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스 글럭먼 Max Gluckman

 1  막스 글럭먼 Max Gluckman-1
 2  막스 글럭먼 Max Gluckman-2
 3  막스 글럭먼 Max Gluckman-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막스 글럭먼 Max Gluckman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막스 글럭먼(Max Gluckman)
1. 막스 글럭먼에 대하여
1950년대와 1960년대 내내 주류(래리클리프 브라운과 말리노프스키)를 거슬러 움직이는 소용돌이와 조류가 있었고 이 비주류의 지도자중 한 사람이 막스 글럭먼이다. 그의 위치는 1950년대에야 확고해졌다. 나중에 특히 에번스프리처드의 초기 연구에 감화되어 새로운 옥스퍼드 구조주의의 영향을 받게 된다.
그는 1936년에서 1938년 사이에 줄룰란드(zululand)에서 현지조사를 하였다. 1940년에 그의 첫 번째 주요 논문들이 나왔는데,「아프리카의 정치체계」의 줄루인에 관한 장과 「현대 줄룰란드의 한 사회상황에 대한 분석」(Analysis of a Social Situation in Modern Zululand)이라는 짧은 저서의 첫 부분이 그것들이다. 이 논문들에서 그는 옥스퍼드 이론의 중심 문제였던 분절적 대립(segmentary opposition)을 다루었으나, 다른 형태의 대립과 갈등에 대해서도 관심을 보였으며 이것이 후에 그가 더욱 매진한 문제였다.
글럭먼은 기본적으로 항상 옥스퍼드 구조주의자였다. 규범의 상충과 규칙과 조작 문제에 끌렸고 이 문제를 연구하기 위해 역사적 시각과 확대된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지금 단계에서는 개척 세대와 전후 세대를 이어주는 인물인 글럭먼이 1930년대에 정립되었던 이론들의 범위를 넓히고 그 짜임새를 예리하게 가다듬는 데 주로 관심이 있었다는 점을 지적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러한 작업 때문에 이후에 새로운 선택들이 가능했다. 글럭먼이 퍼뜨리려고 했던 메시지를 한 문장으로 요약한다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
사회체계들의 중심 동력은, 종종 상충하거나 애매모호한 규칙들이 만들어낸 틀 속에서 자신들의 재력과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서로 경쟁하는 사람들, 즉 그들이 행하는 정치적 활동이다.
2. ‘갈등’에 대한 글럭먼의 구조적 분석
당대의 변화에 대한 설명 방식과 더불어 나타난 것이 맨체스터 학파의 거두 글럭먼의 갈등 이론이다. 그는 사회변화 및 부족 생활과 도시 생활의 관계에 강한 관심을 보였으며, 아프리카 사회의 복합적인 역학을 고찰했다. 그가 다루었던 주제들은 사회적 행위, 규칙과 행위 간의 괴리, 사회 규범 내의 모순, 갈등의 구조, 분쟁해결의 수단 등 이었다. 그의 논문 「Analysis of a Social Situation in Modern Zululand」는 남아프리카 식민지에서 나타나는 줄루족과 유럽인들과의 사회적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갈등에 관한 사회학적 관심은 Hegel의 “변증법”, Marx의 “모순”과 “투쟁”, 그리고 Simmel의 “갈등” 개념에서 그 전통을 찾아볼 수 있으나 인류학적 전통만 놓고 볼 때, 이 학자들의 이론적 관심은 Gluckman과 맨체스터 학파에 의해 가장 대표적으로 나타난다. 글럭먼은 급격한 변화, 또는 사회구조의 변화에 주목한 하였으며, 그는 당시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던 사회체계 모델을 거부했다. 그가 거부했던 이 모델은 사회체계를 문화적으로 정의된 평형상태 속에서 점진적인 단계를 거쳐 움직이며 기능적으로 서로 연결된 부분들의 집합체로 보았다. 이 모델에서는 변화가 너무 느려 평형상태가 무너지거나 통합이 파괴될 수 없다. 그의 주된 관심사는 안정과 변화 사이의 관계, 정부가 없는 사회에서 질서가 유지되는 방식, 질서 유지에서 갈등이 차지하는 역할들에 있었다. 그는 기본적으로 갈등이 결과적으로 통합으로 이어진다고 보았다. 글럭먼에게 사회적 통합은 언제나 집단 이익 사이의 균형 상태를 의미했다.
「아프리카의 관습과 갈등」에서 그는 충성관계가 사회질서를 강화하고 사회적 결속은 갈등 자체의 산물이며 심지어 “전체체계는 하위 체계에 내재하는 갈등에 의존 한다”라고 주장한다.
3. 평형상태 모델(equilibrium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