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과 경영] Blum의 article

 1  [여성과 경영] Blum의 article-1
 2  [여성과 경영] Blum의 article-2
 3  [여성과 경영] Blum의 article-3
 4  [여성과 경영] Blum의 article-4
 5  [여성과 경영] Blum의 article-5
 6  [여성과 경영] Blum의 article-6
 7  [여성과 경영] Blum의 article-7
 8  [여성과 경영] Blum의 article-8
 9  [여성과 경영] Blum의 article-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여성과 경영] Blum의 article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ntroduction
Theoretical Perspective
Hypotheses
Methods
Data Reliability and Validity
Results
Discussion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문내용
Introduction
² 미국에서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관리직 (management position) 비율이 1970년의 18.5%에서 1989년의 40%로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조직수준에서의 연구에 의하면, 남성이 여전히 관리직을 점유하고 있고, 많은 조직들이 여성보다는 남성을 관리직에 승진시키거나 채용하기를 선호한다고 한다.
² Human Capital 연구: 개인의 특성 (예: 교육정도, 노동시장 경험 등)에 초점을 두고, 임금에 있어 성에 따라 불평등한 것은 여성이 훈련, 경험, 경력몰입에 있어 부족하기 때문이라 본다. 또한 여성은 가족문제로 인해 자발적으로 노동시장을 떠나고, 따라서 여성 자신의 교육 및 기술 투자를 제한한다고 본다.
²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임금에 있어 성별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직적 특성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을 무시한 것이다.
² 조직내 직무할당 (job assignment)에 있어 차이가 있는 것은 여성이 관리직과 높은 임금을 받는 것을 제한하는 것에 대한 또 다른 설명이 될 수 있다.
² 즉 여성과 남성들간의 보상에 있어 차이가 있는 것은 물론 Human Capital Variables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조직수준의 변수 역시 여성에게 제공되는 기회에 영향을 미친다.
² 본 연구에서는 Georgia 주의 200개 민간 작업장에서 여성이 점유하고 있는 관리직의 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수준의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² (Resource Dependence Theory와 Institutional Theory가 여성의 관리직으로의 승진이나 고용에 대한 논리를 제공하리라 본다. )

Theoretical Perspective
² Fagenson (1990): 여성의 조직에서의 경험은 여성의 성별과 power가 있는 사람의 태도, 기업의 역사, 산업, 정책 등과 같은 조직의 context의 영향을 받는다.
² (조직의 context를 구성하고 있는)조직수준의 변수들은 managerial staffing과 같은 영역의 의사결정을 제한한다.
² Pfeffer (1983): 성장, 기술, 정책, 관행, 노조와 같은 조직요인은 연령, 근속년수, 성별, 인종 등과 같은 organizational demography의 결정요인이다.
² Blum (1977): 상대적인 집단크기의 효과에 대해 연구한 결과, 조직의 구조적 차원 (예: 여성이 점유하고 있는 비관리직의 비율)은 전체 조직내 상호작용의 형태와 사회적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즉, 같은 집단을 선호하는 사람
참고문헌
By Blum, Fields, & Goodman (1994),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 2, p. 241-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