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아교수방법] 청각장애아동과 작업기억

 1  [청각장애아교수방법] 청각장애아동과 작업기억-1
 2  [청각장애아교수방법] 청각장애아동과 작업기억-2
 3  [청각장애아교수방법] 청각장애아동과 작업기억-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청각장애아교수방법] 청각장애아동과 작업기억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작업기억, 임시저장소, 처리의 자동화
2. 작업기억에 관한 선행연구
Ⅲ. 결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Ⅰ. 서론

청각장애아동들은 건청학생과 비교했을 때 언어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학습전반에 걸쳐 2년에서 3년 정도의 지체를 보인다. 이것은 신체적인 장애로 인한 것일 수 있으나 기억, 지각, 인출 그리고 처리 속도와 같은 일반적인 지적 활동 영역의 처리 과정상의 결과로도 살펴 볼 수 있다. 인간의 인지기능은 개체와 환경사이의 교량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청각장애 아동들은 청각의 결함으로 교량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다고 할 수 있다.
아동의 인지기능에는 감각과 지각, 학습, 기억, 사고 등이 밀접하게 상호 관련되어 있으며, 특히 기억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자극들을 인식하고 인식된 자극들을 선행경험과 서로 관련시켜 해석하고 확인하는 잠재능력이다. 그러므로 기억능력을 학습능력과 동일시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으며, 학습활동은 기억능력에 의존한다고 보았다. 아동이 하나의 문장을 듣고 이해한다는 것은 지각적 처리, 언어성 작업기억, 주의, 장기기억 안의 어휘에 정확하게 접근하기 등이 필요하다.

Ⅱ. 본론

기억은 넓은 의미로 볼 때, 과거경험의 효과가 파지 되어 다음 행동에 영향을 주게 되는 것으로 정보가 개체에게 투입되는 순서와 저장되는 시간에 따라 분류된 감각기억, 단기기억, 장기기억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감각기억은 정보처리의 시발점이며, 감각기관에 머무르는 짧은 기간동안의 정보 유지기간을 말한다. 감각기억에서 주의 집중된 정보나 자극들은 단기기억에 보내져 청각․시각․촉각으로 부호화한다. 교수-학습장면에서 교사가 학생들에게 어떤 것을 전달하고자 할 때 주의를 기울이기를 원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단기기억은 보통 30초 이내의 한정된 지속성을 가진다. 저장시간이 짧지만 정보의 투입이 반복된다면 상당한 기간동안 유지되어 장기기억으로 이동될 수 있다. 비교적 영속적인 정보보유 장치인 장기기억은 주의, 인지 등 정보처리 체계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며 정보의 조작을 포함한다. 장기기억의 부호화 특징은 의미있고 조직화된 형태로 부호화 되어 저장된다.
참고문헌
김성수(2004).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기능적 작업기억과 낱말 습득 특성. 언어청각장애연구, 9(1), 78-99.
권유현, 김영욱(2004).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성 작업기억과 문장이해간의 관계. 언어청 각장애연구, 9(2), 33-48.
이종민(2003). 농인수화자의 작업기억 특성. 단국대학교 대학원.
이태화(2001). 정신지체아동의 작업기억 발달 특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Leonard p. Kelly(2003). The importance of processing automaticity and temporary storage capacity to difference in comprehension between skilled and less skilled college-age deaf readers, Journal of Deaf Studies and Deaf Education 8:3 Summer. Gallaudet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