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법]환경오염과 행정소송에 관한 연구

 1  [행정법]환경오염과 행정소송에 관한 연구-1
 2  [행정법]환경오염과 행정소송에 관한 연구-2
 3  [행정법]환경오염과 행정소송에 관한 연구-3
 4  [행정법]환경오염과 행정소송에 관한 연구-4
 5  [행정법]환경오염과 행정소송에 관한 연구-5
 6  [행정법]환경오염과 행정소송에 관한 연구-6
 7  [행정법]환경오염과 행정소송에 관한 연구-7
 8  [행정법]환경오염과 행정소송에 관한 연구-8
 9  [행정법]환경오염과 행정소송에 관한 연구-9
 10  [행정법]환경오염과 행정소송에 관한 연구-10
 11  [행정법]환경오염과 행정소송에 관한 연구-11
 12  [행정법]환경오염과 행정소송에 관한 연구-12
 13  [행정법]환경오염과 행정소송에 관한 연구-13
 14  [행정법]환경오염과 행정소송에 관한 연구-14
 15  [행정법]환경오염과 행정소송에 관한 연구-15
 16  [행정법]환경오염과 행정소송에 관한 연구-16
 17  [행정법]환경오염과 행정소송에 관한 연구-17
 18  [행정법]환경오염과 행정소송에 관한 연구-18
 19  [행정법]환경오염과 행정소송에 관한 연구-19
 20  [행정법]환경오염과 행정소송에 관한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행정법]환경오염과 행정소송에 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제1장 서론 1
Ⅰ. 문제의 제기 1
Ⅱ. 연구의 범위 2
Ⅲ. 환경오염의 개념 2
Ⅳ. 환경오염의 비교법적고찰 3
1. 영미법의 Nuisance 개념 3
2. 독일의 Immission 개념 3
3. 프랑스의 근린방해(Troubles de voisinage) 개념 4
4. 일본의 공해 개념 4
5. 우리 나라의 경우 4
Ⅴ. 환경오염의 특성 5
1. 원인 유형의 다양성 5
2. 피해의 광역성과 다중성 5
3. 침해의 간접성 6
4. 피해의 누적성·계속성 6
5. 피해자 및 가해자의 특정인 6
6. 허용된 행위에 의한 침해성 6
7. 지위의 비호환성 6
8. 오염의 상승·심화성 및 자기 증식성 7
9. 오염의 불가역성 7
10. 외부 불경제성 7
제2장 환경권 실현을 위한 환경법의 기본원칙 7
Ⅰ. 사전배려의 원칙(Vorsorgeprizip) 8
Ⅱ. 존속보호의 원칙(Bestandsschutzprinzip) 9
Ⅲ. 원인자책임의 원칙(Verursacherprinzip) 9
Ⅳ. 협동의 원칙(Kooperationsprinzip) 10
Ⅴ. 공동부담의 원칙(Gemeinlastprinzip) 10
제3장 환경권의 법리 11
Ⅰ. 환경권의 의의 11
Ⅱ. 환경권법리의 전개 11
1. 환경권의 사상적 배경 12
2. 각국의 입법례 13
(1) 미국에서의 환경권의 보호 13
(2) 일본의 환경권 14
(3) 독일의 환경권 14
Ⅲ. 우리 나라에서의 환경권의 성립 15
Ⅳ. 환경권의 내용 16
1. 환경권의 실체적 내용 16
2. 환경권의 주체 16
3. 법적 성격 17
4. 환경권의 효력 18
(1). 대국가적 효력 18
(2) 대사인적 효력 18
5. 환경권의 제한과 그 한계 19
(1) 환경권의 제한 19
(2) 환경권 제한의 한계 20
6. 환경권의 특징 20
제4장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구제 21
Ⅰ. 행정적 구제-환경오염피해분쟁조정제도 21
1. 환경오염피해분쟁의 특징 21
(1) 원인유형의 다양성 21
(2) 피해의 광역성과 다양성 21
(3) 원인의 불명확성 21
(4) 위법·유책성의 구성의 어려움 22
(5) 시간과 비용의 과중 22
(6) 배상능력의 한계 22
2. 환경오염피해분쟁조정제도의 의의 22
3. 환경오염피해분쟁조정법의 주요 내용 23
(1) 환경오혐피해분쟁조정 대상 23
(2) 환경오염피해분쟁기구 23
1)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23
2) 지방환경분쟁조정위원회 23
3) 위원회 보조기구 23
(3) 환경오염피해분쟁조정제도의 문제점 24
Ⅱ. 사법적 구제 24
1.민사소송에 의한 피해구제 24
(1) 손해배상청구 25
1) 고의·과실 25
2) 위법성 25
3) 인과관계의 입증 26
4) 불특정다수의 원인행위의 책임분담 관계 26
(2) 유지청구 27
1) 의의 27
2) 법적 근거 27
3) 내용 27
