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북한문학의 전개양상

 1  인문과학 북한문학의 전개양상-1
 2  인문과학 북한문학의 전개양상-2
 3  인문과학 북한문학의 전개양상-3
 4  인문과학 북한문학의 전개양상-4
 5  인문과학 북한문학의 전개양상-5
 6  인문과학 북한문학의 전개양상-6
 7  인문과학 북한문학의 전개양상-7
 8  인문과학 북한문학의 전개양상-8
 9  인문과학 북한문학의 전개양상-9
 10  인문과학 북한문학의 전개양상-10
 11  인문과학 북한문학의 전개양상-11
 12  인문과학 북한문학의 전개양상-12
 13  인문과학 북한문학의 전개양상-13
 14  인문과학 북한문학의 전개양상-14
 15  인문과학 북한문학의 전개양상-15
 16  인문과학 북한문학의 전개양상-16
 17  인문과학 북한문학의 전개양상-17
 18  인문과학 북한문학의 전개양상-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과학 북한문학의 전개양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북한문학의 전개양상
≪목 차≫
Ⅰ. 서론 1
Ⅱ. 본론 1
1. 형성기 (1947~1953) 1
가. 고상한 사실주의의 형성 1
1) 시
2) 소설
나. 전시문학 4
1) 시
2) 소설
2. 투쟁기 (1953~1967) 6
가. 전후 복구와 도식주의 비판 6
1) 반 종파, 반 부르주아 문학투쟁
2) 전후 복구와 사회주의 기초 건설
3) 도식주의 비판의 시도와 좌절
나. 카프 전통에서 항일 혁명문학 전통으로 9
1) 천리마 운동과 ‘인민 형상화’를 주제로 한 문학
2) 항일 혁명문학의 대두와 김일성 우상화
3. 수립기 (1967~최근) 11
가. 유일 주체문학의 완성 11
1) 시
2) 소설
나. 1980 1990년대 주체문학 틀 안에서의 변화 12
1) 1980년대 북한문학의 변화
2) 1990년대 북한문학의 새로움
Ⅲ. 결론 16
* 참고문헌 17
Ⅰ. 서론
‘우리들의 문학사’ 서술을 위해 달려온 지도 어느 덧 두 달이 지나 한 학기 수업을 마무리해야 할 시점에 서 있다. 그동안 우리는 문학사의 서술 방법부터 시작해 현대문학사를 시대별로 되짚어보는 작업을 해 왔다.
이제 우리는 문학사 연구의 마지막 순서로 ‘북한문학의 전개양상’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 한다. 이쯤에서 우리는 북한문학을 굳이 따로 빼내어 남한문학과는 별도로 하나의 주제로 상정해 다루고자 하는 이번 연구의 목적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왜 우리는 북한문학을, 그것도 현대문학사 고찰의 맨 마지막 시간에 다루고자 하는가?
우리는 위의 질문에 대한 답을 “남한과 북한의 문학사가 민족통일을 당위의 과제로 의식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기술하려는 반성적인 자각과 문학적 실천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라고 한 최동호의 의견에서 찾고자 한다. 최동호,『남북한 현대문학사』, (서울: 나남, 1995), p.28.
최동호가 밝힌 대로 한국의 현대사에서 해방 이후의 시대는 민족 분단의 시대에 해당한다. 즉, 개화기 문학부터 50년대의 시와 소설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죽 다루어온 문학사 이후가 바로 이 해방 이후 민족 분단의 시대인 것이다. 이는 곧 우리가 분단문학을 다루어야 할 시점에 다다랐음을 뜻한다.
따라서 우리는 오늘 북한문학의 전개양상을 소개함으로써, 해방 이후 둘로 나뉘어져 각기 따로 발전해 온 남북한문학사 중 특히 북한문학의 여러 면모를 두루 살피고자 한다. 이는 분단국가라는 특수한 상황이 만들어 낸 남북한문학사의 커다란 두 흐름을 비교해 본다는 측면에서 매우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아울러 역사는 비교적 짧지만 근래에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북한문학을 소개함으로써, 현대문학사에서 흔히 배제되기 쉬운 우리의 반쪽, 북한문학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나아가 남북한 문학사를 균형 있게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기르는 초석으로 삼으려 한다.
상기의 논의는 북한문학사를 크게 형성기와 투쟁기 그리고 수립기로 나누어 각각의 시대별 특징을 시간 순서로 알아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기 위해 본론에서는 우선적으로 각각의 시대 상황과 연관 지어 그 시대 문학의 특징을 파악한 후, 주요 작가와 그 작품들을 소개하려 한다. 아울러 북한문학만의 특징이 나타나는 작품 몇 편을 골라 전문 혹은 부분을 실어 함께 공유하고, 북한문학의 실제를 조금이나마 느껴볼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려 한다. 그 후에는 결론을 통해 지금까지의 논의를 마무리 짓고, 아울러 통일 후의 현대문학사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정리해 보는 것에서 오늘 논의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Ⅱ. 본론
1. 형성기 (1945~1953)
가. ‘고상한 사실주의’의 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