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도덕교육론 - 칸트, 의무론적 윤리관, 공리주의, 정언명령, 선의지, 칸트의 교육이론

 1  초등도덕교육론 - 칸트, 의무론적 윤리관, 공리주의, 정언명령, 선의지, 칸트의 교육이론-1
 2  초등도덕교육론 - 칸트, 의무론적 윤리관, 공리주의, 정언명령, 선의지, 칸트의 교육이론-2
 3  초등도덕교육론 - 칸트, 의무론적 윤리관, 공리주의, 정언명령, 선의지, 칸트의 교육이론-3
 4  초등도덕교육론 - 칸트, 의무론적 윤리관, 공리주의, 정언명령, 선의지, 칸트의 교육이론-4
 5  초등도덕교육론 - 칸트, 의무론적 윤리관, 공리주의, 정언명령, 선의지, 칸트의 교육이론-5
 6  초등도덕교육론 - 칸트, 의무론적 윤리관, 공리주의, 정언명령, 선의지, 칸트의 교육이론-6
 7  초등도덕교육론 - 칸트, 의무론적 윤리관, 공리주의, 정언명령, 선의지, 칸트의 교육이론-7
 8  초등도덕교육론 - 칸트, 의무론적 윤리관, 공리주의, 정언명령, 선의지, 칸트의 교육이론-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초등도덕교육론 - 칸트, 의무론적 윤리관, 공리주의, 정언명령, 선의지, 칸트의 교육이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초등도덕교육론

1. 칸트(1724~1804)는?
2. 칸트의 의무론적 윤리관 ( vs 공리주의)
2.1. 칸트의 의무론
2.1.1. 정언명령( =도덕법칙, 객관적 조건)
2.1.2. 선의지( =주관적 조건)
2.2. 어떤 것이 도덕적인가?
3. 칸트의 교육이론
3.1. 공교육의 강조
3.2. 자율성
4. 칸트의 이론이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
4.1. 칸트의 인간관
4.2. 인간 발달에 따른 교육적 접근
5. 마치며
1. 칸트(1724~1804)는?
칸트(Immanuel Kant)는 독일 출생의 철학자이자 작가로 근세철학의 전통을 집대성하고, 전통적 형이상학을 비판하며 이른바 비판철학을 제창했다. 프랑스 혁명과 같은 시대의 사람으로 근세 철학사상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하나로 꼽힌다. 마구(馬具)제조업자인 아버지와 기독교적 신앙이 두터운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칸트는 루터교파의 경건주의학교에 입학하여 라틴어 교육을 받은 후, 고향인 쾨니히스베르크(지금의 칼리닌그라드)의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일생을 마친다.
대학 재학 중, 그 당시 신사상으로 분류되던 ‘뉴턴역학’에 큰 관심을 두게 되어 1755년에 《천계(天界)의 일반자연사와 이론 Allgemeine Naturgeschichte und Theorie des Himmels》이라는 저작을 발표하게 된다. 여기에서 그는 뉴턴역학의 모든 원리를 확대, 적용하여 우주의 발생을 역학적(力學的)으로 해명하고자 하였다. 이후 J.J. 루소에게 큰 영향을 받아 문명에 흐트러지지 않은 소박한 인간 자체의 존엄성에 대해 눈을 뜨고 이 후 그의 모든 사상의 기초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칸트는 뉴턴과 루소를 두 갈래의 큰 축으로 삼고 D. 흄을 비판적 대상이자 매개체로 하여 중세 이후의 전통적인 형이상학을 전면적으로 재편성하기를 시도함으로써 ‘비판철학’을 탄생시킨다.
칸트의 비판서는 총 3개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비판서가 바로 《순수이성비판(純粹理性批判) Kritik der reinen Vernunft》(1781)이다. 그는 이 저작을 통해 뉴턴의 수학적 자연과학에 대한 반성과 함께 기존의 신(神)적 형이상학이 아닌 인간중심의 인간학적 형이상학을 새로 수립, 주장하였다. 두 번째 비판서는 《실천이성비판(實踐理性批判)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1788)로서 인간 도덕의 ‘자율성’을 논하고 신을 바탕으로 한 종교를 그 도덕의 바탕 위에 두는 구상을 한다. 세 번째 비판서인 《판단력비판(判斷力批判) Kritik der Urteilskraft》(1790)에서는 ‘목적론적’ 인식의 구조를 명백히 하고, 위의 두 개의 비판서로 밝힌 인식과 실천이라는 두 가지의 장면을 매개, 통일함으로써 그의 새로운 인간학적 철학을 종결짓고자 하였다.
칸트는 근대 서양 철학사에 있어 의무론적 윤리학을 집대성한 학자로서 벤담과 밀로 이어지는 ‘공리주의’와 함께 근대 규범윤리학의 양대 지주를 이룬다. 또한 자유주의적 개인주의 관점을 바탕으로 개인의 합리적 자율성을 실현하고자 했던 사상을 통해 피아제(Jean Piaget)와 콜버그(Lawrence Kohlberg)의 ‘인지적 도덕발달’ 학문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처럼 칸트의 사상은 오늘날의 다양한 철학적, 윤리적 사상의 발전과 형성에 큰 뿌리를 제공하고 있다.
2. 칸트의 의무론적 윤리관 ( vs 공리주의)
윤리철학에 있어서 어떤 행위가 옳은가 그른가를 판단하는 기준을 정하는 문제와 관련한 입장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칸트의 의무론에 입각하면 행위의 옳고 그름은 그 행위 자체가 가진 특성에 따라 구별하는 것이지 결과는 도덕성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본다. 그러나 공리주의는 오로지 결과만이 그 행위의 옳고 그름을 결정한다고 주장한다.
2.1. 칸트의 의무론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