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사]고려청자와 이조백자의 특징과 발전 과정

 1  [한국미술사]고려청자와 이조백자의 특징과 발전 과정-1
 2  [한국미술사]고려청자와 이조백자의 특징과 발전 과정-2
 3  [한국미술사]고려청자와 이조백자의 특징과 발전 과정-3
 4  [한국미술사]고려청자와 이조백자의 특징과 발전 과정-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미술사]고려청자와 이조백자의 특징과 발전 과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머릿말

Ⅱ.본문
1)고려청자
2)이조 백자

Ⅲ.맺음말

본문내용
Ⅰ.머릿말
일반인들의 동의 여부와는 관계 없이 많은 미술사가들은 우리나라가 공예의 왕국이라는 민족적 자부심을 갖고 있다. 삼국시대의 금속공예, 고려의 상감청자와 나전 칠기, 조선시대의 목공예와 백자는 모두 제각기 한국 미술사의 빛나는 한 장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의 공예는 중국, 일본의 그것과 긴밀하게 교류하고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동아시아 미술사를 형성하는 데 한몫을 차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편으로는 중국, 일본과는 다른 독특한 아름다움을 보여주며 민족문화의 정체성을 가장 잘 드러내 주는 장르이기도 하다.
공예의 꽃은 역시 도자기이다. 그 중에서도 자기는 그 미와 용, 모든 면에서 인간의 풍요로운 삶에 크게 이바지해 왔다. 자기를 처음 만든 것은 중국이었지만 우리나라는 곧 그 기술을 이어받아 중국과 함께 세계 도자사를 엮어 나갔다.
나아가서 고려사람들은 청자에 상감무늬를 새기는 상감청자를 개발하여 중국 청자와는 다른 고려만의 도자세계를 전개하였고, 조선시대에는 상감청자의 전통을 이어받아 분청사기라는 도자기의 새 장르를 개척하였다. 그런 면에서 상감청자와 분청사기는 중국등 어느나라에서도 제작된 일이 없는 우리 고유의 도자 공예이다.
백자의 경우도 그 출발은 중국에서 비롯되었지만 조선 백자는 중국 도자에서는 결코 볼 수 없는 순백의 아름다움과 소박하면서도 이지적인 멋을 한껏 풍기는 그야말로 조선적인 아름다움을 유감없이 구현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럼 이제 이러한 고려청자와 이조백자의 발달과정과 특성에 대해 살펴보겠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고려청자 정양모 대원사 1998년
-조선백자 김영원 대원사 1991년
하고 싶은 말
한국 문화유산 수업시간에 발표한 자료입니다..
도서관에서 고려청자와 백자 관련 책을 보여 주면서 발표하시면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