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별신굿][동해안 별신굿 구성방법][굿놀이][사천진리 별신굿]동해안 별신굿의 정의, 동해안 별신굿의 구성방법, 동해안 별신굿의 굿놀이, 동해안 별신굿의 소요시간, 동해안 별신굿과 사천진리 별신굿 분석

 1  [동해안 별신굿][동해안 별신굿 구성방법][굿놀이][사천진리 별신굿]동해안 별신굿의 정의, 동해안 별신굿의 구성방법, 동해안 별신굿의 굿놀이, 동해안 별신굿의 소요시간, 동해안 별신굿과 사천진리 별신굿 분석-1
 2  [동해안 별신굿][동해안 별신굿 구성방법][굿놀이][사천진리 별신굿]동해안 별신굿의 정의, 동해안 별신굿의 구성방법, 동해안 별신굿의 굿놀이, 동해안 별신굿의 소요시간, 동해안 별신굿과 사천진리 별신굿 분석-2
 3  [동해안 별신굿][동해안 별신굿 구성방법][굿놀이][사천진리 별신굿]동해안 별신굿의 정의, 동해안 별신굿의 구성방법, 동해안 별신굿의 굿놀이, 동해안 별신굿의 소요시간, 동해안 별신굿과 사천진리 별신굿 분석-3
 4  [동해안 별신굿][동해안 별신굿 구성방법][굿놀이][사천진리 별신굿]동해안 별신굿의 정의, 동해안 별신굿의 구성방법, 동해안 별신굿의 굿놀이, 동해안 별신굿의 소요시간, 동해안 별신굿과 사천진리 별신굿 분석-4
 5  [동해안 별신굿][동해안 별신굿 구성방법][굿놀이][사천진리 별신굿]동해안 별신굿의 정의, 동해안 별신굿의 구성방법, 동해안 별신굿의 굿놀이, 동해안 별신굿의 소요시간, 동해안 별신굿과 사천진리 별신굿 분석-5
 6  [동해안 별신굿][동해안 별신굿 구성방법][굿놀이][사천진리 별신굿]동해안 별신굿의 정의, 동해안 별신굿의 구성방법, 동해안 별신굿의 굿놀이, 동해안 별신굿의 소요시간, 동해안 별신굿과 사천진리 별신굿 분석-6
 7  [동해안 별신굿][동해안 별신굿 구성방법][굿놀이][사천진리 별신굿]동해안 별신굿의 정의, 동해안 별신굿의 구성방법, 동해안 별신굿의 굿놀이, 동해안 별신굿의 소요시간, 동해안 별신굿과 사천진리 별신굿 분석-7
 8  [동해안 별신굿][동해안 별신굿 구성방법][굿놀이][사천진리 별신굿]동해안 별신굿의 정의, 동해안 별신굿의 구성방법, 동해안 별신굿의 굿놀이, 동해안 별신굿의 소요시간, 동해안 별신굿과 사천진리 별신굿 분석-8
 9  [동해안 별신굿][동해안 별신굿 구성방법][굿놀이][사천진리 별신굿]동해안 별신굿의 정의, 동해안 별신굿의 구성방법, 동해안 별신굿의 굿놀이, 동해안 별신굿의 소요시간, 동해안 별신굿과 사천진리 별신굿 분석-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해안 별신굿][동해안 별신굿 구성방법][굿놀이][사천진리 별신굿]동해안 별신굿의 정의, 동해안 별신굿의 구성방법, 동해안 별신굿의 굿놀이, 동해안 별신굿의 소요시간, 동해안 별신굿과 사천진리 별신굿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동해안 별신굿의 정의

Ⅲ. 동해안 별신굿의 구성방법

Ⅳ. 동해안 별신굿의 굿놀이
1. 의식성이 강한 무극
2. 예능성이 강한 무극
3. 놀이적인 무극
4. 무와 관중의 역할이 전도된 무극
5. 민속극

Ⅴ. 동해안 별신굿의 소요시간

Ⅵ. 동해안 별신굿과 사천진리 별신굿
1. 당주
2. 무녀와 양중
3. 제관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굿판의 변화와 무가 연구의 방향 설정에 대해 살펴보면,
첫째, 마을굿의 쇠퇴와 함께 개인굿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것은 한국의 공동체 사회가 흔들리고 있는 사회 전반의 현상과도 맞물리는 것으로, 두 가지 양상으로 정리된다. 하나는 현재 남아 있는 마을굿에서 무당보다도 마을 사람들이 영향력을 더 많이 가지게 되었다는 뜻이다. 전북 부안군 위도면 대리 원당제와 용왕굿(띠뱃굿)에서도 무당보다 마을 사람들이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여 굿의 진행을 주관하고 모든 전차를 앞장서서 이끄는 이는 무당이 아니라 보존회 회장이었다. 다른 하나는 개인굿에서도 무당이 굿을 부탁한 재가집의 의도에 맞추어 굿을 진행한다는 것이다. 장편 서사무가 를 구송하던 무당이, 재가집이 지루해하는 눈치를 보이면 그에 맞추어서 구송 시간을 줄이거나 몇 몇 단락을 숫제 빼버리는 서울 지역의 저간의 사정이 이를 증명한다. 한 마디로 마을굿의 쇠퇴와 함께 개인굿의 증가는 무가 전승에서 무당의 영향력이 그만큼 약화되었다는 뜻이다.
둘째, 세습무의 쇠퇴와 강신무의 영역 확장이다. 세습무가 쇠퇴하는 것은 호남지역과 남해안 지역의 일반적인 양상으로 전래되던 단골판은 더 이상 존속하지 않는다. 혈연관계를 바탕으로 풍부한 예능적인 소질을 보이는 동해안 지역을 제외하고는 더 이상 세습무가 살아남을 가능성은 많지가 않다. 앞에서 언급한 위도 원당굿(띠배굿)도 원래 세습무가 주로 진행하는 굿이었다. 그러나 조금례 무녀와 안길녀 무녀 이후 적당한 세습무를 발견하지 못하자 마을에서는 강신무를 데려다가 마을에서 무업을 가르쳐 사제로 이용하는 경우로까지 변화하게 되었다. 원당굿을 거행한 무녀는 서울에서 무업을 하고 있는 강신무 양옥기였다. 마을사람들은 이렇게 해서라도 자신들이 지정받은 띠배굿을 지켜야 한다는 생각을 강하게 가지고 있었다. 남해안 별신굿도 같은 양상을 보여 백정자와 같은 강신무가 지금 중요한 역할을 맡아 하고 있다. 충청도도 동일한 양상을 보인다. 김영진이 1982년에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전체 무당 2030명 중 강신무가 1871명, 세습무가 65명, 학습무가 94명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충청도 지역 무속의 실태를 잘 알려준다.
참고문헌
방승환 - 동해안별신굿의 리듬과 사물놀이 리듬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음악학회, 2007
신환희 - 동해안 별신굿에 나타난 춤의 상징성 연구, 경상대학교, 2008
이균옥 - 동해안 별신굿, 박이정, 1998
조정현 - 동해안별신굿의 토대와 물질문화 전승, 한국무속학회, 2008
최병길 - 동해안 별신굿 장단 연구, 동아대학교, 2009
최병길 - 동해안 별신굿의 장단연구현황 검토, 민족음악학회, 200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