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사상의 흐름]귀신론과 귀신이야기

 1  [문학사상의 흐름]귀신론과 귀신이야기-1
 2  [문학사상의 흐름]귀신론과 귀신이야기-2
 3  [문학사상의 흐름]귀신론과 귀신이야기-3
 4  [문학사상의 흐름]귀신론과 귀신이야기-4
 5  [문학사상의 흐름]귀신론과 귀신이야기-5
 6  [문학사상의 흐름]귀신론과 귀신이야기-6
 7  [문학사상의 흐름]귀신론과 귀신이야기-7
 8  [문학사상의 흐름]귀신론과 귀신이야기-8
 9  [문학사상의 흐름]귀신론과 귀신이야기-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사상의 흐름]귀신론과 귀신이야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귀신론
2.1 『中庸』 16장
2.2. 조선의 귀신론
2.2.1. 本體論1 - 理氣二元論
2.2.2. 本體論2 - 氣一元論
2.2.3 祭祀에 대한 논의
3. 금오신화
본문내용
《금오신화》의 ··는 원귀의 이야기이다. 윈귀가 나타나 원통한 사정을 하소연하고 이루지 못한 소원을 풀려고 하다가 얼마 후에 사라진다고 했다.
의 여주인공은 왜구에게 희생되었다. 왜구가 집을 불사르고 사람들을 사로잡아가고, 피난민이 사방으로 흩어질 때 가냘픈 처녀의 몸으로 멀리 도망가지 못하고 깊숙한 골방에 숨었다가 피살되었다. 그래서 다북쑥 우거진 속에 묻혀 있으니 이루어보지 못한 사랑의 욕구가 일어나 걷잡을 수 없어 주인공 양생에게 나타났다. 양생은 부모를 여의고 고독하게 지내면서 베필을 간절하게 구하다가 그 여자가 귀신인 줄 모르고 사랑하게 되었다고 했다. 에서의 사건 설정도 이와 비슷하면서, 부부가 되어 살던 여주인공이 홍건적에게 피살되었다가 귀신이 되어 나타나 주인공 이생과 잠시 재결합을 이루었다고 했다.
김시습은 기일원론적 사고구조에 맞게 귀신과 사랑을 나누고 꿈에 별 세계에 다녀오고 하는 등의 설정을 사용해 일체의 삶의 고민과 의미를 그 자체로 파악하였다. 즉, 전란으로 인한 희생된 사람을 소재로 삼아 민족의 수난과 개인의 비극을 나타내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윈귀를 등장시키면서도 귀신과 사람, 저승과 이승 사이의 문제보다 사람들 사이의 문제를 심각하게 처리했다. 또한 주인공은 모두 상당한 식견을 가진 사람이면서도 방외인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니, 이는 김시습의 개인적 고민을 담아내었다고 할 수 있다.
《금오신화》〈남염부주지〉에도 귀신론이 들어있다. 朴生이라는 주인공이 승려들에게 극락과 지옥에 관해 물어서 얻은 대답을 납득할 수 없다하면서, 을 지었다고 했다.
참고문헌
1. 加地伸行 저, 김태준 역, 『유교란 무엇인가』, 지영사, 1996
2. 한국사상사연구회 편저, 『조선 유학의 자연철학』, 예문서원, 1998
3. 村山智順 저, 노성환 역, 『조선의 귀신』, 민음사, 1990
4. 조동일, 『한국의 문학사와 철학사』, 지식산업사, 1996
5. 윤주필, 『국문학론집』15, 「귀신론과 귀신이야기의 관계 고찰을 위한 시론」,단국대학교국어국문학과, 1997
6. 楊祖漢 저, 황갑연 역, 『중용철학』, 서광사, 1999
7. 金時習 저, 심경호 옮김, 『금오신화』, 홍익출판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