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발달론 - 삶의 가치의 새로운 시사점, 배려윤리 - 나의 경험 사례 - 배려윤리 지도방안

 1  도덕발달론 - 삶의 가치의 새로운 시사점, 배려윤리 - 나의 경험 사례 - 배려윤리 지도방안-1
 2  도덕발달론 - 삶의 가치의 새로운 시사점, 배려윤리 - 나의 경험 사례 - 배려윤리 지도방안-2
 3  도덕발달론 - 삶의 가치의 새로운 시사점, 배려윤리 - 나의 경험 사례 - 배려윤리 지도방안-3
 4  도덕발달론 - 삶의 가치의 새로운 시사점, 배려윤리 - 나의 경험 사례 - 배려윤리 지도방안-4
 5  도덕발달론 - 삶의 가치의 새로운 시사점, 배려윤리 - 나의 경험 사례 - 배려윤리 지도방안-5
 6  도덕발달론 - 삶의 가치의 새로운 시사점, 배려윤리 - 나의 경험 사례 - 배려윤리 지도방안-6
 7  도덕발달론 - 삶의 가치의 새로운 시사점, 배려윤리 - 나의 경험 사례 - 배려윤리 지도방안-7
 8  도덕발달론 - 삶의 가치의 새로운 시사점, 배려윤리 - 나의 경험 사례 - 배려윤리 지도방안-8
 9  도덕발달론 - 삶의 가치의 새로운 시사점, 배려윤리 - 나의 경험 사례 - 배려윤리 지도방안-9
 10  도덕발달론 - 삶의 가치의 새로운 시사점, 배려윤리 - 나의 경험 사례 - 배려윤리 지도방안-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도덕발달론 - 삶의 가치의 새로운 시사점, 배려윤리 - 나의 경험 사례 - 배려윤리 지도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도덕발달론
삶의 가치의 새로운 시사점,
배려윤리
. 들어가며

우리나라의 경우, 분명히 정의의 윤리보다는 배려윤리의 측면에 더 가까운 전통이나 문화 속에서 살아왔음에도 불구하고 서구의 사상과 문화가 밀려오면서 가치관의 혼란이 생겨나고 물질 만능주의나 자신의 권리 추구에만 급급한 방향으로 나아가면서 우리의 전통 문화까지 흔들리고 있는 현실에 있다. 이처럼 이기주의와 개인주의가 만연하여 서로의 이익과 권리만을 주장하는 오늘날의 현실 속에서 사회는 정의와 권리, 분리와 독립, 자율과 경쟁 등이 올바른 가치관이며 이것이 삶을 구성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고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은 그러한 가치관을 내면화하며 살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요소들을 내면화 한 삶은 과연 완벽한 윤리의식을 가진 삶이라 할 수 있을까. 이러한 의문을 가지게 될 때, 우리의 삶의 관점과 자세에 대해 반성을 요구하며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는 도덕 윤리적 경향이 있으니, 바로 배려윤리라 할 수 있겠다.
배려윤리는 우리에게 과연 진정한 의미의 도덕적인 삶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한다. 우리가 현재에서 강조하고 있는 관점들은 남성 중심의 윤리관에 치우친 것이며, 따라서 여성중심의 윤리관, 즉 인간은 상호간의 관계를 가지고 살아가는 존재이며 그렇기 때문에 서로 애착을 가지고 서로의 필요나 어떠한 바람에 반응하며 서로 보살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물론 그렇다고 하여 배려윤리가 기존에 강조되었던 가치, 이를테면 정의의 윤리 등을 배려의 윤리만 강조하며 살아야 한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그들은 이 두 개의 상반된 윤리가 서로 상호작용을 하며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윤리에 반기를 드는 배려의 윤리는 나의 권리, 나의 존재만을 강조하며 경쟁하며 살아가는 현재의 학생들에게 새로운 도덕 교육의 대안을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하여 지금부터는 배려윤리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심화하여 나의 경험에 접목시켜 분석해 보도록 하겠다. 더불어 이러한 배려윤리를 어떻게 초등 교육에 접목 시킬 것인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고자 한다.
Ⅱ. 배려 윤리
배려윤리에 대해 살펴볼 때,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 학자로는 길리건(C. Giligan)과 나딩스(N. Noddings)를 들 수 있다. 길리건의 경우 배려윤리에 대해 도덕 심리학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접근한 최초의 인물이라 할 수 있으며, 나딩스는 이렇게 길리건이 제기한 배려윤리를 도덕철학적, 혹은 도덕교육적 탐구에 보다 중점을 두고 접근하였다는 차이가 있다. 이 두 학자의 경우 배려윤리에 있어서 어느 한 명이라도 빼놓고는 말할 수 없기 때문에, 두 학자의 이론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1. 길리건
정의 중심 윤리에 대한 비판과 배려 중심 윤리의 강조
길리건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론과 그에 기초한 도덕 교육론이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을 무렵에 이러한 콜버그의 이론이 남성의 왜곡되어진 관점에서 보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그녀는 콜버그의 인지적 도덕 발달 이론 구성에서 누락된 집단이었던 여성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서 기존 이론과의 차이를 밝혀냄으로써 남성과 여성 삶에 대한 보다 확대된 관점을 제공하였다.
그녀는 연구를 통해 규칙을 정교화하고 분쟁을 해소하는 공정한 절차의 발달에 열성적인 남자 아이들에 비해, 여자 아이들의 경우 협동적이고 상호 의존적이며 구체적이고 특수적인 인간관계의 도덕을 발달시킨다는 차이점을 시사 하였다. 이러한 여성들의 정체성에 바탕을 이루고 있는 도덕성을 그녀는 배려의 도덕성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남성들 위주의 사회 구조와 문화 속에서 여성들은 자신이 중요시 여기는 가치관과 충돌을 일으켜 여성들을 혼란에 휩싸이게 한다. 그녀는 남성위주의 정의 중심적인 윤리가 왜곡된 관념으로서의 허위의식일 수 있음을 시사하면서 여성들을 특유한 도덕 및 도덕 발달의 이론을 전개하였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