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국어사 고대,중세,근대,현대국어

 1  [국문학]국어사 고대,중세,근대,현대국어-1
 2  [국문학]국어사 고대,중세,근대,현대국어-2
 3  [국문학]국어사 고대,중세,근대,현대국어-3
 4  [국문학]국어사 고대,중세,근대,현대국어-4
 5  [국문학]국어사 고대,중세,근대,현대국어-5
 6  [국문학]국어사 고대,중세,근대,현대국어-6
 7  [국문학]국어사 고대,중세,근대,현대국어-7
 8  [국문학]국어사 고대,중세,근대,현대국어-8
 9  [국문학]국어사 고대,중세,근대,현대국어-9
 10  [국문학]국어사 고대,중세,근대,현대국어-10
 11  [국문학]국어사 고대,중세,근대,현대국어-11
 12  [국문학]국어사 고대,중세,근대,현대국어-12
 13  [국문학]국어사 고대,중세,근대,현대국어-13
 14  [국문학]국어사 고대,중세,근대,현대국어-14
 15  [국문학]국어사 고대,중세,근대,현대국어-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국어사 고대,중세,근대,현대국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국어사(고대,중세,근대,현대국어)

1. 고대국어
음운체계
자음체계
모음체계
문법체계
어휘체계
표기
2. 중세국어
~
3. 근대국어
~
4. 현대국어
~


【 참고문헌 】
본문내용
기능 약화. 상대존대와 어우러져 ‘-이다’ 등의 형태로 나타남. 상대 존대는 ‘ᅌ’의 소실로 ‘이’로 변함. 의도법선어말어미는 그 기능을 상실
④ 어말어미와 첨사 - 전성어미(체언화형어미는 ‘ㅁ/음/’형으로 단순화, 관형사형어미), 연결 어미, 종결어미(져→쟈), 첨사(중세국어와 동일)
⑤ 서법 - 종결어미(평서문,감탄문,명령문)와 첨사(의문문)로 실현. 중세국어와 유사.
⑥ 피동․사동
- 피동문: 타동사의 어간에 ‘이,히,리,기’가 붙거나, ‘-어 디다’에 의함. → 이후에 ‘디다’가 ‘지다’로 변 하면서 ‘-어 지다’피동형은 크게 확산됨
- 사동문: 자동사나 형용사의 어간에 ‘이,히,리,기,우,구,추’가 붙거나, ‘-게 하다’형에 의함
⑦ 부정법 - 중세국어와 큰 차이가 없음

3.3 어휘체계
① 한자어와 차용어의 증가로 고유어에 대한 한자어 대치 현상이 늘어남
- 온(百), 즈믄(千), 뫼(山), 람(江) 등이 한자어에 자리를 빼앗기고 폐어화함
② 차용어
- 중국어 차용어: 다홍(大紅), 비단(匹段)
- 만주어 차용어: 소부리:안장, 널쿠:소매와 섶이 없는 비옷, 쿠리매:섶이 없고 소매가 짧은 겉옷
- 일본어 차용어: 조총(鳥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