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 시론 제7장 현대시의 흐름과 미학

 1  한국 현대 시론 제7장 현대시의 흐름과 미학-1
 2  한국 현대 시론 제7장 현대시의 흐름과 미학-2
 3  한국 현대 시론 제7장 현대시의 흐름과 미학-3
 4  한국 현대 시론 제7장 현대시의 흐름과 미학-4
 5  한국 현대 시론 제7장 현대시의 흐름과 미학-5
 6  한국 현대 시론 제7장 현대시의 흐름과 미학-6
 7  한국 현대 시론 제7장 현대시의 흐름과 미학-7
 8  한국 현대 시론 제7장 현대시의 흐름과 미학-8
 9  한국 현대 시론 제7장 현대시의 흐름과 미학-9
 10  한국 현대 시론 제7장 현대시의 흐름과 미학-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현대 시론 제7장 현대시의 흐름과 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목차
제7장 현대시의 흐름과 미학
4. 신비평의 시론
1) 신비평의 특징
2) 신비평의 시론
5. 형식주의 시론
1) 형식주의의 특징
2)Chklovsky의 낯설게 하기
3) Mukarovsky의 전경화
4. 신비평의 시론
1) 신비평의 특징
신비평의 성립
신비평이라는 용어는 원래 1910년에 J.E.Spingarn이 미국의 학문적 풍토가 보여주는 천박한 현학성을 공격하면서 만들어진 것이었으나, 현재에 와서는 1930년대 후반에서 1950년대까지 주로 미국을 중심으로 전개된 문학이론 및 비평방법의 흐름을 지칭하는 것으로 쓰이고 있다. 1941년 J.C.Ransom의『신비평』이 출간된 후 이 용어가 일반적으로 통행되었다.
신비평에 영향을 준 이론가로서는 T.S.Eliot와 I.A.Richards를 들 수 있다. I.A.Richards의『문예비평의 원리』(1924), 『시와 과학』(1926)이나, 엘리오트의 초기 평론에서 이미 신비평적인 기초들이 마련되었던 것이다. 신비평의 주창자인 랜섬은 신비평의 이론적 단초를, 엘리오토가 주장하였던, 비평에 있어서의 객관성이라는 새로운 정신에서, 또한 리차즈가 시도한 시의 효과를 기술하기 위해 과학적 방법을 원용한는 태도에서 찾고 있다. 엘리오트나 리차즈의 이론에 영향을 받아 신비평가들은 인상주의나 감상주의 또는 의도주의로부터 비평을 해방시킴과 동시에 엘리오트가 지적하고 있는 ‘시는 아무것도 아닌 시 그 자체’로 인식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던 것이다.
신비평의 특징
신비평은 시 작품을 전기나 역사에서 구출하여 그 독자성을 발견하는 데 목적을 둔다. 신비평의 관념은 언어의 문학적 기능, 다시 말해 시적 언어는 언어의 다른 기능과 어떻게 구별되는가에 맞춰져 있다. 시는 곧 존재다.
求體의 과일처럼
시는 감촉할 수 있고 묵묵해야 한다.
엄지 손가락에 닿는 낡은 메달처럼
말이 없고
이낀낀 창턱의 소매스쳐 닳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