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의 해석과 비평]신비평 이론의 수입 및 비평 방법 정립 - 신비평 VS 형식주의

 1  [현대시의 해석과 비평]신비평 이론의 수입 및 비평 방법 정립 - 신비평 VS 형식주의-1
 2  [현대시의 해석과 비평]신비평 이론의 수입 및 비평 방법 정립 - 신비평 VS 형식주의-2
 3  [현대시의 해석과 비평]신비평 이론의 수입 및 비평 방법 정립 - 신비평 VS 형식주의-3
 4  [현대시의 해석과 비평]신비평 이론의 수입 및 비평 방법 정립 - 신비평 VS 형식주의-4
 5  [현대시의 해석과 비평]신비평 이론의 수입 및 비평 방법 정립 - 신비평 VS 형식주의-5
 6  [현대시의 해석과 비평]신비평 이론의 수입 및 비평 방법 정립 - 신비평 VS 형식주의-6
 7  [현대시의 해석과 비평]신비평 이론의 수입 및 비평 방법 정립 - 신비평 VS 형식주의-7
 8  [현대시의 해석과 비평]신비평 이론의 수입 및 비평 방법 정립 - 신비평 VS 형식주의-8
 9  [현대시의 해석과 비평]신비평 이론의 수입 및 비평 방법 정립 - 신비평 VS 형식주의-9
 10  [현대시의 해석과 비평]신비평 이론의 수입 및 비평 방법 정립 - 신비평 VS 형식주의-10
 11  [현대시의 해석과 비평]신비평 이론의 수입 및 비평 방법 정립 - 신비평 VS 형식주의-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시의 해석과 비평]신비평 이론의 수입 및 비평 방법 정립 - 신비평 VS 형식주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신비평(新批評) VS 형식주의(形式主義)
① 미국의 신비평
② 러시아의 형식주의
③ 공통점과 차이점
# 한국의 신비평
①신비평의 수용
② “저만치”의 의미 - 시와 소설의 비평 방법과 예
③ 비판과 의의
* 참고 자료*
@ 한국 현대시에 대한 엠프슨 이론의 적용의 예
본문내용
신비평이 나타나게된 것은 20세기 초 영국에서 전개된 엘리어트의 비평, 리차즈의 이른, 엠프슨의 실천을 근거로 한다. 이들의 영향 속에서 미국의 비평가 랜섬은 1941년 《신비평》이라는 이름으로 평론집을 간행하고, 이 책이 계기가 되어 미국을 중심으로 신비평이라는 새로운 비평 양식이 유행하게 된다. 신비평의 전개 과정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있지만, 라이치의 견해에 의하면 그것은 다음과 같은 세 단계로 전개된다.
첫째 단계는 1920년대로 이 시기에는 신비평의 기초가 확립된다, 영국에서는 위에서 말한 엘리어트, 리차즈, 엠프슨이, 미국에서는「도망자(Fugitives)」그룹과 「토지(Agrarians)」그룹으로 알려진 비평가들, 특히 랜섬과 테이트가 신비평의 토대 형성에 기여한다. 둘째 단계는 1930년대로부터 1940년대에 걸쳐 전개된다. 이 시기에는 새롭게 형성되는 이런 비평 양식에 공감하는 많은 비평가들, 그리고 이른바 신비평가들로 불리는 비평가들이 여러 문학 계간지, 대학 문과, 대학 교재, 나아가 교과 과정을 통해 그들의 문학적 신념을 확산한다. 1940년대 말까지 활동한, 신비평과 관련된 주요 비평가들로는 엘리어트, 리차즈, 엠프슨, 랜섬, 테이트, 블랙머, 브룩스, 웰렉, 윔샛 등을 꼽는다. 이 시기의 신비평의 발전에 결정적인 도움을 준 잡지로는 영국의 경우 엘리어트가 중심이 된 《기준》(1922~1939), 리비스가 중심이 된 《검사》(1932~1953), 미국의 경우 브룩스와 워렌이 편집한 《남부 리뷰》(1935~1942), 랜섬이 중심이 된 《캐년 리뷰》(1938~1959), 테이트가 중심이 된 《스와니 리뷰》(1944~1945) 등을 들 수 있다. 셋째 단계는 1940년대로부터 1950년대 말까지 전개된다, 이 시기에는 신비평이 그 혁명성을 상실하면서 그 후계자들이 신비평의 이론에 대한 복잡한 규범적 진술을 밝힌다. 이 시기의 산물로는 웰렉과 워렌의 《문학의 이론》(1949), 윔샛의 《언어적 도상》(1954), 크리거의 《시를 위한 새로운 변명》(1956), 브룩스와 윔샛의 《문학 비평 소사》(1957) 등이 있다.
참고문헌
「한국 현대문학의 이론과 지향」, 문학과 문학교육 연구소, 국학자료원, 1997
「신비평과 형식주의」, 브룩스외 / 이경수 외 옮김, 고려원, 1991
「러시아 형식주의」 츠베탕 토도로프 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7
「개념사로서의 한국근대비평사」, 손정수 , 역락 , 2002
「한국 현대소설 비평론」, 이익성 , 태학사 , 2002
「문학비평의 방법과 실제」,이선영 편, 동천사,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