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연구] 의식과 무의식

 1  [정신분석연구] 의식과 무의식-1
 2  [정신분석연구] 의식과 무의식-2
 3  [정신분석연구] 의식과 무의식-3
 4  [정신분석연구] 의식과 무의식-4
 5  [정신분석연구] 의식과 무의식-5
 6  [정신분석연구] 의식과 무의식-6
 7  [정신분석연구] 의식과 무의식-7
 8  [정신분석연구] 의식과 무의식-8
 9  [정신분석연구] 의식과 무의식-9
 10  [정신분석연구] 의식과 무의식-10
 11  [정신분석연구] 의식과 무의식-11
 12  [정신분석연구] 의식과 무의식-12
 13  [정신분석연구] 의식과 무의식-13
 14  [정신분석연구] 의식과 무의식-14
 15  [정신분석연구] 의식과 무의식-15
 16  [정신분석연구] 의식과 무의식-16
 17  [정신분석연구] 의식과 무의식-17
 18  [정신분석연구] 의식과 무의식-18
 19  [정신분석연구] 의식과 무의식-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신분석연구] 의식과 무의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는말
무의식의 배경 - 히스테리 연구
의식과 무의식(unconscious)
무의식 탐구의 현대적 방법
실수 와 재치
노이로제(신경증) 사례
의식과 무의식에 대한 비판
나가는 말
- 참고도서
본문내용
들어가는말
정신분석학은 프로이트에 의해 시작되었던 과학적인 이론이며 그의 이름과는 뗄 수 없는 관련을 가지고 있다. 정신분석학의 시작은 여러 해에 걸쳐 이루어졌는데 1895년 무렵에 정신분석학의 발달은 상당히 진행되어 있었다. 프로이트는 심리학 역사상 가장 위대한 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고 천재였다. 프로이트가 발전시킨 심리학 이론은 현대의 문학, 예술, 종교, 윤리관, 사회과학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프로이트와 그의 이론을 이해하는 것은 비단 심리학뿐만 아니라 현대의 예술, 학문 그리고 사상 전반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비록 프로이트가 언뜻 보기에는 심리학의 주류에서 밀려나 있는 듯이 보이지만 대부분의 성격이나 치료에 관한 심리학 이론들이 그의 이론에 기초하고 있거나 반기를 들고 나온 것들이다. 프로이트의 영향은 아직도 학문과 일상생활 곳곳에 스며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는 프로이트의 히스테리 연구를 통한 의식과 무의식에 대해 알아보고 무의식에 영향으로 나타나는 실수와 재치 그리고 노이로제(신경증)에 대한 사례를 통해 무의식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무의식의 배경 - 히스테리 연구

히스테리는 국어사전에 의하면 정신적, 심리적 갈등 때문에 일어나는 정신병의 한가지, 신체적 이상이 없는데도 감각장애나 두통 따위가 생기며 경련과 경직, 규환(큰소리로 부르짖음) 따위를 수반한다. 또한 병적으로 흥분하며 감정을 억제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하는 노이로제, 즉 신경증의 하나이다.

프로이트는 환자들을 대하는 의사로서, 히스테리 환자들을 접하면서 의문점을 갖게된다. 이 히스테리는 증상의 형태를 취하기도 하고, 히스테리 환자의 인격 장애 형태를 취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지그문트 프로이트 전집:일상생활의 정신병리학, Sigmund Freud, 임홍빈,1998, 도서출판 열린책들.
지그문트 프로이트 전집:무의식에 관하여, Sigmund Freud, 윤희기, 1998, 도서출판 열린책들.
지그문트 프로이트 전집:정신분석강의(상), Sigmund Freud, 윤희기, 1998, 도서출판 열린책들.
프로이트 사상의 재조명, Erich Fromm, 이경식 역, 1981, 전망사.
프로이트 심리학입문, Calvin S. Hall, 이용호 역, 1973, 백조출판사.
프로이트 심리학의 기본이론, 캘빈 에스홀, 배재서관.
프로이트에서 라깡까지 위대한 7인의 정신분석가, J. -D. Nasio 외, 이유섭 외, 2001, 백의.
정신분석 입문,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성호 역, 1997, 오늘.
정신분석학, Charles Brenner, 이근후 ․ 박영숙 역, 1987, 하나의학사.
한권으로 읽는 프로이트, 데이비드 스테포드클라크, 최창호 역,1997, 푸른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