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현십종원왕가와 화엄사상

 1  보현십종원왕가와 화엄사상-1
 2  보현십종원왕가와 화엄사상-2
 3  보현십종원왕가와 화엄사상-3
 4  보현십종원왕가와 화엄사상-4
 5  보현십종원왕가와 화엄사상-5
 6  보현십종원왕가와 화엄사상-6
 7  보현십종원왕가와 화엄사상-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보현십종원왕가와 화엄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보현십종원왕가와 화엄사상
차례
1. 들어가며
2. 균여
2.1. 균여(均如)는 누구인가?
2.2. 균여와 화엄사상
3. 균여의 사뇌가
3.1. 의 융회-초월과 방편설(方便設) 이 글에서의 ‘방편’ 또는 ‘방편설’은 수행의 수단으로써 ‘방편’을 뜻한다기보다는, 수용자의 근기를 계발하기 위하여 발신자가 시도하는 일련의 수사방식에 가깝다.
의 조화
3.2. 시대 상황에서 균여의 역할
4. 나가며
1. 들어가며
향가 중 , , (이하 ), 풍요 등은 서방정토에 왕생하기를 고대하는 내세관이 반영되어 있다. 종교의 기원을 죽음에서 찾는 예도 많지만 죽음의 문제, 그리고 영생의 문제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류사에 있어 가장 절실한 인간 문제 중의 하나일 것이다. 특히, 신라 향가의 종교성과는 별도로 고려 향가인 의 연구는 화엄사상을 바탕으로 한 불교적 수사방식의 해명 또는 광종 당대의 전제왕권 지향과 관련하여 논의되거나, 균여의 사상사 텍스트와 연관 지어 그 인식을 조명하기도 했다. 말하자면 신라 향가는 불교와 주술의 습합을 위주로 논의된 경향이 컸던 것에 비해, 는 불교 사상의 현실적 실천이라는 맥락이 강한 것으로 평가받아 왔다는 것이다. 특히, 종교성, 정치성, 주술성, 문학성 등 신라 향가가 이룩한 제 요소가 단일 텍스트에서 함께 논의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선행 연구의 성과를 참조하여 본고에서는 와 화엄사상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해당 향가가 가지는 문학사적·사상사적 의의를 검토하고자 한다.
2. 균여(均如)
2.1. 균여(均如)는 누구인가?
균여( 923(태조 6) ~ 973(광종 24) )는 황해도 황주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화엄경의 게(偈)를 잘 외웠다. 15세 때 출가하여 영통사(靈通寺) 의순공(義順公)에게 불법을 배운다. 사상으로는 화엄종파에 기울었으나 불교계의 통일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불법을 펴는 일에 힘을 기울여 많은 사람들에게 利를 주기 위해 노력한 인물로 기록되었다. 균여는 특히 신통력이 있어서 병고에 시달린 환자를 치유하였고 나라의 큰 재난을 법력으로 물리치기도 하였으며 천기를 순조롭게 하는 등의 이야기가 『균여전』에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다. 균여는 사뇌(詞腦)에도 익숙하여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를 썼는데 이것은 균여의 사상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최철『향가의 문학적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0, p.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