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자호란 시기 화의파와 척화파의 시대인식과 현실대응 방식 - 최명길과 김상헌의 사상적 배경을 중심으로

 1  병자호란 시기 화의파와 척화파의 시대인식과 현실대응 방식 - 최명길과 김상헌의 사상적 배경을 중심으로-1
 2  병자호란 시기 화의파와 척화파의 시대인식과 현실대응 방식 - 최명길과 김상헌의 사상적 배경을 중심으로-2
 3  병자호란 시기 화의파와 척화파의 시대인식과 현실대응 방식 - 최명길과 김상헌의 사상적 배경을 중심으로-3
 4  병자호란 시기 화의파와 척화파의 시대인식과 현실대응 방식 - 최명길과 김상헌의 사상적 배경을 중심으로-4
 5  병자호란 시기 화의파와 척화파의 시대인식과 현실대응 방식 - 최명길과 김상헌의 사상적 배경을 중심으로-5
 6  병자호란 시기 화의파와 척화파의 시대인식과 현실대응 방식 - 최명길과 김상헌의 사상적 배경을 중심으로-6
 7  병자호란 시기 화의파와 척화파의 시대인식과 현실대응 방식 - 최명길과 김상헌의 사상적 배경을 중심으로-7
 8  병자호란 시기 화의파와 척화파의 시대인식과 현실대응 방식 - 최명길과 김상헌의 사상적 배경을 중심으로-8
 9  병자호란 시기 화의파와 척화파의 시대인식과 현실대응 방식 - 최명길과 김상헌의 사상적 배경을 중심으로-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병자호란 시기 화의파와 척화파의 시대인식과 현실대응 방식 - 최명길과 김상헌의 사상적 배경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17세기의 시대적 상황
2. 최명길과 김상헌의 생애와 약력
Ⅱ. 본론
1. 화의파와 척화파의 사상적, 철학적 배경
2. 작품에 나타난 시대인식과 현실대응 양상 비교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1. 17세기의 시대적 상황

한민족은 상고대로부터 고유한 언어와 판도를 가지고 살아오는 동안 고유한 풍습과 신앙을 배경으로 성장 ․ 발전하여 왔으며 일찍부터 인접한 중국을 통해 儒 ․ 佛 ․ 道 등의 사상을 수용하여 독특한 한국사상으로 재창조하고 현실에 적응시켜 왔다. 그리하여 역사적으로 볼 때, 특히 사상적 전환을 이루거나 왕조가 교체되는 시기 등에 있어서는 어떠한 가치관이 주어진 상황에 어떻게 적용 ․ 발전되느냐에 따라 국가와 민족의 흥망이 좌우되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한 시대, 한 사회는 그 시대, 그 사회의 독특한 문화와 가치관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은 하나의 원리로써 시대를 이끌어 나가는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 중에서도 유학사상은 인간의 사고와 행동에 있어서 기준점을 제시해 주었으며, 특히 주자학과 양명학은 한국근세사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갖는 것으로서 정치 ․ 사회 ․ 교육 ․ 문화 등의 사상적인 밑받침이 되어왔다.
특히 유교의 화이론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조선의 지식인들은 전통적으로 여진족을 ‘오랑캐’이자, ‘열등하고 하잘 것 없는 존재’로 여겨왔다. 특히 여진족이 통일국가를 형성하지 못하고 조선으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받았던 16세기 말엽까지만 해도 조선 지식인들은 조선을 여진족의 상국(上國)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렇게 여진족을 열등하게 여기는 분위기는 명청교체의 흐름이 가시화되고 있었던 17세기 초에도 의연히 이어졌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병자호란이 일어나고 결국 남한산성에서 고립된 지경에 이르렀을 지라도 청에게 항복한다는 것은 조선의 지식인들로서는 좀처럼 받아들이기 어려운 선택이었다. 오랑캐에게 항복하는 것을 끝까지 반대했던 척화파(斥和派)의 대표자라 할 수 있는 삼학사(三學士)들이 자신들의 주장에 책임을 지기 위해 스스로 청진영으로 나아가고, 심양으로 끌려가 죽음을 맞이했던 것이 그 대표적인 예였다.
17세기 초는 조선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국제 관계에 있어서도 조선, 명, 일의 3국의 정세에 중대한 시기이며 이러한 원인의 시발점은 임진왜란이다. 조선은 사대부의 분열과 무책임한 집권층 하에서 외침에 대한 방비가 전혀 없이 임진란을 당하여 7년여에 걸친 전쟁으로 인해 거의 전 국토가 유린당하고 많은 문화재가 유실되는 등 수많은 인적, 물적 손실을 입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경작면적의 감소로 인한 농촌경제의 파탄과 국가 재정의 궁핍은 심각한 사회 ․ 경제적 문제를 야기시켰으며 그것은 농업경제에 기반을 두고 있었던 조선 사회를 뿌리부터 흔들어놓는 것이었다. 또한 전쟁으로
참고문헌
金尙憲과 崔鳴吉의 哲學思想과 歷史意識에 關한 硏究, 박세한 / 成均館大學校. 1989
淸陰 金尙憲의 生涯와 文學, 하진규 / 高麗大學校. 1982
청음 김상헌 선생의 의리정신 1, 서정기 / 우리문화연구원. 1999
최명길과 김상헌, 오수창 / 역사문제연구소. 1999
遲川 崔鳴吉의 現實 變通論, 金泰永 / 道山學會. 2003
遲川 崔鳴吉의 經世觀과 官制變通論, 李在喆 / 螢雪出版社. 1992
崔鳴吉의 政治活動과 權力構造 改編論, 李綺南 / 一潮閣.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