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선독과제] 노계 박인로의 생애와 문학세계

 1  [국문학선독과제] 노계 박인로의 생애와 문학세계-1
 2  [국문학선독과제] 노계 박인로의 생애와 문학세계-2
 3  [국문학선독과제] 노계 박인로의 생애와 문학세계-3
 4  [국문학선독과제] 노계 박인로의 생애와 문학세계-4
 5  [국문학선독과제] 노계 박인로의 생애와 문학세계-5
 6  [국문학선독과제] 노계 박인로의 생애와 문학세계-6
 7  [국문학선독과제] 노계 박인로의 생애와 문학세계-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선독과제] 노계 박인로의 생애와 문학세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노계 박인로의 생애와 문학세계
1. 노계의 생애
2. 노계 연보
3. 노계의 작품세계
- 노계 가사의 창작 기반과 문학적 지향
4. 노계 문학의 문학사적 의의.
1. 노계의 생애
박인로(1561~1642)의 자는 덕옹, 호는 노계 또는 무하옹이라 하며 본관은 밀양이다. 중시조 진록의 10세 손이며, 승의부위 석의 아들로 영천군 북안면 도천리에서 태어나 82해를 살았다. 출생으로부터 31세까지는 성장 및 수학기였고, 32세부터 50세까지는 임진왜란에 종군한 무부기, 51세부터 82세까지는 안빈낙도를 실천궁행한 유자기였다.
노계의 성장과 수학과정에 대학 기록은 별로 없으나 그의 행장에 "명달여신하여 가르치지 아니해도 자능통해했다"는 기록으로 볼때,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재능이 뛰어났음을 알 수 있다. 13세 때에 지었다는 한시에는 권력층에 대한 비판과 농촌의 어려운 현실에 대한 인식이 잘 드러나있다.
32세(1582)되던 해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영천의 의병장 정세아의 별시위가 되어 활약하였다. 38세 때에는 경상도 좌병사, 성윤문의 막하에 들어가 많은 공을 세웠으며 이 때 성윤문의 명에 의하여 를 지었다. 39세때에는 무과에 급제하여 수문장, 선전관을 잠깐 지낸뒤, 조라포 만호가 되어 전쟁으로 도탄에 빠진 민생들을 정성껏 무휼하고 선정을 베풀었다. 임무를 마치고 귀향하자 사졸들이 그의 청렴결백하고 고고한 인품과 은덕에 감사하여 송덕비를 세웠다.
의병활동과 미관말직을 마치고 고향에 돌아와 "남아의 대사업은 문장임"을 깨닫고 공맹의 제서와 주자의 부주에 잠심하여 침식을 잊으며 깊은 밤에는 묵상으로 천고의 성현을 생각하였고 꿈속에서 주공을 만나 성 경 충 효 4자를 얻어 평생의 좌우명으로 삼는 등 유학자로서의 자수에 진력하였다. 그리고 한음 이덕형, 한강 정구, 여헌 장현광, 지산 조호익과 같은 거유들과 교유하면서 성리학에 심취하였다.
51세때에 용진에 있는 사제로 한음을 찾아가 종유하면서 그를 대신하여을 지었고 를 지어 자기의 곤궁한 생활상을 노래하였다. 57세 때에는 한강이 동래 온천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대구 검단동 금호강변의 소유정에 들린적이 있는데 이때 를 노래 불렀고, 59세 때에는 한강이 울산 초정으로 온욕 갈때, 따라가 시조 2수를 지었다. 69세 때에는 여헌을 따라 입암에 노닐면서 시조 입암 29곡을 지었으며 여헌으로부터"무하옹은 늙음을 모르고 발분망식하며 유학에 힘쓰는 동방의 인호"라는 칭찬을 받기도하였다. 이렇게 강호의 명망있는 유학자들을 찾아다니면서 도학에 정진하다가 70세때에 용양위부호군으로 우로를 받았고 안찰사로 내려온 상국 이명이 노계를독행특립지사로 계를 올리자 인조는 군에 명하여 미육을 내리고 그 자손을 도와 주도록 하였다. 75세때에는 영남 안찰사의 덕치를 찬양하는 를 지었고 76세 때에는 노계곡에 유거하면서 를 지었다.
작가로서의 노계 박인로는 비교적 늦게 알려졌다. 『청구영언』을 비롯한 시조집에 「조홍시가」가 실려 있고, 1933년 이전에 필사된 것으로 보이는 고대본『樂府』에 그의 가사와 시조가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여항 간에는 어느 정도 알려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다른 저명 작가와는 달리 “모祖時武人 官至萬戶……”(『청구영언』의 작자 소개) 정도가 고작이었을 뿐, 시가 작가로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었다. 노산 이은상이 「시인 노계와 그의 예술」에서 강조했듯이 그 때까지 ‘朴仁老란 사람은 종래의 학계에서 그 행적은커녕 자(字)나 호(號)쯤도 분명히 알 수 없었던 그러한 사람’이었던 것이다. 이처럼 그는 뒤늦게 한 사람의 작가로 발굴되다시피 했지만, 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우리에게 점점 더 큰 거인으로 다가와, 마침내 송강 정철 및 고산 윤선도와 더불어 조선의 ‘3대 시가 작가’로까지 일컬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그를 격상시키는 것은 쉬운 일이었지만, 그를 올바르게 파악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그가 문학사의 저류에서 갑자기 솟구친 만큼 그에 대한 연구는 실증적 방면조차 문제가 많았지만, 더 문제가 되는 것은 도대체 그의 문학 작품을 어떤 시각으로 읽어내느냐 하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그의 가사에 많이 나오는 관념적인 한자어의 과도한 사용, 시어의 함축성이 결여된 산문적인 작품 세계 등을 지적하고 난 뒤에는 가사 내용에 대한 해설적 차원의 접근만이 무성했던 것이다. 그 결과 3대 작가의 반열에 든다는 영광은, 가사에서는 송강에 시조에서는 고산에 뒤진다는 평가 속에 빛이 바래는 형국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노계라는 한 인간과 문학을 제대로 논하는 것과는 다소 거리가 있어 보인다. 노계의 독특함은 송강고산과는 다른 방식으로 설명되어야 하고, 아울러 노계라는 개인의 고뇌와 그것의 사회적역사적 맥락에서 고찰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