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국어문법론 제6장 의미의 복합관계

 1  표준국어문법론 제6장 의미의 복합관계-1
 2  표준국어문법론 제6장 의미의 복합관계-2
 3  표준국어문법론 제6장 의미의 복합관계-3
 4  표준국어문법론 제6장 의미의 복합관계-4
 5  표준국어문법론 제6장 의미의 복합관계-5
 6  표준국어문법론 제6장 의미의 복합관계-6
 7  표준국어문법론 제6장 의미의 복합관계-7
 8  표준국어문법론 제6장 의미의 복합관계-8
 9  표준국어문법론 제6장 의미의 복합관계-9
 10  표준국어문법론 제6장 의미의 복합관계-10
 11  표준국어문법론 제6장 의미의 복합관계-11
 12  표준국어문법론 제6장 의미의 복합관계-12
 13  표준국어문법론 제6장 의미의 복합관계-13
 14  표준국어문법론 제6장 의미의 복합관계-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표준국어문법론 제6장 의미의 복합관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제6장 의미의 복합관계
※ 복합관계
- 하나의 형태나 표현이 둘 또는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님 (다의어, 동음어, 중의성)
1. 다의관계
1.1. 다의어의 규정
다의관계(polysemy)- 하나의 어휘소에 유연성을 지닌 둘 이상의 복합적 의미관계
단의어-일반적으로 하나의 의미만을 지닌 어휘소
다의어-다의관계를 맺고 있는 어휘소
기본의미(중심의미 )
파생의미(기본의미에서 번져나온 주변적인 의미)
‘먹다’의 경우
(1)ㄱ. 밥을 먹다.
ㄴ. 담배를 먹다.
ㄷ. 뇌물을 먹다.
ㄹ. 욕을 먹다.
ㅁ. 마음을 굳게 먹다.
ㅂ. 겁을 먹다.
ㅅ. 나이를 먹다.
ㅇ. 더위를 먹다.
ㅈ. 한 골 먹다.
ㅊ. 종이가 물을 먹다.
ㅋ. 두 섬 먹다.
ㅌ. 녹(祿)을 먹다.
ㄱ은 ‘먹다’의 중심의미 - 음식물을 입 안으로 삼키는 행위
ㄴ-ㅌ은 파생의미 - 기본의미와 파생의미가 다의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의미적 유연성(motivation)이 지속되어야 함.
울만(1962:62)의 분류-단의어, 다의어, 동의어 구조(212쪽 참조)
다의어 존재의 이유 - 이상적으로는 명칭과 의미가 1:1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표현세계는 무한한 데 비하여 언어기호는 유한한데, 만약 표현세계에 대응하는 무한한 언어기호가 존재하게 된다면 우리의 기억으로는 이를 감당할 수 없게 될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언어기호가 담당하는 의미 폭이 넓어져 다의어가 존재하게 된 것이다.
1.2. 다의어의 생성
울만(1962 : 159-67) - 다의성을 인간언어의 기본적 특성의 하나로 보고, 다의어의 생성을 다음과 같은 5가지 측면에서 검토하고 있다.
1.2.1. 적용의 전이
- 적용의 전이(shifts in application)-낱말은 사용되는 문맥에 따라 다수의 다른 양상을 띠는데, 그 중 일부는 일시적이지만, 다른 것은 의미의 영원한 잔영으로 발전하는데, 그 사이가 벌어져 마침내 같은 말의 다른 뜻으로 간주하게 되는 현상, 특히 형용사의 사용에 현저함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에 따라 뜻이 변화하기 쉽기 때문)
밝다
빛 → 색 → 표정 → 분위기 → 눈:귀 → 사리
[그림 ] ‘밝다’의 전이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