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막스 이론의 형성과 미학

 1  인문과학 막스 이론의 형성과 미학-1
 2  인문과학 막스 이론의 형성과 미학-2
 3  인문과학 막스 이론의 형성과 미학-3
 4  인문과학 막스 이론의 형성과 미학-4
 5  인문과학 막스 이론의 형성과 미학-5
 6  인문과학 막스 이론의 형성과 미학-6
 7  인문과학 막스 이론의 형성과 미학-7
 8  인문과학 막스 이론의 형성과 미학-8
 9  인문과학 막스 이론의 형성과 미학-9
 10  인문과학 막스 이론의 형성과 미학-10
 11  인문과학 막스 이론의 형성과 미학-11
 12  인문과학 막스 이론의 형성과 미학-12
 13  인문과학 막스 이론의 형성과 미학-13
 14  인문과학 막스 이론의 형성과 미학-14
 15  인문과학 막스 이론의 형성과 미학-15
 16  인문과학 막스 이론의 형성과 미학-16
 17  인문과학 막스 이론의 형성과 미학-17
 18  인문과학 막스 이론의 형성과 미학-18
 19  인문과학 막스 이론의 형성과 미학-19
 20  인문과학 막스 이론의 형성과 미학-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과학 막스 이론의 형성과 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막스 이론의 형성과 미학
▶ 토대와 상부구조
1. 전복의 두 가지 전제
① 중요한 것은 세계를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실제 세계를 다룰 것을 강조
② 인간의 존재를 결정 짓는 것은 인간의 의식이 아니다. 오히려 인간의 사회적 존재가 인간의 의식을 결정짓는다 →모든 정신적(이데올로기적) 체계들은 실제 사회경제적 존재의 산물임을 주장; 한 사회의 지배계급의 물질적 이해관계가 인간의 존재방식을 결정짓는다 → 상부구조(이데올로기정치)란 토대(사회경제적 관계) 위에 놓여져 있다.→ 인간 역사의 어느 특정 단계의 사회적경제적 질서를 결정하는 지배와 피지배(착취)의 관계가 사회의 총체적인 문화적 삶을 결정짓게된다는 것이다.(야기시키는 것이 아니다)→그후(1890년대) 막스와 엥겔스는 예술철학의식 등의 다른 형태들도 비교적 자율적이고 인간의 존재를 변형시킬 수 있는 독자적인 능력을 인정함
2.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근본적으로 예술과 문학이 그것을 배태한 사회적 생활을 일차적으로 반영하는 정신적 활동의 기제라고 보지만, 동시에 문학 및 예술은 그것을 배태한 사회적 현실에 능동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개입하여, 특정한 시대와 특정한 사회의 모순을 극복하고 그것을 변혁하는 데 중요한 무기이자 도구가 된다는 점을 주목하게 되었다.
3. 이것은 문학 및 예술이 지니고 있는 중요한 이데올로기적 성격의 양면성으로, 문학이나 예술은 계급들이 대립하고 있는 사회에서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를 선전하고 그것을 정당화하는 데 동원될 수도 있지만, 동시에 그리고 거꾸로 피지배계급(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노동자 계급 및 광범위한 근로 대중)에게 자신들의 현재 처지와 사회적 모순을 일깨우고 교육하여 그의식을 발전시킴으로써 사회적 혁명을 앞당기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고 보았다
4. 막스가 당면한 문제는 오래 전에 소멸된 사회조직체 안에서 생산된 예술과 문학이 어떻게 오늘날까지 심미적 즐거움을 줄 수 있으며, 규범적이고 동시에 도달하기 어려운 이상으로 간주될 수 있는지를 설명해야만 하는 것.→막스는 예술의 보편성과 영구성을 마지못해 인정→그리스 비극의 위대성은 존재에 대한 보편적이고 불변하는 사실이 아니라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재생산되어져야만 하는 하나의 가치인 것→트로치키는 {문학과 혁명}에서 예술적 창조란 예술의 특별한 법칙에 따른 리얼리티의 변화변형임을 시인
▶ 리얼리즘의 문제
1. 문학이 일정한 계급 이데올로기를 반영하고, 동시에 그것이 계급투쟁에서 피지배계급의 편에 서서 사회적 모순을 제거하고 혁명을 앞당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마르크스의 주장도, 지나치게 기계적으로 이해되어 정작 그들이 바라고 원했던 변증법적인 문학예술의 기능과 소임을 제대로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마르크스주의 비평이론을 고찰할 때, 그 중요한 통로로서 리얼리즘 이론을 함께 살펴보지 않을 수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서 비롯된다.
2.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예술 창조는 현실을 반영함과 동시에 현실을 지각하고 이해하는 방법들 중 하나라는 생각을 지니고 있었다. 마르크스주의 비평이 인식론의 문제와 밀접한 관련을 갖게 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리얼리즘이란 문학이 현실을 반영할 때, 그저 막연하고 피상적인 현실의 단순한 모사나 복제에 그치지 않고, 한 사회가 특정한 시기에 직면하고 있는 고유한 모순과 현실 운동의 본질적인 연관을 얼마나 정확하고 적절하게 그려 내는가에 관한 예술적 방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3. 이러한 일련의 예술화 과정을 거쳐 작품에 반영된 현실은 단순히 하나의 예술적 반영에 그치지 않고 현실을 정확하게 인식하도록 만드는 역할도 함께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떻게 하는 것이 현실을 정확하고 충실하게 반영하는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이 문제와 관련해서, 엥겔스가 영국의 소설가인 마가렛 하크니스의 작품 [도시의 소녀(City Girl)]에 대한 독후감 형식으로 보낸 편지 속에 들어있는, 리얼리즘의 관한 중요한 정의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내 생각으로 리얼리즘은 세부적 진실 외에도 전형적인 상황하에서 전형적인 인물의 진실된 재현을 의미한다는 것입니다."
4. 이 정의를 통해 정리해 낼 수 있는 충실한 현실 재현의 조건은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세부적 진실이며, 둘째는 전형적 상황, 그리고 셋째는 전형적 인물이다.
① 전형성 :리얼리즘 이론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두 번째와 세 번째의 조건으로, 이것을 합쳐 전형(성) 개념이라고 부른다. 마르크스주의 이론가 중에서 이 개념에 대해 가장 풍부한 고찰을 시도했던 사람은 게오르그 루카치인데, 그의 설명에 기대자면 전형성의 창조란 예술가가 어떤 구체적인 인간들의 운명 속에 그들이 속해 있는 특정 시대와 국가와 계급을 가장 잘 표출하는 어떤 역사적 상황의 가장 중요한 특징들을 구현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