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디자인 우리나라 공예 디자인

 1  우리나라 디자인 우리나라 공예 디자인-1
 2  우리나라 디자인 우리나라 공예 디자인-2
 3  우리나라 디자인 우리나라 공예 디자인-3
 4  우리나라 디자인 우리나라 공예 디자인-4
 5  우리나라 디자인 우리나라 공예 디자인-5
 6  우리나라 디자인 우리나라 공예 디자인-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우리나라 디자인 우리나라 공예 디자인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우리나라 디자인
1. 우리나라 공예 디자인의 발전 과정
● 근대 공예(19세기~1945년)
-한국에서 근대공예라는 개념이 도입된 것은 근대적 산업이 시작된 개항 이후로 설정 하는 경향이 많다. 그리고 개항 이후 일본에 의한 산업화와 자본주의가 유입된 1945 년까지를 근대화된 시점이라고 구획 지을 수 있을 것이다.
-갑오경장(1894)은 한국공예의 새로운 국면을 가져왔으며 한일합방 이후 일본인들이 조선의 골동품을 선호하여 나전칠기, 도자기, 목공예가 성행하였다. 18세기말 이후 과 도기적인 산업화 속에서 한국의 전통공예품을 서구화, 기계화되어 가면서 현대 디자인 과 접목되었다.
-한국 공예엣 근대성을 자각하게 된 계기는 1893년의 시카고 만국박람회에 참가한 이 후 1900년에 파리 만국박람회에 목기, 칠기, 도자기, 유기, 악기 등을 출품함으로써 서양의 공예품에 비해 우리 공예의 낙후성을 인식한 것에서 찾을 수 있다. 두 번에 걸 친 만국박람회의 출품을 계기로 정부는 공예진흥과 개발을 서두르게 되고, 1902년에 는 농상공부령으로 임시 박람회사무소 규칙을 제정하여 여러 분야의 장인들이 만든 공 예품을 사들여 품평과 시상을 함으로써 공예가들에게 활기를 불어넣었다. 1906년에는 농상공학교를 개편하여 공예와 과학기술을 진흥하기 위한 기능인 양성소인 관립공업전 습소를 설립하게 되었다. 1908년 조선왕실에서 창덕궁에 설립한 한성 미술품제작소 는 1920년 한일합방 후에도 전통공예와 근대 기술의 개발을 위하여 존속되었으나, 곧 이왕직 미술품제작소로 개청되었다.
-한일합병직후인 1920년 한국 공예는 조선조의 학문을 숭상하고 기술을 천시하는 숭문 천기의 사상 때문에 장인들에 의해 전승되어 온 전래적인 공예가 활성화되지 못하였 다. 근대사회의 전환기에서 많은 장인들은 다음 세대로 기술을 전수해야 한다는 사명 감을 가지지 못하였고 천대받았던 자신의 직종에 종사하기 보다는 새로운 사회의 상공 인으로 직업을 전환했다 그래서 조선시대의 전통공예가 근대사회로 자연스럽게 전승되 기 보다는 서민들의 가수용이나 순박한 민예적인 생활용구로 명맥만 겨우 유지했다.
-일제 침략기 동안 근대공예의 성격은 1930년대에 이르러 일본 동경미술학교에서 공부 하고 돌아와 선전을 무대로 활약한 강창원, 이순석, 한홍택, 유강렬, 김재협 등의 활동 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들은 일제의 식민통치로 인한 민족문화의 존폐위기 속에서도 한국공예의 현대성과 창의성의 발전에는 별다른 기여를 하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어려운 시대상황에서 공예의 전통성과 민족성을 고수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고 평가 되고 있다.
-근대 한국 공예의 특징 : 우리의 전통적인 공예과 일본인 취향의 공예품이 공존,병립 하는 과정으로 전통적인 장인들이 근대의 상인으로 전환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 시 기의 공예는 문화적인 정체성을 획득하지 못한 것이 그 특징적인 경향이라고 할 수 있 다.
● 현대 공예(1945~ )
-해방 이후 한국의 공예, 디자인은 일본의 식민지적인 경향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 였다. 일제시대를 거치면서 전통을 근대화시킬 수 있는 토대를 말살 당함으로써 전통 공예는 변질되었다. 독자성을 상실한 한국의 공예는 새로운 현태를 창조하는 것 대신 조선시대의 유산 속에서 단순히 전통적인 기술을 재현하고 전수하는 고답적인 공예품 을 제작하는 것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뿐만 아니라 일본인 취향의 공예품이 여 전히 나타나는 것도 특징적인 경향이라 할 수 있다. 해방 이후에는 잃어버린 우리의 전통을 회복하기 위하여 조선시대의 공예품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나 뒤이어 발발한 6.25전쟁으로 그 맥은 잘 이어지지 않았다. 전쟁 이후 물밀듯이 밀려온 미국문화의 영 향으로 공예계도 서구의 사조와 디자인의 영향을 받게 되었으며 이를 적극적으로 도입 한 결과 전통적인 우리의 공예는 방향을 읽기 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