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개론] 바람직한 학생상에 대해서

 1  [교육학개론] 바람직한 학생상에 대해서-1
 2  [교육학개론] 바람직한 학생상에 대해서-2
 3  [교육학개론] 바람직한 학생상에 대해서-3
 4  [교육학개론] 바람직한 학생상에 대해서-4
 5  [교육학개론] 바람직한 학생상에 대해서-5
 6  [교육학개론] 바람직한 학생상에 대해서-6
 7  [교육학개론] 바람직한 학생상에 대해서-7
 8  [교육학개론] 바람직한 학생상에 대해서-8
 9  [교육학개론] 바람직한 학생상에 대해서-9
 10  [교육학개론] 바람직한 학생상에 대해서-10
 11  [교육학개론] 바람직한 학생상에 대해서-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학개론] 바람직한 학생상에 대해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 바람직한 학생상 정립의 필요성

II. 본론
1. 우리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학생상
1> 사회현상들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자신의 관점을 가진 학생
2> 자신의 미래에 대해 계획하며 자신의 시간을 소중히 여기는 학생
3> 남을 존중할 줄 아는 학생
4>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는 학생
5> 신체적, 정서적으로 건강한 학생
2. 실제 교사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학생상

III. 결론
본문내용
I. 서론 - 바람직한 학생상 정립의 필요성

‘바람직한 학생상’에 대해서 생각하기 전에 그 사전적인 의미와 범주에 대한 규정하고자한다. 우선 사전에서의 ‘바람직하다’,‘학생’,‘상(像)’의 정의를 통해 ‘바람직한 학생상’의 정의를 명확히 하고나서, 그 필요성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하자.

바람직―하다[―지카―][형용사][여 불규칙 활용] 바라는 대로 된 듯한 상태다.
¶흡연은 학생으로서 바람직한 행동이 아니다.

학생(學生)[―쌩][명사]
1.학교에서 공부하는 사람. 학도(學徒).
2.학예(學藝)를 배우는 사람.
3.생전에 벼슬하지 못하고 죽은 사람을 높여 일컫는 말. [명정(銘旌)·지방(紙榜)·신주(神主) 등에 쓰임.]
¶학생 부군(府君) 신위(神位).

상(像)[명사]
1.광선의 반사 굴절로 인해 생기는 물체의 형상. [실상과 허상이 있음.]
2.(조각이나 그림 따위의) 형체.
¶성모(聖母)의 상.
3.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 부면(部面)에 있어서 바람직한 모습임을 나타냄.
¶어머니상./지도자상.


위에서 우린 ‘~상(像)’이라는 말 자체가 바람직한 모습을 나타나는 단어임을 알 수 있는데, ‘바람직하다’라는 말은 ‘바라는 대로 된 듯 한 상태이다’라는 의미이다. 즉, 우리가 어떤 대상에 대하여 ‘바람직하다’라고 말한다면 어떤 사람들, 혹은 한 사회 전반의 관점이 그 대상이 그런 모습이기를 바란다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학생상’이라고 하는 것은 학생을 어떤 시대에서 어떤 개인이나 사회가 학생을 바라보는가에 따라 그에 대한 규정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발표에서는 ‘바람직한 학생상’의 범위를 ‘현대 한국 사회의 교사의 입장에서 보는 바람직한 학생상’으로 한정하기로 한다.

그렇다면 교육의 측면에서 이러한 ‘바람직한 학생상’을 세우는 것은 왜 필요한 것일까? 우선, 바람직한 학생상 정립의 필요성은 교육 그 자체의 목적과 같은 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교육이란 자연적 인간이 내재적 소질을 조화롭게 발전시켜 이상적 인간이 되게 따듯한 손으로 돕는 일이다. 김정환 · 강선보, 『교육학개론』
다시 말해, 교육의 목적은 학생의 타고난 소질을 최대한 계발하여 이상적인 인간이 되게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이상적인 인간의 속성은, 각 단계의 교육(가정교육, 학교교육, 사회교육)을 거쳐 학습자가 사회로 진출해서 소위 성공적인 삶을 살아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학교교육을 따로 떼어놓고 보았을 때, 학교 교육을 받는 대상은 학교의 학생이고 결국 학교교육의 목적은 당연히 바람직한 학생을 길러내는데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우리는 이상적인 인간의 속성을 발휘하기 위한 준비과정으로서 바람직한 학생이 가져야 하는 속성을 ‘바람직한 학생상’으로 정립하여 학교 교육의 목적으로 제시하고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한 표면적
참고문헌
 교육학 개론, 김정환·강선보
 심리학, 이수원 외
 바람직한 학생상에 관한 연구, 이정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 중등학교 교실붕괴의 원인과 해결대안 탐색, 이득기, 2000
 EQ테스트, 정홍섭
 교육학의 새로운 파라다임, 노희관·이용남
 디지털 문화와 교육, 목영해
 우리 교육 현실과 청소년 문화, 정용교
 한국 교육 이대로 쓰러질 수 없다, 김신호
 테마로 읽는 교육학, 이병승·우영효
 교육정보마당 ( http://library.moe.go.kr/ )
 교육마당21 ( http://www.madang21.or.kr/ )
 푸른나무 ( http://www.purunnamu.com/ )
 윤근혁의 교육 돋보기 ( http://edu.mygoodnews.com/ )
 한국교육신문 ( http://www.hangyo.com/ )
 엠파스 국어사전 ( http://kordic.empa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