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동학가사』의 책판 및 판본의 특징

 1  상주『동학가사』의 책판 및 판본의 특징-1
 2  상주『동학가사』의 책판 및 판본의 특징-2
 3  상주『동학가사』의 책판 및 판본의 특징-3
 4  상주『동학가사』의 책판 및 판본의 특징-4
 5  상주『동학가사』의 책판 및 판본의 특징-5
 6  상주『동학가사』의 책판 및 판본의 특징-6
 7  상주『동학가사』의 책판 및 판본의 특징-7
 8  상주『동학가사』의 책판 및 판본의 특징-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상주『동학가사』의 책판 및 판본의 특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상주『동학가사』의 책판 및 판본의 특징

Ⅰ. 머리말
Ⅱ. 동학가사의 간행과 유통
Ⅲ. 동학가사의 책판 현황과 특징
Ⅳ. 동학가사의 판본 현황과 특징
Ⅴ. 맺음말
Ⅰ. 머리말
동학은 경상도 경주의 궁벽한 시골 몰락한 양반의 집에서 태어나 갑자기 득도한 崔濟愚(1824~1864)에 의하여 창도되었다. 처음에는 천주교 즉 서학에 대립되는 개념으로 ‘동학’으로 불렸으나 후에 동학이 북접과 남접으로 나누어지면서 최시형의 북접에서는 손병희에 의해서 천도교 등으로 불렸고, 남접에서는 경천교, 동학교, 청림교 등으로 불리게 되었다. 남접 동학의 교주 金周熙(1860~1944)는 1915년을 전후하여 동학교의 교당을 상주시 은척면 우기리에 설립하는데 그가 창도한 동학교는 1922년에 총독부로부터 공인을 얻게 되었다. 이때를 전후하여 1932년까지 동경대전을 비롯한 9종의 경전과 112편의 동학가사를 간행하는 사업을 펼쳐 적극적으로 포교에 임하였다. 그러나 1936년 공인취소와 집회금지를 통고받고 1943년 10월부터는 핵심신도 체포, 서적과 집기 압수 등의 직접적인 탄압을 받기 시작하였다. 김주희도 1943년 무단집회와 무단출판의 보안법 및 출판법 위반으로 대구교도소에서 복역, 병보석으로 풀려 났으나 1944년 사망하였다. 부교주 金洛世도 김주희와 함께 복역하다가 후에 대구형무소에서 옥사하였다. 이로써 동학교의 교세는 급격히 쇠퇴하였다. 배현숙,「상주 동학교당 간행과 수장 서적고」, 『서지학연구』, 권22, 서지학회, 2001, 39쪽.
학계에서는 동학가사란 동학이 창도되는 1860년에서 1863년 사이에 동학의 교조 최제우가 지은 『용담유사』를 비롯하여 동학의 3세교조인 손병희에 의하여 지어진 가사 또 상주 동학교의 김주희에 의하여 지어진 가사, 그 외에 동학 계열의 가사 및 동학 교도라고 인정되는 사람들의 가사를 통틀어서 말한다. 윤석산, 「동학가사에 나타난 근대의식 연구」, 동아시아 문화연구, 제25권,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91, 89쪽
특히 상주 동학가사는 김주희 개인의 창작 뿐만 아니라 최제우 이후 창작되고 전승된 가사들도 함께 수록된 가능성이 충분히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원식, 「동학가사 해제」, 『동학가사』Ⅰ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9.
본고는 1860년 최제우에 의해 창도된 이래 동학의 문학적 표현물인 동학 가사에 대하여 살피는데 그 뜻이 있다. 특히 동학가사의 집대성이라 할 수 있는 상주 동학가사의 간행과 유통, 동학가사의 책판과 판본의 현황과 특징을 알아봄으로써 조선 후기 인쇄문화의 수준과 흐름을 파악해 볼 수 있겠다. 동학가사에 대한 연구 경향은 용담유사에 대한 내용 분석 이정옥, 「동학가사와 내방가사 및 『진각교전』의 여성의식의 비교」, 동학연구, 권3, 1998.
윤석산, 같은 논문.
김기현, 「동학가사에 나타난 동학의 변모」, 『문학과 언어』, 권16, 문학과 언어연구회, 1995.
김상일, 「전후기 동학가사의 연구」, 동학연구』, 권14, 2003.
과 판본의 서지학적 연구 이형근, 「용담유사의 이본고」, 『어문교육논총』 9집,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1986.
유상화, 「상주 동학가사의 문헌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3.
배현숙, 같은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