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장군동상`과 `자유의여신상`에 그려진 사회의 모습

 1  `이순신장군동상`과 `자유의여신상`에 그려진 사회의 모습-1
 2  `이순신장군동상`과 `자유의여신상`에 그려진 사회의 모습-2
 3  `이순신장군동상`과 `자유의여신상`에 그려진 사회의 모습-3
 4  `이순신장군동상`과 `자유의여신상`에 그려진 사회의 모습-4
 5  `이순신장군동상`과 `자유의여신상`에 그려진 사회의 모습-5
 6  `이순신장군동상`과 `자유의여신상`에 그려진 사회의 모습-6
 7  `이순신장군동상`과 `자유의여신상`에 그려진 사회의 모습-7
 8  `이순신장군동상`과 `자유의여신상`에 그려진 사회의 모습-8
 9  `이순신장군동상`과 `자유의여신상`에 그려진 사회의 모습-9
 10  `이순신장군동상`과 `자유의여신상`에 그려진 사회의 모습-10
 11  `이순신장군동상`과 `자유의여신상`에 그려진 사회의 모습-11
 12  `이순신장군동상`과 `자유의여신상`에 그려진 사회의 모습-12
 13  `이순신장군동상`과 `자유의여신상`에 그려진 사회의 모습-13
 14  `이순신장군동상`과 `자유의여신상`에 그려진 사회의 모습-14
 15  `이순신장군동상`과 `자유의여신상`에 그려진 사회의 모습-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이순신장군동상`과 `자유의여신상`에 그려진 사회의 모습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순신 장군 동상

1.1. 제작 과정
1.2. 형상과 이미지
1.3. 제작 의도
1.3.1. ‘박정희’와 ‘이순신’
1.3.2. ‘이순신 동상’에 숨겨진 의미
1.4. 한국사회의 파시즘을 보여주는 ‘이순신 동상’

2. 자유의 여신상

2.1. 제작과정
2.2 형상과 이미지
2.3. 제작의도
2.4. 미국사회에 의해 해석되는 ‘자유의 여신상’
2.4.1. ‘이민’의 양면성
2.4.2. 흑인 노예제와 인종주의
2.4.3. 여성의 사회적 불평등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사회에 말을 거는 예술’이란 주제에 맞는 작품을 선택하기 위해 많은 고민을 했다. 하지만 나의 결론은 ‘사회에 말을 걸지 않는 예술이 몇이나 될까’였다. 예술도 사회적 맥락 속에서 행해지는 것이므로 그것이 어떤 방식으로, 어떤 목소리를 내든, 궁극적으로는 대부분 사회에 말을 걸고 있다고 생각한다.
나는 최종적으로, 우리나라의 ‘이순신 장군 동상’과 미국의 ‘자유의 여신상’을 선택하였다. 서울 광화문 앞 세종로 한복판에는 ‘이순신 장군 동상’이 우뚝 서있다. 세종로는 서울의 대표적인 거리요, 한국의 중심을 상징하는 길이다. 세종로라고 명명된 것은 1946년으로, 정부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왕 중에 하나로 꼽히는 세종대왕을 기리기 위해 그렇게 이름을 붙였다. 길 한복판에는 세종대왕의 동상이 세워질 예정이었지만 1968년 박정희 군사정권에 의해 이순신 동상이 들어선 후 오늘에 이르고 있다. 박 대통령이 가장 존경하고 흠모하는 인물이 바로 이순신 장군이었던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단순히 박 대통령이 이순신 장군을 존경했기 때문이 아니다. 이순신 장군의 동상에는 박 대통령의 여러 가지 정치적 의도가 담겨있다. 이는 박 대통령의 생애와 무관하지 않으며, 한국사회의 파시즘과도 밀접하다고 할 수 있겠다.
해마다 3000만 명이 넘는 관광객이 몰려들고, 세계의 심장부라 불리는 뉴욕에 위치한 ‘자유의 여신상’은 1886년 미국 독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세워진 것으로 미국의 자유에 대한 의지를 기념하는 역사적 기념물이다. 자유의 여신상은 100여 년 동안 전 세계인의 마음에 자유와 평등과 기회의 상징으로, ‘아메리카 드림’을 꿈꾸게 하는 역할을 했다. 미국은 자유와 평등 그리고 행복 추구의 권리를 건국이념으로 한, ‘이민의 나라’이다. 이러한 미국에서 ‘자유의 여신상’은 이민 배척과 인종주의, 흑인 노예제, 그리고 성적 차별 등 미국의 모순 되고 이율배반의 역사에 의해 ‘망명자의 어머니’에서부터 ‘억압에서 벗어나 자유를 갈망하는 이름 모를 잡신과 의식을 가진 잡다한 군중들로부터 미국을 지키는 하얀 여신’까지 다양하게 해석되어진다.
두 작품은 각각 한국과 미국의 역사상 중요한 작품으로, 뚜렷한 의도를 가지고 제작되었다. 그 ‘위치’에서부터 각 사회에 대한 많은 의미를 함축하고 있으며 그 사회에 의해 해석되어지고 있다.
본론에서는 ‘이순신 장군 동상’과 ‘자유의 여신상’의 제작과정을 시작으로, 형상과 이미지, 그리고 제작의도와 작품이 가지는 사회적 의미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작품 특성상, ‘이순신 장군 동상’은 ‘박정희 대통령’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출 것이며, ‘자유의 여신상’은 ‘그 의미가 미국의 역사에서 어떻게 해석되었는지’와 여신상에 감춰진 여신상과 모순 되는 미국의 역사’에 주목하여 설명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석희, 미국 이민, 제대로 알고 떠나자, 평민사, 2004,
문화공보부, 유신이념과 충무공 정신, 1973.
박노자, 당신들의 대한민국, 한겨레신문사, 2001,
손영호, 마이너리티 역사 혹은 자유의 여신상, 살림 출판사, 2003,
이희근, 전환기를 이끈 17인의 명암 (시대사를 통한 인물사 읽기), 휴머니스트, 2002,
전재호, 반동적 근대주의자 박정희, 책세상, 2000,
중앙일보 특별취재팀, 실록 박정희, 중앙 M&B, 1998,
진중권, 네 무덤에 침을 뱉으마 1, 개마고원, 1998,
최상천, 알몸 박정희, 사람나라. 2001,
한국정치연구회, 박정희를 넘어서 (박정희와 그 시대에 대한 비판적 연구), 푸른숲, 1998.

2004년 10월11일자 세계일보,

인터넷 사이트 참조; 광화문 충무공 이순신장군상 http://www.choongmoogong.org/index.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