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 향가에 대해서

 1  [고전시가] 향가에 대해서-1
 2  [고전시가] 향가에 대해서-2
 3  [고전시가] 향가에 대해서-3
 4  [고전시가] 향가에 대해서-4
 5  [고전시가] 향가에 대해서-5
 6  [고전시가] 향가에 대해서-6
 7  [고전시가] 향가에 대해서-7
 8  [고전시가] 향가에 대해서-8
 9  [고전시가] 향가에 대해서-9
 10  [고전시가] 향가에 대해서-10
 11  [고전시가] 향가에 대해서-11
 12  [고전시가] 향가에 대해서-12
 13  [고전시가] 향가에 대해서-13
 14  [고전시가] 향가에 대해서-14
 15  [고전시가] 향가에 대해서-15
 16  [고전시가] 향가에 대해서-16
 17  [고전시가] 향가에 대해서-17
 18  [고전시가] 향가에 대해서-18
 19  [고전시가] 향가에 대해서-19
 20  [고전시가] 향가에 대해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 향가에 대해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향가의 의미

2. 향찰

3. 향가의 갈래 문제

4. 향가의 형식

서동요,혜성가, 풍요, 원앙생가, 모죽지랑가, 헌화가, 원가, 도솔가, 제망매가 , 안민가, 찬기파랑가, 도천수대비가, 우적가, 처용가

1. 시대적 상황
2. 형태적 특징
3. 시어의 상징적 의미
4. 주제의식
5. 쟁점내용
본문내용
1. 향가의 의미
향가란 말의 본래 뜻은 우리나라 풍의 모든 노래를 일컫는 범칭이다. 그러나 시간적으로 속악, 향약, 시조, 가사, 신체시, 현대시 등의 우리말 시를 모두 향가라 말할 수 없거니와, 공간적으로도 우리말 시를 모두 향가라 지칭한 기록도 없고, 상고 사회, 고구려, 백제, 조선, 한국의 우리말 시들을 모두 향가라 부를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하여 학술적 용어로서 향가는 우리나라 최초의 정형시로서 삼국시대 말엽에 발생하여 신라의 우리말 시와 고려 일부의 우리말 시가 된다. 현존하는 작품으로는 보각국사 일연이 지은 에 14수, 균여대사의 에 11수 도합 25수가 전해지고 있다.
와 두 문헌은 모두 고려시대의 저술이며 모두 승가의 저술이며, 불교 이념을 사상적 배경으로 삼아 대중교화에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점이 두 문헌이 갖는 동질성이라 한다면, 여러모로 대조되는 특성도 보이고 있다. 우선 는 주제 면에서 비교적 다양하지만, 은 상당히 단일하다. 그리고 문헌상의 구성으로 볼 때 의 향가는 각기 서사 내용의 1요소로 다루어지는데 비하여 은 11수의 향가를 ‘화엄사상’의 구축물로 구조화하고 있다. 또한 의 향가는 다양하면서도 흥미로운 설화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 대하여 의 향가는 단일 경전, 즉 화엄경의 교리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찬술 태도에 있어서 가 서사문학적이라면
참고문헌
김열규외 지음,『한국고전시가 작품론1』 집문당. 1995
신재홍, 『향가의 해석』 집문당. 2000
임기중외 지음,『새로 읽는 향가문학』 아세아문화사. 1998
이연숙, 『신라향가문학연구』 박이정. 1999
황패강, 『향가 문학의 이론과 해석』 보광문화사. 2001
양희철, 『삼국유사 향가 연구』 태학사. 1997
최철, 『향가의 문학적 연구』 새문사. 1983
구인환 엮음, 『고교생을 위한 고전이해』 신원문화사. 1994
김완진 『향가와 고려가요』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국어국문학회 『 향가 연구 』 태학사. 1998
박노준 『 향가여요의 정서와 변용』 태학사. 1997
강진호 『신라향가의 연구』 형설출판사, 1993
박노준 『향가』 열화당 1991
나정순 『한국고전시가문학의 이해』 역락, 2000
엄국현 『서동요연구 한국문학논총 11집』 1990
박노준 『신라 가요의 연구』 열화당, 1982
유창균 『향가해석』 형설출판사, 1994
양희철 『삼국유사향가연구』 태학사, 1997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김열규 『한국고전시가 작품론』 집문당,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