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시조 산중가, 송인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곡,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오우가, 조선시대 시조 부운거사 작품분석, 현대 시조 소녀꽃장수 작품분석

 1  고려 시조 산중가, 송인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곡,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오우가, 조선시대 시조 부운거사 작품분석, 현대 시조 소녀꽃장수 작품분석-1
 2  고려 시조 산중가, 송인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곡,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오우가, 조선시대 시조 부운거사 작품분석, 현대 시조 소녀꽃장수 작품분석-2
 3  고려 시조 산중가, 송인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곡,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오우가, 조선시대 시조 부운거사 작품분석, 현대 시조 소녀꽃장수 작품분석-3
 4  고려 시조 산중가, 송인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곡,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오우가, 조선시대 시조 부운거사 작품분석, 현대 시조 소녀꽃장수 작품분석-4
 5  고려 시조 산중가, 송인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곡,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오우가, 조선시대 시조 부운거사 작품분석, 현대 시조 소녀꽃장수 작품분석-5
 6  고려 시조 산중가, 송인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곡,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오우가, 조선시대 시조 부운거사 작품분석, 현대 시조 소녀꽃장수 작품분석-6
 7  고려 시조 산중가, 송인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곡,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오우가, 조선시대 시조 부운거사 작품분석, 현대 시조 소녀꽃장수 작품분석-7
 8  고려 시조 산중가, 송인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곡,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오우가, 조선시대 시조 부운거사 작품분석, 현대 시조 소녀꽃장수 작품분석-8
 9  고려 시조 산중가, 송인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곡,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오우가, 조선시대 시조 부운거사 작품분석, 현대 시조 소녀꽃장수 작품분석-9
 10  고려 시조 산중가, 송인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곡,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오우가, 조선시대 시조 부운거사 작품분석, 현대 시조 소녀꽃장수 작품분석-10
 11  고려 시조 산중가, 송인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곡,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오우가, 조선시대 시조 부운거사 작품분석, 현대 시조 소녀꽃장수 작품분석-11
 12  고려 시조 산중가, 송인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곡,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오우가, 조선시대 시조 부운거사 작품분석, 현대 시조 소녀꽃장수 작품분석-12
 13  고려 시조 산중가, 송인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곡,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오우가, 조선시대 시조 부운거사 작품분석, 현대 시조 소녀꽃장수 작품분석-13
 14  고려 시조 산중가, 송인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곡,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오우가, 조선시대 시조 부운거사 작품분석, 현대 시조 소녀꽃장수 작품분석-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 시조 산중가, 송인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곡,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오우가, 조선시대 시조 부운거사 작품분석, 현대 시조 소녀꽃장수 작품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고려시대 시조 산중가 작품분석

산은 유심(幽深)한데, 빽빽한 숲이 담담(潭潭)하여, 누른 고니(鵠)도 그 꼭대기를 넘어가지 못하는구나. 깎아지른 듯 우뚝 솟은 바위들, 굽어보니 막막한 산 그늘엔, 서리와 이슬이 뽀얗게 젖어 있도다. 표범과 잔나비 번갈아 나와 울부짖고, 나는 새 휘돌아 나니 털깃이 너울너울, 밑 없는 굴속에 천둥이 요란하고, 수풀을 뒤흔들며 날개치는 풍신(風神), 돌부리는 내달아 옷을 갈퀴고, 가로지른 나뭇가지는 길을 막아 찌르는구나.
홀로 적막하게 서 있으니, 마치 옛 기초시(祁招詩)에서의 음음(愔愔)인 듯, 멀어서 찾아가지 못하고 산 속 동서를 분간하지 못해 기진맥진하던 차에, 나는 듯 벼랑에 쏟아지는 샘물은 폐부(肺腑)를 시원케 하고 그 맛도 달구나. 손으로 움키니 싸늘한 얼음이요, 얼굴에 비추니 거울이라. 여기저기 돌아다니다가 쉬며 그 소리 들으니 옥패(玉佩)가 쨍그렁 울리는 듯하고, 불을 피워 차를 달아려 하니, 육우(肉牛)의 차 맛도 아쉽도다. 그리운 반곡(盤谷)은 놀 만한데, 한유(韓愈)의 글이 나의 길잡이로다. 도통(道通)을 천 년 만에 이었으니, 그 시내 이름은 염계(송나라 주 돈이의 호)로다. 산중에 혼자 있지만, 모시고 섬길 스승은 있어, 한 말씀 듣고 도를 깨달아 이욕(利慾)의 더러움을 씻고, 마음의 근원을 해맑게 하여, 오직 태극(太極)에만 정신을 쏟으리라.