(3) 환경민사소송의 한계 28
Ⅲ. 환경행정상 손해전보제도 28
1. 국가배상청구제도(행정상 손해배상) 29
2. 행정상 손실보상 30
1) 의의 30
2) 수용유사침해보상과 수용적침해보상 30
3. 지역주민 지원제공 31
제5장 행정소송상 구제(환경행정소송: 취소소송과 원고적격) 32
Ⅰ. 환경행정소송 의의 32
Ⅱ. 취소소송 의의 33
Ⅲ. 원고적격(소의 이익)의 판정기준 34
1. 권리향수회복설(권리구제설, 권리회복설) 34
2. 법률상 보호되는 이익구제설(법률상이익구제설, 법적이익구제설) 34
3. 보호가치 있는 이익구제설(이익구제설, 보호가치이익설) 35
4. 처분의 위법성 보장설 35
5. 소결 36
Ⅳ. 원고적격의 확대 36
1. 미국의 Standing(원고적격)의 법리 36
2. 독일의 원고적격 법리 37
3. 일본의 원고적격 법리 39
4. 우리 대법원의 판례 40
Ⅴ. 처분성개념의 확대 41
Ⅵ. 행정개입청구권 42
1. 의의 42
2. 행정개입청구권의 인정에 관한 학설 43
3. 행정개입청구권의 성립요건 44
(1) 개인의무의 발생 44
(2) 사익보호성 44
4. 현행법상의 행정개입청구소송 45
Ⅶ. 환경행정소송으로서의 의무이행소송의 가능성 45
1. 의의 45
2. 의무이행소송의 인정에 관한 학설 45
(1) 소극설 46
(2) 적극설 46
(3) 절충설(제한적 허용설) 47
3. 각국의 입법례 47
(1) 영·미의 경우 47
(2) 독일의 경우 47
(3) 일본의 경우 47
4. 우리 나라에의 도입가능성 48
Ⅷ. 환경행정소송으로서의 집단소송(대표소송·단체소송) 48
1. 환경법상의 의의 49
2.미국의 집단 소송 49
1) 의의 49
2) 성질 49
3) 요건 49
4) 적용범위 49
5) 효과 50
3. 독일의 단체소송 50
1) 의의 50
2) 성질 50
3) 종류 50
4. 우리 나라에의 도입가능성 50
제6장 결론 51
53
본문내용
환경권(environmental right, recht auf umweltschutz)의 의의에 대해서는 근대 시민법이 예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규범으로 구상된 권리개념 김범주, 환경권침해에 관한 공법적 보호와 규제, 성균관대박사학위논문, 1986, p.10. 이기 때문에 학자들간에 견해의 대립이 있다. 즉 ① 깨끗한 환경에서 건강하고 쾌적한 생활을 할 권리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1996, pp.559-560. ② 인간다운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는 권리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1995, p.496. ③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공해 없는 생활을 누릴 수 있는 권리 허영, 한국한법론, 박영사, 1990, p.423. ④쾌적한 환경에서 살 권리 구병삭, 신헌법학원론, 박영사, 1989, p.583. ⑤ 환경침해로 인한 재산과 신체 또는 생명의 침해를 배제할 수 있는 배타적인 권리 구연창, 환경법론, 법문사, 1993, p.75. 등 그 정의를 달리 하고 있으나 이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해 본다.
먼저 좁은 의미의 환경권은 ‘오염되거나 불결한 환경으로부터 건강을 훼손 당하거나 훼손 당할 위험에 놓인 자가 오염되거나 불결한 환경에 대하여 책임이 있는 공권력이나 제3자에 대하여 그 원인을 예방 또는 배제하여 주도록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따라서 환경권을 침해하는 공해에 대해서는 공해배제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권리의 침해에 대해서는 손해배상청구권을 가지게 된다. 또한 현실적으로 환경파괴가 행하여지지 않더라도 그 위험성이 있는 경우에는 예방청구권
참고문헌
김범주, 환경권침해에 관한 공법적 보호와 규제, 성균관대박사학위논문, 1986,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1996,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1995
병삭, 신헌법학원론, 박영사,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