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신학교 언더우드 학당의 교육사와 교육 철학

 1  경신학교 언더우드 학당의 교육사와 교육 철학-1
 2  경신학교 언더우드 학당의 교육사와 교육 철학-2
 3  경신학교 언더우드 학당의 교육사와 교육 철학-3
 4  경신학교 언더우드 학당의 교육사와 교육 철학-4
 5  경신학교 언더우드 학당의 교육사와 교육 철학-5
 6  경신학교 언더우드 학당의 교육사와 교육 철학-6
 7  경신학교 언더우드 학당의 교육사와 교육 철학-7
 8  경신학교 언더우드 학당의 교육사와 교육 철학-8
 9  경신학교 언더우드 학당의 교육사와 교육 철학-9
 10  경신학교 언더우드 학당의 교육사와 교육 철학-10
 11  경신학교 언더우드 학당의 교육사와 교육 철학-11
 12  경신학교 언더우드 학당의 교육사와 교육 철학-12
 13  경신학교 언더우드 학당의 교육사와 교육 철학-13
 14  경신학교 언더우드 학당의 교육사와 교육 철학-14
 15  경신학교 언더우드 학당의 교육사와 교육 철학-15
 16  경신학교 언더우드 학당의 교육사와 교육 철학-16
 17  경신학교 언더우드 학당의 교육사와 교육 철학-17
 18  경신학교 언더우드 학당의 교육사와 교육 철학-18
 19  경신학교 언더우드 학당의 교육사와 교육 철학-19
 20  경신학교 언더우드 학당의 교육사와 교육 철학-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경신학교 언더우드 학당의 교육사와 교육 철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교육 철학 및 교육사』
- 경신학교 -
▣ 목차
*언더우드의 성장 과정 및 한국 선교
*언더우드학당
1. 학당의 개설준비
2. 최초의 학교명칭
3. 학당의 개설 예배
4. 고아를 모아들인 원두우
5. 최초의 교과목
*예수교학당
1. 학당장의 입성과 한국어 공부
2. 교육목표와 이념
3. 생활교육의 실현
4. 다양한 교과과정
5. 입학연령과 수업연한
*민로아학당
1. 교육목적과 실업교육
*연못골 선교 언덕
*예수교 중학교의 개설
*성경 및 다양한 교과목
*교명을 확정
*교표 교기 뱃지를 제정
*경신소학교
*연합교육을 시도
*한일합방 전후의 교육정책
*조선선교연합회의 교육정책
*경신 수공부
*경신학교와 정신여학교
*교훈을 제정
*교가를 개정
*자유교육 이념의 고취
*여성교육운동
*선교교육의 사회적 기여와 반성
언더우드의 성장 과정 및 한국 선교
원두우(1859-1916)의 본래 이름은 호레이스 G. 언더우드(Horace Grant Underwood)이나, 그는 한국 이름을 즐겨 사용했다. 원두우는 신학교 입학 때부터 강한 자의에 의하여 선교사가 되려고 결정했다. 그리하여 그는 인도에 가기를 계획하고 그곳에 가면 질병으로 고통을 당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려고 1년 동안이나 의학과 인도어까지도 준비하였다.
이같이 그가 신학교 재학 시절인 1882년 5월 한미수호조약이 체결되었다. 그때 신학생들이 각 선교지역 사정을 연구하면서 한국 사정을 연구한 학생이 있어 외국 선교사업 의용단회에 그 결과를 보고했다고 한다. 이 보고서의 내용은 한미조약이 체결되고 선교할 문이 열리었으나, 아직 사업이 착수되지는 않고 있다는 것이었다.
언더우드의 선교지는 처음에 마음먹었던 인도에서 한국 땅으로 바뀌어지게 되었다. 그리하여 그는 1884년 7월 28일에 ‘미국 북 장로교회 선교부’로부터 초대 한국의 선교사로 임명받고, 그해 말인 12월 16일에 샌프란시스코를 떠나 1885년 1월에 일본에 도착하였다.
일본에 도착한 후, 그는 한국에 가는 기선을 기다리느라고 장로교회의 선배 선교사 햅번(I. C. Hepburn)의 집에 잠시 지체하였는데, 이때 미국 북 감리교 선교사 아펜젤러(H.G Appenzeller) 부부도 한국에 대한 선교의 명을 받고, 이 해 2월에 도착했다. 그들은 그곳에서 잠시 머무는 동안 한국인으로 초대 교인의 한 사람이 된 이수정을 만나 우리말을 배웠다.
그들은 한국에 도착하여 “주님께서 이 나라 백성들이 얽매여 있는 쇠사슬을 끊으시고 그들에게 하님의 자녀의 광명과 자유를 얻게 하여 주소서”라고 기도하였다. 이 기도 속에는 선교의 방법과 기독교적인 훈련, 근대문화 의식과 개화 이념, 그리고 기독교적인 신생운동과 새로운 인간 양성 등의 뜻이 포함되어 있다.
언더우드학당
1. 학당의 개설준비
원두우 목사는 내한한 목적이 기독교 선교에 있었으나 1882년에 체결된 한미수호 통상조역에 종교의 포교에 관한 조항이 없을 뿐더러, 이에 대한 자유가 보장되어 있지 않아 목사 신분까지 숨기며 언젠가 이루어지리라는 신념과 기대를 안고 의료사업과 교육사업을 통해 초기 선교사로서의 임무를 달성하려 했다. 원두우 목사는 일본을 떠날 때 부득이한 경우 한미수호 통상조약 제 11관에 명시된 「학습 언어 문자」의 보장에 따라 영어학교라도 차릴 계획이었었다. 그래서 미국을 떠나기 전에 회회교 이슬람교, 성지 메카를 중심으로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등지에 널리 퍼져 신도의 수는 4억 이상을 헤아린다. ≒마호메트교·모하메드교·회교(回敎)·회회(回回)·회회교.
힌두교 국가인 인도 선교사로 가기 위해 1년간 의학을 배운 일이 있으므로 서울에 들어온 3일 후인, 1885년 4월 10일에 알렌(H. N. Allen) 의사가 국립병원 광혜원을 개설하게 되자 이에 합세하여 이날부터 오후마다 광혜원에 나아가 병자를 보살피며 의학도들에게 물리학 화학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그리고 오전에는 「집으로 찾아오는 10여명의 아이들에게 영어를 가르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