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 제6편 제6장 근대국어

 1  [국어학] 제6편 제6장 근대국어-1
 2  [국어학] 제6편 제6장 근대국어-2
 3  [국어학] 제6편 제6장 근대국어-3
 4  [국어학] 제6편 제6장 근대국어-4
 5  [국어학] 제6편 제6장 근대국어-5
 6  [국어학] 제6편 제6장 근대국어-6
 7  [국어학] 제6편 제6장 근대국어-7
 8  [국어학] 제6편 제6장 근대국어-8
 9  [국어학] 제6편 제6장 근대국어-9
 10  [국어학] 제6편 제6장 근대국어-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학] 제6편 제6장 근대국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근대 국어의 특징
2.근대 국어의 음운, 어휘, 문법 변화
(1)음운 변화
(2)어휘 변화
(3)문법 변화
3.근대 국어에서 현대 국어로
4.참고 문헌
본문내용
1.근대 국어의 특징
근대 국어는 흔히 임진왜란이 끝난 후 17세기로부터 19세기 말까지의 국어를 뜻한다. 근대 국어의 대략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사성, ㆁ, ㅿ이 소멸된다. 그리고 어두합용병서에 혼란이 생겨 ㅄ계 낱말은 17C에 소멸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종성의 ㅅ,ㄷ은 혼란이 생겨, 어두가 된소리인 낱말이 증가한다. 또한, 구개음화가 생겨나고 ㆍ(아래 아)의 소실이 진행되는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원순모음화가 일어나고 ㆍ(아래 아)손실에 따른 모음조화의 파괴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이 근대 국어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참고적으로 ㆍ(아래 아)의 경우에는 완전 소실되지만, 표기법상에는 남아 있어 한글 맞춤법 통일안까지 쓰이게 된다.
또한 이 시기에는 한글 사용의 폭이 확대 되어 한글 소설 등이 인기를 끌고 서민들의 문학이 발달하는 모습이 보인다. 개화기에 이르러 문장 구성 방식이 현대와 비슷해지며, 성조의 소멸에 따른 방점 소실 또한 중요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성조란?
성조 언어 중 대표적인 언어는 중국어이다. 성조는 음에 고저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성조에는 평성, 거성, 상성이 있는데 평성은 낮은 소리, 거성은 끝음을 올려내는 소리, 거성은 높은 소리를 의미한다. 하나의 글로서 성조를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점을 찍어 이를 표현했는데 이렇게 성조를 표기하는 점을 방점이라 한다.

2.근대 국어의 음운, 어휘, 문법 변화
(1)음운 변화

①모음체계
중세 국어의 7모음 체계에서 8 단모음 체계로 변화했다. 그 과정에서 ᆞ의 음가가 소실되어 국어의 단어나 문법요소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ㅔ,ㅐ'가 단모음으로 변화했다.
이 시기의 단모음 체계를 표로 그리면 다음과 같다. (19세기 말 기준)

전설모음
후설모음
비원순모음
원순모음
비원순모음
원순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②자음체계
근대 국어의 자음체계는 대체로 후기 중세국어의 자음체계와 유사하다. 그러나 후기 중세국어의 유성마찰음 계열 ‘ㅸ, ㅿ, ᅌ’등이 없어지고 ‘ᄌ’의 된소리가 추가된다.

근대국어 자음체계
ᄇ ᄃ ᄀ ᄌ ᄒ
ᄑ ᄐ ᄏ ᄎ
ᄲ ᄯ ᄭ ᄊ ᄻ
ᄆ ᄂ ᄋ


이 시기 이후의 자음 체계를 표로 그리면 다음과 같다 (19세기 말 기준)

양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두음
장애음
폐쇄음
평음
격음
경음











파찰음
평음
격음
경음







마찰음
평음
격음
경음







공명음
비음





유음







참고문헌
조오현 외, 『한국어학의 이해』, 소통, 2008
이광호, 『근대국어문법론』, 태학사, 2004
이익섭,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2 -근대 국어-』 , 국립국어연구원, 1997
허웅, 『국어음운학:우리말 소리의 오늘과 어제』, 샘문화사, 1985
김종택, 『국어 어휘론』, (주)탑출판사, 1992
김무림,『국어의 역사』, 한국문화사,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