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사회] 동아시아 소농사회의 형성

 1  [조선사회] 동아시아 소농사회의 형성-1
 2  [조선사회] 동아시아 소농사회의 형성-2
 3  [조선사회] 동아시아 소농사회의 형성-3
 4  [조선사회] 동아시아 소농사회의 형성-4
 5  [조선사회] 동아시아 소농사회의 형성-5
 6  [조선사회] 동아시아 소농사회의 형성-6
 7  [조선사회] 동아시아 소농사회의 형성-7
 8  [조선사회] 동아시아 소농사회의 형성-8
 9  [조선사회] 동아시아 소농사회의 형성-9
 10  [조선사회] 동아시아 소농사회의 형성-10
 11  [조선사회] 동아시아 소농사회의 형성-11
 12  [조선사회] 동아시아 소농사회의 형성-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선사회] 동아시아 소농사회의 형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머리말
I.동아시아 사회의 공통성
1.유교 특히 주자학을 둘러싼 논의
2.소농사회로서의 동아시아

II.동아시아 소농사회의 형성 과정
1.세계 인구에서 차지하는 동아시아의 위치
2.중국 송대 이후의 농업 변혁
3.한국과 일본의 농업 변혁
4.소농사회의 성립

III.동아시아의 분수령-소농사회의 성립 이전과 이후
1.현존 촌락의 형성
2.가족과 친족 제도의 변화
3.「전통 對 근대」를 넘어서
-맺음말

본문내용
-머리말
지금까지 역사학계는 조선후기 정체론에 입각하여 한국 사회의 식민지화를 정당화하는 식민사관을 비판하는 데 역점을 두고 연구해 왔다. 그 결과 조선후기사회는 중세봉건사회가 해체되고 자본주의맹아가 발생하여 근대를 준비하는 등 역동적 사회였다고 한다. 이런 발전의 성과로 인해 개항 이후 외래 자본주의의 영향이 없었다고 해도 자주적 근대화를 달성할 수 있는 사회로 평가됐으며, 일제의 한국침략과 지배는 이러한 발전 모멘트를 왜곡하거나 압살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한다.
반면 경제사학계 일각에서는 역사학계의 이런 조선후기상을 비판하고 나왔다. 이에 따르면 조선후기사회에서 자생적 자본주의화의 가능성을 찾을 수 없으며,한국근대는 서구 근대의 모방, 수용, 이식을 통하여 비로소 발전계기를 맞이했다고 한다. 단지, 조선후기사회는 자본주의를 수용, 발전시킬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을 정도의 발전을 이룬 데 불과했다고 한다. 이런 역사상을 보여주는 것이 바로 조선후기 소농사회론이다. 소농사회론에 따르면 소농사회는 10세기 송대 이후 중국,14세기 이후 프랑스,17세기 이후 근세 일본 사회에 등장한 사회로, 한국에서는 17세기 후반 이래 농노제가 해체되는 반면 자립적 생산 단위로서의 소농이 성장하고, 소농의 촌락공동체, 관제, 사적 토지소유와 지주제, 그리고 일정수준의 시장경제의 성장 등을 토대로 성립했다.
여기서는 소농사회의 형성 과정과 소농사회의 성립 이전과 이후의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