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

 1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 -1
 2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 -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 교체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1.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교체의 의미 - 역사적 발전과정으로 이해
① 통신→고려 왕조교체는 동아시아차원에서 일어난 사회격동과 연관
-중국 : 당 쇠망-오대십국-송 →사대부성장, 지주전호제 쇠퇴
-일본 : 장원제 발전, 무사계급 성장
-한국 : 통일신라에서 고려로의 왕조교체
② 일제 식민사학 : 대륙의 정세 변동에 따라 일어난 형상(타율성, 정체성)
의도적 역사왜곡
③ (일제강점기) 백남운 : 통일신라를 노예적 사회에서 농노제로 이행하는 시기로 보고, 고려를 봉건사회로 보았다. 그의 연구는 사적 유물론을 도식적으로 한국사에 적용하려 하였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지만, 식민사학의 정체성론과 타율성론을 깨고 세계사 차원의 보편적인 발전 단계론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실천적 의미가 큼.
④ (1950) 하타다다카시 : 8세기 중반 신라는 농업공동체 단계였으며 그것에 변화하는 과정에서 족단(族團)을 배경으로 한 호족이 대두하여 이후 고려사회의 기초가 되었다고 파악하며, 고려전기까지 고대사회라고 봄.
⑤ (1960) 진단학회「한국사」: 고려를 중세의 시작(관료중심의 중앙집권제)
⑥ (1960 이후) 왕조교체 주도세력이 중간계층임에 주목
⑦ 김철준 : 지방세력 대두, 지식가의 적극적 역할 부각
⑧ 이기백 : 지방호족, 육두품계층이 골품제 저항변혁과정 규명
∴ 왕조교체를 중시하는 것이 역사를 계기적 발전과정으로 파악하기 힘들다는 한계가 있으나, 한국사의 특성 한 왕조의 지속 기간이 매우 길었고, 통일왕조의 교체도 두 번밖에 없었으며, 외부세력의 무력정복으로 인한 교체가 아니었다.
으로 볼 때 왕조가 교체 될 때는 큰 폭의 개혁이 필요한 시기였고 그에 따라 정치세력과 제도, 지배이념 등이 크게 바뀌었다.
현재 학계에서는 통신→고려 왕조교체가 중요한 의미 갖는다는 인식이다.
2. 지배질서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