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 가공학 - 쌀의 도정도(搗精度)_신선도(新鮮度) 실험 및 찹쌀_멥쌀 판별법(判別法)

 1  농산 가공학 - 쌀의 도정도(搗精度)_신선도(新鮮度) 실험 및 찹쌀_멥쌀 판별법(判別法)-1
 2  농산 가공학 - 쌀의 도정도(搗精度)_신선도(新鮮度) 실험 및 찹쌀_멥쌀 판별법(判別法)-2
 3  농산 가공학 - 쌀의 도정도(搗精度)_신선도(新鮮度) 실험 및 찹쌀_멥쌀 판별법(判別法)-3
 4  농산 가공학 - 쌀의 도정도(搗精度)_신선도(新鮮度) 실험 및 찹쌀_멥쌀 판별법(判別法)-4
 5  농산 가공학 - 쌀의 도정도(搗精度)_신선도(新鮮度) 실험 및 찹쌀_멥쌀 판별법(判別法)-5
 6  농산 가공학 - 쌀의 도정도(搗精度)_신선도(新鮮度) 실험 및 찹쌀_멥쌀 판별법(判別法)-6
 7  농산 가공학 - 쌀의 도정도(搗精度)_신선도(新鮮度) 실험 및 찹쌀_멥쌀 판별법(判別法)-7
 8  농산 가공학 - 쌀의 도정도(搗精度)_신선도(新鮮度) 실험 및 찹쌀_멥쌀 판별법(判別法)-8
 9  농산 가공학 - 쌀의 도정도(搗精度)_신선도(新鮮度) 실험 및 찹쌀_멥쌀 판별법(判別法)-9
 10  농산 가공학 - 쌀의 도정도(搗精度)_신선도(新鮮度) 실험 및 찹쌀_멥쌀 판별법(判別法)-10
 11  농산 가공학 - 쌀의 도정도(搗精度)_신선도(新鮮度) 실험 및 찹쌀_멥쌀 판별법(判別法)-11
 12  농산 가공학 - 쌀의 도정도(搗精度)_신선도(新鮮度) 실험 및 찹쌀_멥쌀 판별법(判別法)-12
 13  농산 가공학 - 쌀의 도정도(搗精度)_신선도(新鮮度) 실험 및 찹쌀_멥쌀 판별법(判別法)-13
 14  농산 가공학 - 쌀의 도정도(搗精度)_신선도(新鮮度) 실험 및 찹쌀_멥쌀 판별법(判別法)-14
 15  농산 가공학 - 쌀의 도정도(搗精度)_신선도(新鮮度) 실험 및 찹쌀_멥쌀 판별법(判別法)-15
 16  농산 가공학 - 쌀의 도정도(搗精度)_신선도(新鮮度) 실험 및 찹쌀_멥쌀 판별법(判別法)-16
 17  농산 가공학 - 쌀의 도정도(搗精度)_신선도(新鮮度) 실험 및 찹쌀_멥쌀 판별법(判別法)-17
 18  농산 가공학 - 쌀의 도정도(搗精度)_신선도(新鮮度) 실험 및 찹쌀_멥쌀 판별법(判別法)-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농산 가공학 - 쌀의 도정도(搗精度)_신선도(新鮮度) 실험 및 찹쌀_멥쌀 판별법(判別法)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쌀의 도정도(搗精度)․신선도(新鮮度) 실험 및 찹쌀․멥쌀 판별법(判別法)

