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도덕 교육론 _ 칸트의 도덕 철학

 1  초등 도덕 교육론 _ 칸트의 도덕 철학-1
 2  초등 도덕 교육론 _ 칸트의 도덕 철학-2
 3  초등 도덕 교육론 _ 칸트의 도덕 철학-3
 4  초등 도덕 교육론 _ 칸트의 도덕 철학-4
 5  초등 도덕 교육론 _ 칸트의 도덕 철학-5
 6  초등 도덕 교육론 _ 칸트의 도덕 철학-6
 7  초등 도덕 교육론 _ 칸트의 도덕 철학-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초등 도덕 교육론 _ 칸트의 도덕 철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초등 도덕 교육론 - 칸트의 도덕 철학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칸트의 도덕철학
2. 나의 사례
3. 적용 방법
Ⅲ. 결론
Ⅰ. 서론
2주간의 실습이 끝나고 다시 내 자리에 돌아와서 보고서를 쓰게 되었다. 반 학기동안 배웠던 도덕교육의 이론적 기초, 그리고 그에 기초한 사례와 그것을 가지고 어떻게 교육해야 하는가를 놓고 아무리 생각해봐도 답은 나오지 않았다. 칸트, 흄, 벤담과 밀, 니체,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 무수히 들어왔던 철학자들은 이름은 여전히 도움이 되지 않았고 그 사람에게 관련 있던 한 두 단어만 생각날 뿐이지 아무것도 생각나지 않았다. 그러던 중 실습 기간 중에 한 선생님이 보여주었던 비디오가 생각났다. 도덕성과 관련된 비디오였는데 도덕수업시간에 교수님이 보여주었던 전기 충격 실험 이야기도 나오고 초등학생 아이들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실험이 행해졌다. 메이저 과목들의 공부와 입시 공부 등으로 갈수록 아이들의 마음은 강팍해져 가고 도덕과 같은 것은 등한시 되는 현실 속에서 도덕성이 높은 아이들이 공부도 잘한다는 것이었다. 도덕성이 높은 아이들은 미래를 바라보는 눈도 밝고 실패에서 금방 극복될 수 있기 때문에 훌륭한 인간이 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실습 기간 동안 현장 속에서 본 아이들은 이성적 인간과 공리주의, 도덕성과는 관련이 없어보였다. 성선설인 것 같기도 하고 성악설인 것 같기도 하고 이성보다는 감성에 치우쳐 있었으며 배려나 이타적인 마음보다는 이기적인 마음에 치우쳐져 있었다. 자신의 것만 소중히 여기고 남의 물건을 함부로 쓰는 아이들이 모습, 그리고 자신의 것을 나눌 줄 모르는 아이들의 모습을 보며 어떠한 모습의 도덕적 교육이 이루어지면 좋을까 하고 생각해보다가 자율적 도덕성의 형성과 관련된 칸트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다.
Ⅱ. 본론
1. 칸트의 도덕 철학
1) 선의지와 의무
그는 선의지라는 개념을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으로 말미암아 행위 하는 것으로 명확하게 정의한다. 우선 의지라는 말을 살펴보면, 의지는 이성과 감성의 중간에 위치하는 심성으로서 이성처럼 판단함과 동시에 감성처럼 행위를 일으키는 능력도 갖추고 있다. 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어떤 종류의 행동을 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칸트에게 있어 도덕법칙을 따르는 내적 동기는 선의지로부터 나오며 또 그래야만 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는 『도덕형이상학의 원리』에서 “이 세상 안에서든 밖에서든 선의지 외에 무조건 선하다고 볼 수 있는 것은 하나도 없다”라고 말할 만큼 선의지를 강조하였다. 선의지는 행위의 결과를 고려하거나 인간의 어떤 자연적 경향성을 따라 행동을 옮기려는 의지가 아니라, 옳은 행동을 오직 그것이 옳다는 이유만으로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리킨다. 그리고 그것은 도덕적 의무 그 자체를 존중하여 자발적으로 의무를 위하여 의무를 수행하고자 하는, 그리고 개인적 욕구와 경향성에 앞서 항상 도덕법칙에 대한 의무를 부과하는, 불편부당하고 사심 없는 이성으로부터 비롯되는 그러한 의지를 뜻한다. 칸트에게 있어 어떤 행위가 도덕적인 것이 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선의지에 입각한 것이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도덕법칙이 도덕적 행동을 성립시키는 객관적 조건이라면 선의지는 주관적 조건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인간의 도덕적 삶에 있어 동기의 엄격성을 표상하는 것이기도 하다.
2) 원리에 따르는 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