≪ … 중 략 … ≫




Ⅱ. 고려시대 시조 송인 작품분석

宇歇長堤草色多 비 갠 강둑에는 풀잎이 이들이들
送君南浦動悲歌 남포에 임 보네니 슬픈 노래 북 받치네
大同江水何時盡 어느 제 마르오리 대동강 푸른 물
別淚年年添綠波 해마다 이별 눈물 푸른 물결에 더하네

1. 작품 정리

1) 연대

고려 인종(仁宗) 때

2) 작자

정지상

3) 형식

한시(七言絶句)

4) 압운

평성 ‘가(歌)’ 운인 ‘多, 歌, 波’

5) 주제

이별의 슬픔

6) 출전

동문선. 파한집
본문내용
Ⅰ. 고려시대 시조 산중가 작품분석

산은 유심(幽深)한데, 빽빽한 숲이 담담(潭潭)하여, 누른 고니(鵠)도 그 꼭대기를 넘어가지 못하는구나. 깎아지른 듯 우뚝 솟은 바위들, 굽어보니 막막한 산 그늘엔, 서리와 이슬이 뽀얗게 젖어 있도다. 표범과 잔나비 번갈아 나와 울부짖고, 나는 새 휘돌아 나니 털깃이 너울너울, 밑 없는 굴속에 천둥이 요란하고, 수풀을 뒤흔들며 날개치는 풍신(風神), 돌부리는 내달아 옷을 갈퀴고, 가로지른 나뭇가지는 길을 막아 찌르는구나.
홀로 적막하게 서 있으니, 마치 옛 기초시(祁招詩)에서의 음음(愔愔)인 듯, 멀어서 찾아가지 못하고 산 속 동서를 분간하지 못해 기진맥진하던 차에, 나는 듯 벼랑에 쏟아지는 샘물은 폐부(肺腑)를 시원케 하고 그 맛도 달구나. 손으로 움키니 싸늘한 얼음이요, 얼굴에 비추니 거울이라. 여기저기 돌아다니다가 쉬며 그 소리 들으니 옥패(玉佩)가 쨍그렁 울리는 듯하고, 불을 피워 차를 달아려 하니, 육우(肉牛)의 차 맛도 아쉽도다. 그리운 반곡(盤谷)은 놀 만한데, 한유(韓愈)의 글이 나의 길잡이로다. 도통(道通)을 천 년 만에 이었으니, 그 시내 이름은 염계(송나라 주 돈이의 호)로다. 산중에 혼자 있지만, 모시고 섬길 스승은 있어, 한 말씀 듣고 도를 깨달아 이욕(利慾)의 더러움을 씻고, 마음의 근원을 해맑게 하여, 오직 태극(太極)에만 정신을 쏟으리라.




≪ … 중 략 … ≫




Ⅱ. 고려시대 시조 송인 작품분석

宇歇長堤草色多 비 갠 강둑에는 풀잎이 이들이들
送君南浦動悲歌 남포에 임 보네니 슬픈 노래 북 받치네
大同江水何時盡 어느 제 마르오리 대동강 푸른 물
別淚年年添綠波 해마다 이별 눈물 푸른 물결에 더하네

1. 작품 정리

1) 연대

고려 인종(仁宗) 때

2) 작자

정지상

3) 형식

한시(七言絶句)

4) 압운

평성 ‘가(歌)’ 운인 ‘多, 歌, 波’

5) 주제

이별의 슬픔

6) 출전

동문선. 파한집
참고문헌
1. 김미란, 가사 백발가의 시적 인식과 주제 지향, 고려대학교, 2008
2. 김석회, 어부사시사의 흥과 서정적 특질, 한국어교육학회, 2011
3. 김두삼, 현대시조의 정체성 연구, 동의대학교, 2011
4. 박준규, 윤선도의 오우가 연구, 한국고시가문학회, 1997
5. 이시찬, 송인의 유형의식과 소설쓰기의 분화에 관한 고찰, 중국어문학연구회, 2009
6. 황병익, 도산십이곡의 의미 재고, 한국고시가문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