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도덕교육론]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도덕교육

 1  [초등도덕교육론]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도덕교육-1
 2  [초등도덕교육론]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도덕교육-2
 3  [초등도덕교육론]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도덕교육-3
 4  [초등도덕교육론]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도덕교육-4
 5  [초등도덕교육론]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도덕교육-5
 6  [초등도덕교육론]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도덕교육-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초등도덕교육론]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도덕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안다+노력한다+행한다 = 덕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도덕교육)
< 목차 >
Ⅰ. 서론
Ⅱ. 본론
1. 내가 선택한 이론과 선택 이유
2.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론
3.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
4.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지주의
5. 사례
Ⅲ. 결론
1. 도덕 교육에의 적용
2. 느낀점
Ⅰ. 서론
중학교 시절, 도덕교과서 앞의 과목명을 ‘똥떡’으로 바꾸려고 혼신의 힘을 다했던 기억이 있다. 나중에 도덕선생님께서 바뀐 제목을 보시고 혼내기는커녕 오히려 놀라시며 그 정교함을 칭찬하시기까지 할 정도였다. 도덕하면 떠오르는 웃지 못 할 헤프닝이지만 사실 그때 당시 나에게 도덕은 정말 똥떡같았다. 떡이니 먹어야한다고 자꾸만 가르치니까 그런 줄은 알겠는데 왜 먹어야 하는지도 모르겠고, 나를 머리아프게 만들기만 하는 이 떡은 왠지 똥으로 만든 것 같기도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등학교 시절 180cm를 훌쩍 넘는 멋진 윤리선생님을 만나 이런 마음을 고쳐먹고 도덕을 들여다보기 시작했고 삼수를 하면서 모두가 머리를 싸매는 철학의 매력에 푹 빠지게 되었다. 그래서 대학에 온 후에도 쇼펜하우어의 책(인생과 세상을 바라보는 그의 시크한 시각이 꽤나 인상깊었다.)이나 ‘정의란 무엇인가’와 같은 책을 즐겨읽기도 했다. 하지만 예비교사로서 학생들에게 또다시 똥떡을 제조하지 못하게 할 자신은 없었다. 내가 그랬던 것처럼 아이들도 도덕교과서를 세상의 온갖 훈훈한 얘기들을 모아 엮은 교화집 그 이상의 의미로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도덕과 윤리 속에 등장하는 철학자들의 얘기가 생활과 동떨어진 딱딱한 원칙론이기보다 사실은 결국 인간의 여러 단면들을 노래하고 있는 흥미로운 과목이라는 것을 어떻게 학생들에게 알려줄 수 있을지 아리송했다. 또한 도덕수업이 ‘도덕적인 가치를 지닌 원칙을 알려주는 스피커’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생활과 실제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역시 고민스러웠다. 도덕은 늘 ‘이렇게 하는 게 좋은 것이다.’라는 말만 지루하게 늘어놓는 과목이었기 때문이다.
Ⅱ. 본론
1. 내가 선택한 이론과 선택 이유
이러한 고민을 풀어가기 위해 여러 도덕이론과 철학들을 찾아보던 중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이 눈에 들어왔다. 아리스토텔레스라면 수능에서 비중있게 다뤄지는 철학자 중 한명으로서 우리나라 학생들에게는 아주 익숙한 철학자 중 한명일 것이다. 그러나 거기까지일 뿐 제대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을 검토하고 생각해본 적은 없었다. 그런데 이번 기회를 통해 그의 저서나 이론을 풀어쓴 책들을 읽다보니 딱 내가 원하는 부분이 있었다. 그것은 바로 아는 것을 행하기 위해서는 애쓰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노력이 습관화되었을 때 진정한 유덕인이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도덕교과서나 교사들, 철학자들은 보통 ‘알면 행한다’라는 주지주의적인 관점이 많았다. 그래서 수업 시간에 무조건 좋은 행동을 가르쳐만 주려는 일방적인 접근방식이 많았던 것 같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안다고 해서 모두 실천에 옮기고 도덕적인 사람이 될 거라는 의견을 비판했다. 지성적인 덕(앎)을 몸에 밸 때까지 실천하고 노력하여 품성적인 덕(행)으로 습관화하였을 때, 진정 덕을 쌓았다고 할 수 있으며 또 비로소 행복해질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은 도덕을 교과서 속의 지식으로만 배워 도덕적인 가치를 알면서도 자신의 이야기로는 받아들이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좀 더 다양한 방식의 교육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뒷받침해줄 수 있다.
2.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론
행위의 최종 목표는, 신의 자기사유의 활동을 모방하는 이성적 관조에 놓여 있으나, 이것은 사람에게 일시적으로 허용되는 것에 지나지 않고, 일반적으로는 일상의 행동 속에서 이성적 질서를 실현하는 중용(中庸)으로서의 덕이 행위의 목적이다
3.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
아리스토텔레스는 선으로서의 행복을 완전한 덕에 따르는 마음의 활동이라고 규정한다. 그리고 덕을 지적인 덕과 도덕적인 덕으로 구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