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신화」속에 나타난 유교사상에 대하여

 1  「금오신화」속에 나타난 유교사상에 대하여-1
 2  「금오신화」속에 나타난 유교사상에 대하여-2
 3  「금오신화」속에 나타난 유교사상에 대하여-3
 4  「금오신화」속에 나타난 유교사상에 대하여-4
 5  「금오신화」속에 나타난 유교사상에 대하여-5
 6  「금오신화」속에 나타난 유교사상에 대하여-6
 7  「금오신화」속에 나타난 유교사상에 대하여-7
 8  「금오신화」속에 나타난 유교사상에 대하여-8
 9  「금오신화」속에 나타난 유교사상에 대하여-9
 10  「금오신화」속에 나타난 유교사상에 대하여-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금오신화」속에 나타난 유교사상에 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금오신화」속에 나타난
유교사상에 대하여
- 차례 -
Ⅰ. 서론
Ⅱ. 본론
1. 유교사상이 무엇인가?
2. 작품에 나타난 유교사상
(1). 삼강오륜사상
(2). 충 사상
(3). 효 사상
(4). 정절 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과거로부터 시대가 변하여도 우리의 삶 속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종교일 것이다. 종교는 사람들이 종교라고 인식하기 이전부터 믿음의 형태로 존재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믿음은 문화인종의 차이와는 상관없이 인간의 삶으로 들어와 삶의 양식이나 의식구조 등에 깊숙한 자리를 차지하였고 그 영향력은 오늘을 사는 현대에까지도 이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믿음들 중에 가장 대표적인 것은 서구의 기독교사상과 동양의 유불도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역시 우리 고유의 민간신앙과 함께 유불도 사상이 들어와 역사 속에서 다양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는데, 이러한 영향력의 결과는 각 시대의 흐름 속에서 작가의 작품 속에 그대로 녹아들어 표현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문학이 작가의 취향이나 개성을 표현하는 것으로 볼 때, 우리는 작품을 통해 당시 국가 이념으로 채택되었던 사상은 물로 일반 민중사이에서 널리 퍼진 사상에 이르기까지 문학 작품을 통해서 알아 볼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여러 종교사상이 담긴 문학작품을 읽을 때에는 그 안에 담긴 종교사상을 먼저 잘 이해하는 것이 문학작품을 더 정확하게 감상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유불도 사상과 민간신앙이 복합적으로 녹아있는 김시습의 한국 전기체 소설(傳奇體小說)의 효시이다. 등 5편이 수록되어 있다.
원래는 이 5편이 작자가 지은 전부가 아니었던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는 이 5편밖에 전해지지 않고 있으며, 그것도 국내에는 필사본밖에 없고 일본에서 간행된 것이 1927년 《계명(啓明)》 제19호에 최남선(崔南善)에 의하여 소개되었다.
《금오신화》의 소설적인 특성은 첫째, 주인공들이 한결같이 재자가인적(才子佳人的) 인물이라는 점, 둘째, 문장 표현이 한문 문언문(文言文)으로 사물을 극히 미화시켜 표현한 점, 셋째, 일상적 현실적인 것과 거리가 먼 신비로운 내용을 그린 점등인데, 이는 전기소설(傳奇小說)의 일반적인 성격이며 이런 점에서 중국소설 《전등신화(剪燈新話)》의 영향이 있었음을 보게 된다. 나아가서 이들 작품 세계는 인간성을 긍정하고 현실 속에서 제도(制度) 인습(因襲) 전쟁 인간의 운명 등과 강력히 대결하려는 인간의 의지를 표현하고 있는 점에서 이 작품을 높이 평가할 수 있다.
한편, 한국 소설의 발달과정에서 볼 때, 그때까지 조신설화(調信說話)에서 최치원(崔致遠) 설화를 거쳐 《국선생전(麴先生傳)》에 이르러 소설의 단계에 접근하였으며, 《금오신화》에 이르러 소설이라는 문학양식을 확립시켰고, 새 출발의 전기를 맞게 되어, 그 이후 소설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를 통해 그 사상적 배경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며, 그 중에서도 유교사상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김시습의 금오신화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많이 이루어졌는데 정주동, 「매월당 김시습」 연구, ( 민족문화사, 1983 )
정병욱, 「김시습 연구」,「한국고전의 재인식」( 홍성사, 1979 )
박희병, 「금오신화 창작의 연원과 배경」, 「고전문학연구」 10 (한국고전문학회,1995)
본고에서는 김시습 의 생애와 작품 창작의 사회정치문화적 배경에 대한 논의는 제외하고 작품에만 초점을 두고, 유가사상이 무엇인지와 이 유교사상이 어떻게 작품에 반영되고 그려졌는지 알아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