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시인) 개관 및 특징

 1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시인) 개관 및 특징-1
 2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시인) 개관 및 특징-2
 3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시인) 개관 및 특징-3
 4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시인) 개관 및 특징-4
 5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시인) 개관 및 특징-5
 6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시인) 개관 및 특징-6
 7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시인) 개관 및 특징-7
 8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시인) 개관 및 특징-8
 9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시인) 개관 및 특징-9
 10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시인) 개관 및 특징-10
 11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시인) 개관 및 특징-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사] 1960년대 시(시인) 개관 및 특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참여시 - 시와 현실 참여
(1) 민주화의 물결( 4.19, 5.16을 통한 현실인식)
김수영 , 신동엽
(2) 산업화 추진 (소외 계층에 대한 눈뜸 - 민중시)
김광섭 , 신경림
2. 순수시 - 순수 감각과 서정시
(1) 삶의 서러움과 한 - 박재삼
(2) 인간의 고독과 실존 방식에 대한 성찰
-김현승
3. 주지시 - 주지적인 경험과 언어의 실험
김춘수 - 의미시와 무의미시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 론

한국사에 있어서 1960년대는 한국 전쟁의 상처를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동시에 4.19와 5.16이라는 정치적 소용돌이, 그리고 경제적인 성장이라는 문제가 맞물려 있는 복합적인 시기였다. 문혜원, 『한국 현대시와 전통』,태학사, 2003, p.95

또한, 1960년대는 이러한 다난한 사회현실에 대한 민감한 반응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4.19 혁명은 우리나라에 많은 개혁과 변화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4.19정신은 문학에도 큰 영향을 가져왔다. 유치환은 ‘뜨거운 노래는 땅에 묻는다’의 시를, 조지훈은 ‘ 역사 앞에서’의 시를, 그리고 김수영은 ‘푸른 하늘은’의 시를 통해서 자유당 말기 불의와 부조리에 대항하면서 신문과 잡지에 과감하게 많은 저항시를 발표하였다. 4,19라는 정치적 상황을 겪으면서 시단에 대두된 문제가 현실 참여이다. 따라서 순수론과 참여론은 당시 현대시의 중요한 쟁점이 되었다. 김혜니,『한국 현대시문학사 연구』,국학자료원, 2002, p.176

또한, 1960년대에는 순수한 서정과 낭만성을 강조한 경향의 시와는 또 달리 현대시의 지성적 영역을 개척하려는 일군의 시인들, 즉 모더니즘 경향의 주지시인들이 등장했다. 그들의 주장은 시는 만들어내는 것이며, 지성과 의도적인 방법론이 채택되어야 하고, 언어의 문제에 관심을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시가 언어 예술인 점에서 시어의 확대와 심화 과정은 필수적이며, 따라서 실험과 모색은 당연한 시인의 자세라 할 수 있다. 이들은 현대시가 지나치게 현실에 집착하거나, 서정에 탐닉하는 것을 거부하고 시의 주지성과 예술성을 강조하였다. 위의 책, p. 243

1960년 당대 현대의 중요한 쟁점이 되었던 참여시를, 민주화를 갈망하던 목소리가 담긴 시와 60년대 중반 이후, 근대적 산업사회로 접어들기 시작하면서 소외 계층의 목소리를 담은 민중시로 나누어 살펴보고, 전통적 서정과, 종교적 서정이 담긴 순수시, 그리고, 김춘수의 ‘무의미 시’를 통해 60년대 모더니즘의 경향의 주지시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Ⅱ. 본 론

1. 참여시 - 시와 현실 참여
(1) 민주화의 물결( 4.19을 통한 현실인식)

① 김수영 ··· ‘푸른 하늘을’
김수영의 작품 활동은 1945년 문예지 『예술부락』에서 시 ‘廟庭의 노래’를 발표하면서 시작된다. 그의 시적 경향을 살펴보면, 초기에는 모더니스트의 일반적 색깔인 현대 문명과 도시 생활을 비판적으로 노래했다. 1950년대 후반부터는 격변하는 시대 속에서 겪어야 했던 지적 방황과 번민을 풍자적이며 지적인 언어로 시화했다. 1950년대의 지적 번민 속에서 성숙해온 그가 본격적인 자신의 세계를 구축할 수 있었던 계기가 된 것은 1960년의 4,19 의거이다. 여기서 그는 평등한 삶을 실현하고자 하는 자유를 위한 혁명에 시적 열정을 쏟는다. 강렬한 현실 비판 의식과 저항 정신에 뿌리박은 시적 탐구는 김수영
참고문헌
문혜원, 『한국 현대시와 전통』,태학사, 2003,
김혜니, 『한국 현대시문학사 연구』,국학자료원, 2002,
이승훈. 『한국현대 대표시론 』. 태학사. 2000.
성기각, 『한국 농민시와 현실인식』, 국학자료원, 2002.
김인섭, 『김현승시의 상징체계연구』,보고사, 1999,
조명제, 『한국 현대시의 정신논리』. 아세아문화사 . 2002.
남기혁, 『한국 현대시의 비판적 연구』, 月印, 2001.
유성호, 『한국 현대시의 형상과 논리』국학자료원, 2002,
신용협, 『한국 현대시 대표작품 연구』국학자료원, 1998
권영민, 『한국 현대 문학사』민음사,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