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조선전기의 생활사

 1  [한국사] 조선전기의 생활사-1
 2  [한국사] 조선전기의 생활사-2
 3  [한국사] 조선전기의 생활사-3
 4  [한국사] 조선전기의 생활사-4
 5  [한국사] 조선전기의 생활사-5
 6  [한국사] 조선전기의 생활사-6
 7  [한국사] 조선전기의 생활사-7
 8  [한국사] 조선전기의 생활사-8
 9  [한국사] 조선전기의 생활사-9
 10  [한국사] 조선전기의 생활사-10
 11  [한국사] 조선전기의 생활사-11
 12  [한국사] 조선전기의 생활사-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 조선전기의 생활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조선전기 사람들의 일상생활
1. 조선전기의 의생활
2. 조선전기의 식생활
3. 조선전기의 주거생활
Ⅲ. 조선전기 사람들의 일생
1. 출생과 성장
2. 결혼과 혼인생활
3. 장례와 제사
Ⅳ.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고려시대는 기본적으로 불교가 지배층과 피지배층의 생활 양식을 규정하는 사상적 바탕이었다. 또한 이에 더하여 유교적인 측면과 민간 무속신앙적 성격이 복합적으로 일상생활과 생애에 나타나있었다. 조선 왕조가 개창되면서 조선의 새로운 지배층이 된 신진사대부들은 고려말에 드러난 국가적 병폐를 극복하기 위하여 불교를 비판하고 새로운 사상적 배경으로 성리학적 질서를 보급하였다. 이에 따라 생활 전반에 걸쳐 기존의 불교중심적 생활에서 성리학과 주자가례(朱子家禮)를 바탕으로 하는 생활로 점진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의,식,주와 같은 일상생활적 측면과 출생과 성장에 따른 관례, 결혼과 혼인생활, 나아가 사망하여 장례와 제사를 치르기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조망해 보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Ⅱ. 조선전기 사람들의 일상생활

1. 조선전기의 의생활

(1)조선 전기 기본 복식 구조
조선시대 의복은 크게 상의인 저고리, 하의인 바지와 치마, 외투 역할을 하는 포로 나눌 수 있다. 저고리는 조선시대 이전부터 내려오던 ‘유’라는 상의가 변형된 것이다. 유는 길이가 허리 아래까지 내려오고 띠로 옷을 여미는 형태였으나, 저고리는 길이가 허리 위로 올라왔고 고름을 달아 옷을 여미는 형태였다. 남성 저고리의 경우 길이가 허리선 정도였고 별다른 장식이 없었으며, 겉옷이라기보다 포 밑에 받쳐 입는 옷의 경향이 강했다. 반면에 여성에게 저고리는 겉옷 역할을 해서 다양한 종류의 저고리가 여러 가지 소재로 만들어졌다. 전기 여성 저고리는 후기와 달리 품이 넓었으며 남성 저고리와 비슷한 길이였다. 저고리의 등장은 조선 초기 상경농법(常耕農法)의 시작과 연관 지어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상경농업의 실시로 휴한지가 없어지고 경작지가 넓어지면서 많은 노동력이 필요해졌으며, 이에 따라 보다 노동하기에 적합한 짧은 상의가 나타난 것이라고 추측해 볼 수 있다. 상의가 짧아지면서 띠 대신 고름으로 옷을 여미게 되었을 것이다.
참고문헌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태종실록
세종실록
성종실록
신증동국여지승람
박태호, 2006, 장례의 역사 , 서해문집
한국고문서학회, 1996, 조선시대 생활사, 역사비평사
한국고문서학회, 2000, 조선시대 생활사 2, 역사비평사
한국고문서학회, 2008, 조선시대 생활사 3, 역사 비평사
정긍식, 1996, 조선시대 사대봉사의 형성과정에 대한 일고찰, 법제연구. 11('96.9) pp.130-161
조선시대 관례의 사적연구, 박대순, 1988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 , 2008, 한국사 연구회, 김경희, 지식 산업사
교과서보다 쉬운 독학 국사 , 2004, 일빛, 박천욱,
조선 시대 생활사 ,1996, 역사비평사, 장두환
高麗時代 婚姻制度 硏究, 권순형,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조선시대 사노비의 사역영역과 사적영역 : 『瑣尾錄』에 나타나는 사례를 중심으로 = Fatigue duty and private life of the personal servants in Choseon Dynasty -Centering around『Shwaemirok』, 정성미, (전북사학, Vol.38 No.-, [2011])
조선후기 시가의 하층여성 형상과 문학적 의미 = Figures and Literary Meanings of the Lower Class Women in Poetry of the Late Chosun Dynasty
주정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김소현, 2002, 조선시대 복식에 나타나는 전통양식과 중국양식
한국역사연구회, 2008,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 청년사
한국역사연구회, 2008,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2, 청년사
사진으로 배우는 관혼상제, 2005, 진원 문화사, 권영한
조성옥 외, 고전으로 본 전통머리, 2011, 광문각
이경자, 우리옷의 전통양식, 2003,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남성의 머리치장, 네이버 캐스트 문화 유산 알아보기,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98&contents_id=19013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