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세덕의 희곡 동승 캐릭터 구축 양상 갈등 구조 극적 시공간의 특징 동승 갈등구조 동승 캐릭터 구축 양상 동승 극적 시간 특성 동승 극적 공간 특성 동승 캐릭터 분석 동승 캐릭터 조사

 1  함세덕의 희곡 동승 캐릭터 구축 양상 갈등 구조 극적 시공간의 특징 동승 갈등구조 동승 캐릭터 구축 양상 동승 극적 시간 특성 동승 극적 공간 특성 동승 캐릭터 분석 동승 캐릭터 조사-1
 2  함세덕의 희곡 동승 캐릭터 구축 양상 갈등 구조 극적 시공간의 특징 동승 갈등구조 동승 캐릭터 구축 양상 동승 극적 시간 특성 동승 극적 공간 특성 동승 캐릭터 분석 동승 캐릭터 조사-2
 3  함세덕의 희곡 동승 캐릭터 구축 양상 갈등 구조 극적 시공간의 특징 동승 갈등구조 동승 캐릭터 구축 양상 동승 극적 시간 특성 동승 극적 공간 특성 동승 캐릭터 분석 동승 캐릭터 조사-3
 4  함세덕의 희곡 동승 캐릭터 구축 양상 갈등 구조 극적 시공간의 특징 동승 갈등구조 동승 캐릭터 구축 양상 동승 극적 시간 특성 동승 극적 공간 특성 동승 캐릭터 분석 동승 캐릭터 조사-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함세덕의 희곡 동승 캐릭터 구축 양상 갈등 구조 극적 시공간의 특징 동승 갈등구조 동승 캐릭터 구축 양상 동승 극적 시간 특성 동승 극적 공간 특성 동승 캐릭터 분석 동승 캐릭터 조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함세덕의 희곡
- 캐릭터 구축 양상, 갈등 구조, 극적 시공간의 특징
1. 캐릭터 구축 양상
1) 도념
희곡에서의 캐릭터란 극적 인물을 의미한다. 극적 인물이란 극의 갈등(conflict)를 발생시키는 인물 즉,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자기만의 세계관을 지닌 인물이다. 극 초반에 그려진 도념의 모습은 캐릭터라고 하기엔 부족해 보인다. 그는 봄보리를 베고 나면 어머니가 오신다는 초부의 말을 거짓말이라고 부정하면서도 나무에 금을 그어주며 달래는 초부에게 금세 다시 속을 만큼 순진한 ‘어린 아이’이다. 어머니를 그리워하고 동리 어린이들처럼 맘 놓고 놀고 싶어 하지만 그것은 아직 스님의 권위에 반발할 만큼 강한 저항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양자가 되어 절을 떠나자는 미망인의 제안과 토끼의 시체를 관세음보살 뒤에 숨겨 놓은 것이 발각 되면서 도념은 점차로 주체성을 확보해간다. 덫을 놓아 토끼를 잡으려던 것이 주지에게 들켰을 때 초부의 뒤로 숨었던 도념은 왜 거짓말을 했냐는 주지의 물음에 잘못을 알면서도 어머니께 드리고 싶은 마음에 저질렀다고 말한다. 이때의 도념은 극 초반의 ‘어린 아이’에서 의지와 주체성을 가진 인물로 변화한다. ‘스님, 전 세상에 가서 살구 싶어요.’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이제 그는 자신의 의지를 스님에게 적극적으로 관철시키려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념의 의지가 주지의 권위와 충돌할 때 그는 ‘극적 인물’로써 갈등(conflict)를 발생시킨다. 변화한 그는 막연히 어머니를 그리워하던 것에서 벗어나 미망인에게 이대로 그냥 도망이라도 가자고 할 만큼 적극성을 드러낸다. 이는 마침내 스스로 어머니를 찾아 산을 내려가는 것으로 이어진다. 그렇다면 ‘극적 인물’로써 도념이 지향하는 것은 무엇인가? 표면적으로 그것은 ‘어머니’로 보인다. 이 극에서 ‘어머니’는 이미지를 통해 형상화 된다. 도념이 어머니에게 선물하고자 했던 ‘토끼 목도리’와 ‘산목련’ 등이 그것이다. 이는 불교적 가르침과는 대립되는 것이다. 즉, 도념이 찾고자한 ‘어머니’는 단순히 ‘어머니’ 그 자체가 아니라 속세라는 계열체 내에서 그 의미를 갖는 것이다.
