학회를 필두로 분리된 형태의 예술심리치료가 시작되었고, 2000년에 접어들어 통합된 형태의 예술심리치료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이제 시작 단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에 우리나라 예술심리치료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는 이에 관심을 가지고 보다 예술심리치료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예술심리치료의 종류마다 정확한 의미를 알고, 그것들의 사례를 조사한다.



Ⅱ. 본론


1. 미술치료

1-1. 미술치료의 정의

미술치료는 미술과 치료가 융합된 단어이다. 미술치료란 용어의 의미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장연집(2009)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눈다. 첫째는 미술이 치료를 수식하는 형용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경우이다. 미술이란 기능은 치료를 위한 보조적인 기능을 하게 된다. 때로는 치료의 부분을 만족시켜주기 위해 매우 축소 또는 변형되기도 한다.
둘째는 미술이 미술치료의 특수성을 발현시켜주는, 없어서는 안 되는 매우 중요한 존재적 의미를 지니는 명사로서 사용되는 경우이다. 이 같은 미술은 치료와 동등한 힘을 가지게 된다. 이 경우의 미술은 그 기능이 매우 축소되고 미술언어 또는 시각언어로의 변형을 요망하게 된다. 미술치료에서 미술이 지니는 힘의 크기는 당연히 명사적으로 사용되어질 때 더 크게 부각되게 된다.
1-2. 미술치료의 목적 및 효과

미술치료는 주로 사람들이 정상적인 사고, 기능, 발달 등을 할 수 있도록 치료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령이 어리거나, 나이 많은 노인, 정신적 질환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더욱 효과적이다. 비언어적인 미술은 거부감이 적고 말로는 표현할 수 없는 자신의 내면의 깊은 곳까지 표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니움버그(Naumburg)는 억압된 것은 이미지를 통하여 ‘표출’한하는 것이 치료적일뿐만이 아니라 정화가 되면서 동시에 의사소통에 효과가 있음을 알아냈다. 프로이드(Freud) 역시 “아동은 자유연상을 할 준비성이 결여 되었다는 점에서 그림사용이 의사소통을 더 용이하게 해준다는 사실을 강조하였다(김정희, 2010에서 재인용).”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