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의 의의

 1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의 의의 -1
 2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의 의의 -2
 3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의 의의 -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의 의의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를 어떻게 볼 것인가?
1. 왕조 교체는 역사발전 과정이다
(1) 일제 식민사학
①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를 단순한 지배세력의 교체로 파악함.
② 한국인의 자율의지가 아니라 대륙의 정세 변동에 따라 일어난 현상이라고 폄하함. 중국에서는 당이 쇠망하고 오대십국으로 분열되었다가 송이 통일하였는데, 이 기간 동안 사대부가 성장하고 지주전호제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로 발전해갔다. 중국 동북부에서는 거란족이 요를 건국하고 이어 발해를 멸망시켰다.
(2) 백남운
① 식민사학을 비판하면서 한국사를 발전적으로 파악하여 체계화함.
② 주장 : 통일신라 시기를 노예소유자적 사회에서 농노제로 이행하는 시기로 봄 ⇒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 노예공급이 중단되고, 생산력 발전에 따른 사회적 재편성을 시작으로 중세 사회가 성립됨. 곧 고려시대에 전형적인 봉건사회가 성립함.
③ 비판점 : 사적유물론을 도식적으로 한국사에 적용.
④ 의미 : 식민사학의 정체성론과 타율성론을 깨고 세계사 차원의 보편적인 발전단계론을 적용한 연구였음.
(3) 진단학회
① 통일신라까지를 고대, 고려부터는 중세
② 고려는 신라말기의 혼란상을 통일하고 철저한 관료 중심의 중앙집권제를 구상하는 방향으로 발전함.
(4) 중산층론
① 1960년대 이후 한국 역사학계에서 식민사학에 대한 비판과 사회발전론적 시각의 연구가 본격화됨으로써 대두됨.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