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문학] 속담과 수수께끼

 1  [한국민속문학] 속담과 수수께끼-1
 2  [한국민속문학] 속담과 수수께끼-2
 3  [한국민속문학] 속담과 수수께끼-3
 4  [한국민속문학] 속담과 수수께끼-4
 5  [한국민속문학] 속담과 수수께끼-5
 6  [한국민속문학] 속담과 수수께끼-6
 7  [한국민속문학] 속담과 수수께끼-7
 8  [한국민속문학] 속담과 수수께끼-8
 9  [한국민속문학] 속담과 수수께끼-9
 10  [한국민속문학] 속담과 수수께끼-10
 11  [한국민속문학] 속담과 수수께끼-11
 12  [한국민속문학] 속담과 수수께끼-12
 13  [한국민속문학] 속담과 수수께끼-13
 14  [한국민속문학] 속담과 수수께끼-14
 15  [한국민속문학] 속담과 수수께끼-15
 16  [한국민속문학] 속담과 수수께끼-16
 17  [한국민속문학] 속담과 수수께끼-17
 18  [한국민속문학] 속담과 수수께끼-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민속문학] 속담과 수수께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본 문
◎ 속담의 개념과 발생
◎ 속담의 특징 및 격언류와의 차이
◎ 속담의 형태
◎ 속담의 세계관
◎ 속담의 기능에 따른 분류
◎ 수수께끼의 개념과 어원
◎수수께끼의 발생과 분류
◎ 수수께끼의 형태
◎수수께끼 기능

Ⅲ. 맺음말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Ⅰ. 머리말

우리의 역사가 변화함에 따라 함께 변화하면서 전해 내려온 지식적․정신적 유산 중의 하나가 속담과 수수께끼이다.
누군가의 입을 빌어 나온 민족 모두의 슬기의 발로로서 속담은 옛날부터 전해오는 사람들의 마음속에 깊은 공감을 얻어 널리 퍼진 민간의 격언으로 교훈․풍자․경험 등의 뜻이 담긴 짧은 말이며 수수께끼는 민간의 언어게임이자 말놀이이며, 기지․지혜의 경합이다. 김태곤 외 (1995)『한국구비문학개론』민속원, 405쪽

이러한 속담과 수수께끼를 우리는 보통 쉽게 흘려버려도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경향이 있는데 그것은 잘못된 것이다. 속담과 수수께끼 안에는 조상들의 생활이 반영되어 있으며 우리 민족의 특성․재치․지혜 등이 담겨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속담과 수수께끼를 통해 삶과 생활의 지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속담과 수수께끼에 대해 정확히 잘 아는 것이 상당히 중요한 일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여기에서 속담의 용어와 개념, 특징, 형식과 기능과 수수께끼의 용어, 특징, 분류, 형식과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참고문헌
김동진, ≪4천년간조선이어해석≫, 덕흥서림, 1928.
김선풍 외,《한국민간문학개설》, 국학자료원, 1987.
김선풍 외,《민속문학이란 무엇인가》, 집문당, 1993.
김성배, ≪수수께끼사전≫, 언어문화사, 1973.
김승찬 외,《한국구비문학론》, 새문사, 2003.
김태곤 외,《한국구비문학개론》, 민속원, 2003.
김태곤,《한국무속연구》, 집문당, 1991.
김태곤,《한국민속학원론》, 서울:시인사, 1984.
글벗집, ≪수수께끼책≫, 글벗집, 1962.
리처드 M.도슨 편,나경수 역, 《민속조사방법론》, 전남:전남대출판부, 1995.
민속학회,《한국민속학의 이해》, 서울:문학아카데미,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