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3

 1  한국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3-1
 2  한국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3-2
 3  한국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3-3
 4  한국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3-4
 5  한국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3-5
 6  한국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3-6
 7  한국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3-7
 8  한국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3-8
 9  한국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3-9
 10  한국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3-10
 11  한국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3-11
 12  한국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3-12
 13  한국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3-13
 14  한국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3-14
 15  한국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3-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3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국대학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목 차
1. 서론
2. 한국대학의 현실과 문제점
1. 대학역할붕괴
2. 한국 대학재정의 문제점
3. 학부제의 문제점 (고급 인력수급의 불균형)
(1). 고급인력수급의 양적 불균형
(2). 고급인력수급의 질적 불균형
3. 문제점의 해결방안 모색
1. 전통적인 고등교육의 역할을 계승
2. 교육재정확충과 대학교육의 평준화 요구
3. 학부제의 개선방안
(1). 교육개혁의 실효를 위한 사회개혁 차원의 접근
(2). 신중한 학문간 교육시장 범주의 결정
(3). 학생들의 암중모색현상 방지를 위한 개개인에 대한 면담과 학사지도의 강화
(4). 모든 4년제 종합대학에 획일적으로 도입시키는 학부제 정책의 지양
(5). 노동시장의 구조, 사회구조, 그리고 교육행위와 관련된 모든 개인들의 의식구조에 대한 총체적 이해가 필요와 총체적인 개혁 차원에서의 추진
4. 결론
참고문헌
1. 서론
오늘날 우리나라의 대학 수는 급격히 증가해 왔다. 교육통계연보에 의하면 1971년에 71개 대학에 학생 수 146.414명에서 2002년에는 163개의 대학에 학생 수 1.771.738 명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통계는 대학의 양적인 성장을 잘 증명해 주고 있다. 대학의 양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질적인 측면, 즉 교육의 측면에 있어서는 많은 논란의 여지를 남겨 놓고 있다. 그 이유는 그동안 대학의 양적인 증가를 질적인 증가와 동일시 해 왔기 때문일 것이다.
확실히 양적인 측면에서는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하여 이미 보편적인 대중교육의 시대에 돌입하였다. 그러나 대학의 질적인 측면에서는 낙후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마치 자가용의 숫자가 급격히 증가하여 자가용의 대중화가 이루어진 현 상황 속에서 자동차 사고에 의한 사망률은 세계제일이라는 부끄러운 문화의 한 단면을 우리 대학교육의 현실에서 보는 듯하다. 해방 이후 대학의 발전이 양적 팽창에 있었다면, 50여 년이 지난 현재의 시점에서 심각히 고려해야 할 대학의 미래는 질적인 도약에 있어야 할 것이다.
대학의 기능은 학문탐구를 통한 진리의 창조와 더불어 사회가 요구하는 각종 고급인력을 적절히 공급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현재 우리의 대학들이 이러한 기능들을 원활하게 수행하여 왔다고 볼 수 있을까? 그 대답은 부정적이다. 우리나라 대학들 중 그 어느 대학도 세계적인 대학의 반열에 끼이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우리의 산업사회에서 요구하는 적절한 인력마저도 변변히 공급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교육열과 향학열이 가히 세계 제일이라는 나라에서 왜 이러한 변칙현상이 일어나고 있을까? 이것은 우리에게 주어진 실로 심각한 교육적 화두라 할 수 있다.
현재 시점의 한국 대학 교육은 어떠한 상황일까. 대학 교육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 수차례의 교육개혁이 시행되어왔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시행착오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199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교육개혁은 공교육의 기능을 부정함으로써 교육 불평등을 가속화하고 있다. 특히 정부 관료와 기업가는 경제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으로 대학교육을 바라봄으로써 고등교육의 본질을 심하게 왜곡시키고 있다. 교육부가 교육 인적 자원부 정부는 현재의 사회를 지식기반사회라고 규정하고 지식을 생산하고 활용하는 주체인 인적자원의 양과 질이 기업은 물론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한다는 취지 하에 인적자원을 관리하고 양성한다며 2001년 1월, 교육부를 교육인적자원부로 개편했다.
로 개편되었다는 것 자체가 많은 것을 말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