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환경] 도시하천의 환경기능 강화방안- 비에브르, 양재천, 불광천의 사례

 1  [지역환경] 도시하천의 환경기능 강화방안- 비에브르, 양재천, 불광천의 사례-1
 2  [지역환경] 도시하천의 환경기능 강화방안- 비에브르, 양재천, 불광천의 사례-2
 3  [지역환경] 도시하천의 환경기능 강화방안- 비에브르, 양재천, 불광천의 사례-3
 4  [지역환경] 도시하천의 환경기능 강화방안- 비에브르, 양재천, 불광천의 사례-4
 5  [지역환경] 도시하천의 환경기능 강화방안- 비에브르, 양재천, 불광천의 사례-5
 6  [지역환경] 도시하천의 환경기능 강화방안- 비에브르, 양재천, 불광천의 사례-6
 7  [지역환경] 도시하천의 환경기능 강화방안- 비에브르, 양재천, 불광천의 사례-7
 8  [지역환경] 도시하천의 환경기능 강화방안- 비에브르, 양재천, 불광천의 사례-8
 9  [지역환경] 도시하천의 환경기능 강화방안- 비에브르, 양재천, 불광천의 사례-9
 10  [지역환경] 도시하천의 환경기능 강화방안- 비에브르, 양재천, 불광천의 사례-10
 11  [지역환경] 도시하천의 환경기능 강화방안- 비에브르, 양재천, 불광천의 사례-11
 12  [지역환경] 도시하천의 환경기능 강화방안- 비에브르, 양재천, 불광천의 사례-12
 13  [지역환경] 도시하천의 환경기능 강화방안- 비에브르, 양재천, 불광천의 사례-13
 14  [지역환경] 도시하천의 환경기능 강화방안- 비에브르, 양재천, 불광천의 사례-14
 15  [지역환경] 도시하천의 환경기능 강화방안- 비에브르, 양재천, 불광천의 사례-15
 16  [지역환경] 도시하천의 환경기능 강화방안- 비에브르, 양재천, 불광천의 사례-16
 17  [지역환경] 도시하천의 환경기능 강화방안- 비에브르, 양재천, 불광천의 사례-17
 18  [지역환경] 도시하천의 환경기능 강화방안- 비에브르, 양재천, 불광천의 사례-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지역환경] 도시하천의 환경기능 강화방안- 비에브르, 양재천, 불광천의 사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연구 동기, 목적

Ⅱ. 도시하천
2.1 정의
2.2 특징
2.2.1 도시하천의 특징
2.2.2 도시하천 생태계의 특징
2.3 기능 - 환경 기능에 주목해서

Ⅲ. 서울의 도시하천 관리 상황
3.1현실적으로 서울시의 도시하천은 어떻게 관리되고 있나?
3.2사례제시
3.2.1 사례 1-중랑천
3.2.2 사례 2-안양천
3.2.3 사례 3-청계천

Ⅳ. 문제제기
-충돌의 문제(치수문제/사람들의 이용)

Ⅴ. 하천의 환경기능 강화
5.1 외국의 사례
5.1.1 프랑스의 비에브르
5.1.2 오스트리아의 Alterbach
5.2 국내의 사례 (서울의 도시하천 중심으로)
5.2.1 서울의 양재천
5.2.2 서울의 불광천

Ⅵ. 문제해결 방안과 실현방법
6.1 문제해결 방안
6.1.1 첫 번째 문제
6.1.2 두 번째 문제
6.2 실현방법

Ⅶ. 결론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그림 도시 하천의 경관
(중랑천, 2004년 11월 직접촬영)
생물은 물 없이는 살 수가 없다. 그건 도시라는 거대한 공간도 마찬가지다. 도시라는 공간에서 하천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다. 파리나 런던, 빈, 뉴욕 등세계적으로 유명한 도시들을 보면 모두 크든 작든 하천을 끼고 발달했음을 알 수가 있다. 하천은 도시라는 지역 공간의 주민들에게 식수를 제공해주고, 편의 공간을 제공해주며, 하천의 자연생태계가 어우러진 경관은 정서적인 안정감을 찾게 해준다.
그러나 그동안 서울시의 도시하천들은 개발논리에 밀려서 이러한 기능들보다는 산업문명이 배출해낸 부산물들을 처리하는 통로로만 인식되어져 온 것이 사실이다. 복개된 하천은 하수도 정비가 제대로 안되면서 강 자체가 하나의 하수도로 사용되었고, 다양한 생태계가 살기 좋은 환경인 구불구불한 하천은 물이 빠져나가기 좋게 하기위해서 직선화되었다. 옛날의 지도에서 모래밭이 넓게 펼쳐져있던 한강은 이제 무미건조한 콘크리트 둑으로 강 양쪽이 막혀있는 상황이다.
강을 배출구로 사용하다보니 그 배출물들이 넘쳐나서 주변 유역을 위협하는 일이 일나나서는 안되므로 과거의 도시하천은 또한 물을 관리하는 기능이 강조되어 왔었다. 강 양쪽에는 제방이 들어서고, 물을 퍼내기 위한 하수처리장이 들어섰다. 생태계보존, 정서적 안정 같은 기능들이 들어갈 자리는 도저히 없어보였다.
그러나 과거의 개발일변도의 정책이 비판을 받고 사회 전반적으로 환경에 대한 인식이 눈을 떠가고 있는 지금 상황에서, 이제 우리는 도시하천을 다시 바라볼 때가 온 것이다. 도시라는 사막 속에 있는 하천이라는 하나의 오아시스를 우리는 재발견 하겠다는 것이다.
도시 하천에 대한 연구는 도시라는 지역을 이해함에 있어서 필수적인 연구이다. 또한 지역에 대한 이해는 환경 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틀을 제공해준다. 결국 도시의 하천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도시의 환경 문제에 대한 이해를 수월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인구 천만의 도시인 서울의 환경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닌데, 서울에 흐르는 하천에 대해 연구해 봄으로써 서울의 환경 문제의 실태와 그 해결 방안에 대해서 연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누리에, 《도시하천의 생태환경 계획 및 설계》, 누리에, 1997
변홍식 외, ,한국수처리기술연구회, 2001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편, 《서울의 하천》, 2000,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pp. 22-30.
우달식 외, 《환경과 인간》, 동화기술 , 2002 ,
전우용 (서울시립대학 부설 서울학연구소 수석연구원),
최영박, , 대한지방행정공제회, 1997,
비에브로 하천 복업사업, 파리 사무소 제공, pp 51-73
강남구 편, 《2004 구정백서》, 강남구, 2004, pp. 285-287.
서울시정개발연구원 편, ,1996, 서울시정개발연구원, p.117.

수자원정보 (http://www.hydroinfo.com)
http://www.yangcheon.go.kr/Environment/bbb.htm
서울대백과사전 (http://seoul600.visitseoul.net)
마포구청 환경사랑방 홈페이지 (http://env.mapo.seoul.kr)
두산세계대백과 (http://www.encyber.com)
환경을 사랑하는 중랑천 사람들 (http://www.jr1000.org)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