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 성리학의 논쟁 간재 전우와 노사 기정진의 중심으로

 1  호남 성리학의 논쟁 간재 전우와 노사 기정진의 중심으로-1
 2  호남 성리학의 논쟁 간재 전우와 노사 기정진의 중심으로-2
 3  호남 성리학의 논쟁 간재 전우와 노사 기정진의 중심으로-3
 4  호남 성리학의 논쟁 간재 전우와 노사 기정진의 중심으로-4
 5  호남 성리학의 논쟁 간재 전우와 노사 기정진의 중심으로-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호남 성리학의 논쟁 간재 전우와 노사 기정진의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호남 성리학의 논쟁
간재 전우와 노사 기정진의 중심으로
1. 시대적 배경
① 조선왕조말기 시대적 배경 성리학의 흐름
조선왕조말기, 즉 한말은 대체로 고종 순종의 재위 기간으로 고종원년(1864)부터 한일합방으로 조송왕조가 멸망하는 순종 4년(1910)사이의 반세기 남짓한 짧은 기간으로 잡을 수 있다
한말은 역사적상황이 매우 긴박했던 만큼 그 시대상황과 연관되는 사상도 진지하고 절실한 것이었다. 역사적 파국과 유교전통붕괴라는 위기의식이 고조되는 상황에 직면하여, 그 이론의 구축도 더욱 예리하였고 실천적 대응도 더욱 강경하여 성리학이 마지막장을 가장 치열하고 폭발적 활력으로 전개시켰다.
특히, 성리설과 의리론이 중심과제가 되었다. 성리설에 대한 새로운 각성을 하게 된 것은 격동의 역사적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철학적 기반을 확립하기 위한 요구에 상응하는 것이라 하겠으며 의리론을 강화하는 것은 위기상황에 대응하는 도학이념의 판단기준을 확립하고 행동원리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금장태 p. 195~196 참조
성리설 논쟁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사단칠정논쟁’, ‘인물성동이론논쟁’등이 있는데 이는 인간내면의 도덕적 근거에 대한 논쟁이었다는 점에서 인간 문제 대한 철학적 관심이 조선시대 도학의 지속적 주제라 할 수 있다. 특히, 한말은 당시 국가 존망의 위기와 유교정통성의 위기에 당면하여 자기 존재를 어떻게 각성함으로써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의 문제를 안고 있었다. 바로 이 점에서 ‘마음’의 문제는 개체의 주체로서 역사적 상황에 대응하는 논리적 근거를 확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안보오 p. 63참조
② 위정척사
이 시대에는 우선 서양세력이 밀려왔고 일본에 의하여 강제로 맺은 불평등조약인 강화도조약은 조선의 선비들에게 치욕을 가져왔다. 이들 성리학자들은 서양과 일본을 오랑캐라고 하여 배척하였는데 김홍집이 일본의 수신사로 갔다가 주일 청국참사관 황준헌의 「조선책략」을 가져와 배포함으로서 위정척사운동이 일어났다. 위정척사의 실천은「맹자」의 벽이단에 근거한 것으로서 마음에서 비롯된다고 하여 심에 대한 정의 즉 심설에 대하여 학파간의 논쟁이 있었는데 이를 심설논쟁이라고 한다. 그 심설 논쟁 중에 율곡, 송시열과 낙론을 계승하는 간재 전우과 노사 기정진학파도 있었다. 이종우 p. 155~156참조
2. 노사 기정진과 간재 전우
(1) 기정진
본관 행주. 자 대중. 호 노사. 시호 문간. 전북 순창 출신. 8,9세에 이미 경사에 통했고, 유학에 전심하여 진사에 합격한 후, 여러 번 벼슬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다가 후에 호조참판에 이르렀다. 송대의 철학자 주돈이·장재·정이·주희 등의 성리학을 독자적으로 연구함으로써 대성하였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