서 론

쌀 재배(栽培) 기원(起原)을 처음 거론(擧論)한 이는 De Candolle로서 그는 1883년 ‘재배식물의 기원’ 이라는 저서에서 이 문제(問題)를 처음 거론(擧論)하였으며, 인도를 그 발생지라 주장(主張)하였다. 그의 뒤를 이은 재배벼(O. sativa L.)의 기원(起原)에 관한 주장(主張)에는 동남아기원설, 중국기원설 및 아삼(Assam, India)․원난설 등이 있다. 인도기원설은 인도 서북부의 아삼지방 및 갠지스와 브라마푸트라강 유역을 발생지로 보고 델리 부도의 서기전 6,500~4,500년과 서기전 7,000년~5,000년대의 유적에서 탄화미와 쌀 알갱이의 흔적이 있는 토기가 출토된 것을 증거(證據)로 들었다. 동남아기원설은 베트남 서북부와 타이 북부지역의 신석기문화 지대를 본거지로 하여 서기전 4,500년경의 도작 유물을 보기로 들었다. 한편 15,000년~10,000년 전에 동남아대륙 여러 곳에서 독립적으로 기원(起原)하였다는 주장(主張)도 있다. 중국기원설은 주로 중국학자들의 주장(主張)으로 운남고원, 화남(華南), 장강(長江) 하류의 3파로 나뉜다. 운남고원파는 양자강을 끼고 중국 중부지역으로 번져 나갔다고 하며 화남파는 광동 및 광서 지방을, 장강하류파는 양자강하류가 기원지라는 주장(主張)이다. 현재 가장 유력하다고 믿어지는 아삼(Assam, India)․원난설은 이 지역 내에 여러 곳에서 벼농사가 독립적으로 발생하여 장기간 교류가 이루어졌으며, 이것이 세계 각지로 퍼져 나갔다는 주장(主張)이다. 그 시기는 서기전 수천년 또는 그 이전이며 생태적 변화가 다양하고 벼의 유전변이가 풍부하여 몬슨에 따르는 우기와 건기의 연속 등 야생벼가 자생하기에 가장 알맞은 환경(環境)을 이루고 있는 점을 내세운다.
우리나라 벼농사는 1970년대 초까지 서기전 100년 무렵에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이 때문에 일본학자들이 벼농사가 일본을 거쳐 들어왔다는 주장(主張)을 내세우기도 하였다. 그러나 1977년 경기도 여주 혼암리 위적지에서 탄화미가 발견되고 이것이 서기전 13~7세기의 것임이 입증되면서부터 이 문제(問題)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었다. 이어 비슷한 시기의 유적인 경남 합천 봉계리와 이보다 앞서는 시기인 서기전 10~9세기의 평양 남경 유적에서 같은 증거(證據)가 발견되었고, 강화 우도와 경기도 광주군 중평리에서도 볍씨 자국이 있는 3,000~3,500년 전의 토기가 발견되었다. 그 후 1991년 경기 김포군 계현리에서 4,100년 전의 볍씨가 발견되고, 고양군 일산 신도시 개발지에서도 4,400년대의 볍씨가 출토되어 결국 우리 벼농사의 역사(歷史)는 지금부터 4천여년 전까지 올라간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참고문헌
농산가공학, 김동연 외, 영지문화사, 16~23, 1990
한국 식생활에서의 쌀의 역사와 문화, 김광언,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7(2) 175~179, 1992
쌀을 알자, 최해춘, 신구문화사, 67~70, 110~123, 1997
쌀 농업의 생력화 및 비용 절감을 위한 경쟁 모델과 지역 시스템 개발, 농림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85~217, 1999
농산식품가공학, 김재욱 외, 문운당, 13~32, 2000
농산식품가공학, 고정삼, 광일문화사, 49~55, 2002
식품가공저장실습, 남궁석 외, 선진문화사, 14~19, 2002
농산가공식품의 이론과 실제, 김종균, 석학당, 161~164, 2003
식품가공실험, 김동원 외, 문운당, 39~42, 2006
쌀의 역사와 식미, 김성곤,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4~48, 2003
오만진 외, 농산식품가공학, 선진문화사, 43~62, 2007
농림수산식품주요통계, 농림수산식품부, 264~276, 2009
식품가공저장학, 신해헌 외, 지구문화사, 276~283, 200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