2) 주지
주지는 도념과 대립하는 인물이다. 그는 불교적 가르침을 내세워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도념을 포기시키려한다. 이러한 주지와 도념의 대립은 언뜻 불성과 모성의 대립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주지를 단순히 불성을 대표하는 인물로 설명하기 어려운 것은 극 속에서 그가 철저히 불성의 대표하는 존재로 일관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적인 모습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이는 도념이 토끼를 관세음보살 뒤에 숨긴 일에서 명확히 드러난다. 토끼를 죽인 것은 살생을 금하는 불교적 가르침에 반한 것이다. 앞서 그는 덫을 놓아 토끼를 잡은 도념에게 오계를 이야기하며 추상같이 살생이 그 중 큰 죄라 이른다. 그런데 이러한 큰 죄를 저지르고 토끼의 시체를 관세음보살 뒤에 숨겨 놓은 것은 신성 모독에 가깝다. 주지가 불성의 대변인으로써만 존재한다면 이는 용서할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그는 어머니께 드리려 토끼 목도리를 만들었다는 도념의 말에 연민한 마음을 보인다. 즉, 그는 도념과 대립하여 갈등(conflict)을 일으키는 극적 인물이지만 불교적 질서를 대변하는 초월적인 존재가 아니라 도념과 미망인의 결정(하산과 단념)을 이끌어내는 존재라고 볼 수 있다.
3) 미망인
미망인은 언뜻 도념과 같은 집합의 인물로 생각하기 쉬운데 이 둘은 상반된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아들의 죽음에 슬퍼하던 미망인은 도념을 양자로 삼기로 결심한다. 그는 곧장 주지에게 달려가 도념을 양자로 달라고 부탁한다. 주지는 한사코 거절하지만 그는 계속해서 고집스레 조르는 모습을 보인다. 마침내는 그렇게나 그리워하던 아들의 백일재에 도념이 관세음보살 뒤에 토끼 시체를 숨긴 것을 알고도 이를 ‘대수롭지 않은 일’이라고 표현할 만큼 도념에 대한 강한 애정을 드러낸다. 그는 ‘얘 없이는 살 수가 없다’고 할 만큼 도념을 원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곧 그는 모든 것이 전생의 죄 탓이라는 주지의 말에 이러한 고집을 단념한다. 이대로 도망이라도 가자는 도념에게 내 힘으로는 어떻게 할 도리가 없다며 돌아 서는 모습을 보인다. 즉, 그는 ‘어린 아이’에서 주체적인 인물로 변화하는 도념과는 반대로 ‘울며 미친듯이’ 도념을 양자로 삼으려는 고집스런 모습에서 숙명이라는 것에 두려움을 느껴 그 뜻을 포기하는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다. 때문에 그는 극 속에서 도념을 원하는 ‘극적 인물’로 주지와 대립하지만 말미에는 이러한 ‘극적 인물’로써의 성격이 약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2. 갈등 구조
의 가장 두드러지는 갈등은 도념과 주지의 갈등이다. 그러나 이 갈등은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단순히 불성과 모성의 충돌이 아니다. 주지의 인간적인 면모에서 그가 불교적 세계의 대변인으로써 도념에게 불교적 삶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도념이 원죄를 씻을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도념을 억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그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은 불성이 아니라 도념의 행복이라고 볼 수 있다. 그는 도념이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원죄를 모두 씻어내고 불가에 귀의해야 한다고 믿기 때문에 도념을 억압한다. 그러나 도념은 부모가 있고 마음껏 뛰놀 수 있는 동리 어린아이들이 행복(유복)하다고 생각한다. 그는 이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주지에게 저항한다. 도념과 주지의 가치관의 차이가 둘 사이의 갈등을 일으키는 것이다. 주지가 도념이 미망인의 양자로 가는 것을 허락하는 장면에서 이 갈등은 잠시 소강상태를 맞은 듯 보인다. 그러나 토끼의 시체가 발견되면서 극 초반 ‘어린 아이’였던 도념은 주체적인 인물로 성장하게 되고 둘의 갈등은 절정에 이른다. 이 갈등은 이미 주체성을 확립한 도념이 자신의 신념에 따라 절을 떠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그러나 이는 갈등의 해소라기보다는 충돌의 중절로 보인다. 때문에 더욱 관객으로 하여금 생각의 여지를 남긴다.
또 하나 눈에 띄는 갈등은 미망인과 주지의 갈등이다. 도념을 양자로 삼으려는 미망인의 의지와 도념을 절 밖으로 내보내지 않으려는 주지의 의지가 충돌하고 있다. 이 갈등 역시 주지가 도념이 미망인의 양자로 가는 것을 허락하면서 해소되는 듯 보이나 종극에는 미망인이 주지의 말에 수긍하면서 역으로 해소된다. 이는 미망인의 성격 변화의 영향이 큰데 이에 관하여는 앞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