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남방옹 정훈의 삶과 시가에 나타난 현실인식

 1  수남방옹 정훈의 삶과 시가에 나타난 현실인식-1
 2  수남방옹 정훈의 삶과 시가에 나타난 현실인식-2
 3  수남방옹 정훈의 삶과 시가에 나타난 현실인식-3
 4  수남방옹 정훈의 삶과 시가에 나타난 현실인식-4
 5  수남방옹 정훈의 삶과 시가에 나타난 현실인식-5
 6  수남방옹 정훈의 삶과 시가에 나타난 현실인식-6
 7  수남방옹 정훈의 삶과 시가에 나타난 현실인식-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수남방옹 정훈의 삶과 시가에 나타난 현실인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수남방옹 정훈의 삶과 시가에 나타난 현실인식
- 목차 -
1. 머리말
2. 정훈 시가의 창작 배경
3. 정훈의 시가에 나타난 현실인식
4. 맺음말: 정훈의 문학사적 의의
1. 머리말
정훈(1563-1640)은 임진왜란와 병자호란의 혼란기에 전라남도 남원지방에 살았던 인물로 자는 邦老, 호는 水南放翁을 사용했다. 고려 때 대제학인 정현영의 후손으로, 평생 동안 관직에 나가지 않았으며 이괄의 난 때에는 노령임에도 불구하고 모병하여 출동하였고, 정묘·병자호란 때에는 두 아들을 출정시켰다. 그는 20수의 시조와 6편의 가사 , , , , , 등이 그것인데, 이외도 라는 가사 또한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조현곡의 유민탄을 보고 곧 유민을 위로하는 노래를 지어 슬퍼하였다’라는 기록에서, 이 작품이 가사인지 시조인지 확정할 수 없으나 조위한의 가사 을 보고 지었다는 사실과 유민을 위로하는 노래라는 것으로 볼 때 비록 작품은 전하지 않지만 또한 정훈이 지은 가사로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문기, 「정훈의 고찰」, 『국어교육연구』31집, 국어교육학회, 1990, 100쪽).
를 남겨 17세기의 대표적 작가 중 한 사람으로 평가되고 있다.
필사본 『水南放翁遺稿』에는 水南放翁鄭公家藏行蹟(朴世采 撰), 孝子水南放翁君墓碑銘幷序(朴世采 撰), 水南放翁遺稿序(朴弼周 序), 祭文(盧亨敍 撰), 및 漢詩, 국문으로 된 시조 20수와 , , , , 등 가사 5편이 실려 있다. 그리고 목판본 『慶州鄭氏世稿』에는 放翁遺稿序(박필주, 李惟精 序), 제문(노형서 撰), 放翁公墓碑銘幷序(박세채 撰), 龍城誌, 節義錄, 揚狀, 漢詩, 시조 한역가의 가사 , 의 한역가가 실려 전하고 있다. 그 동안 이를 바탕으로 정훈 시가에 대한 논의는 박요순 박요순, 「정훈과 그의 시가고」, 『숭전어문학』2집, 숭전대 국어국문학연구회, 1973.
과 하성래 하성래, 「가사문학의 새 거봉」, 『문학사상』8호, 문학사상사, 1973.
가 자료의 서지적 사항과 작가 소개, 작품의 기법과 구성면에서의 특징을 규명한 후 몇 편의 평설을 비롯해, 작가 및 작가론 최광원, 「정훈문학연구」, 숭전대 석사논문, 1982.
이상원, 「정훈 시조 연구」, 『우리문학연구』11, 우리어문학회, 1997.
, 노계시가와 대비한 연구 나병호, 「정훈 박인로의 시가 대비 연구」, 한남대 석사논문, 1993.
한창훈, 「박인로 정훈 시가의 현실인식과 지향」, 고려대 석사논문, 1993.
, 정훈 시가가 산출된 현실적 맥락에 주목하고 작가의식을 밝히려는 논의 권순희, 「17세기 남원지방 재시사족의 동향과 정훈의 시가」, 『어문논집』39, 민족어문학회,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