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도천수관음가

 1  인문어학 도천수관음가-1
 2  인문어학 도천수관음가-2
 3  인문어학 도천수관음가-3
 4  인문어학 도천수관음가-4
 5  인문어학 도천수관음가-5
 6  인문어학 도천수관음가-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어학 도천수관음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원문과 배경설화
1-1. 원문
1-2. 배경설화
2. 기존 향가 해독 연구사
3. 해당 구절 연구
3-1. 기존의 해독
3-2. 기존 해독에 대한 비판
4. 해독 난제에의 대안
1. 원문과 배경설화
1-1. 원문.

膝古召 (슬힐고소며)
二尸掌音手乎內良 (이시장음수호복내양)
千手觀音叱前良中 (천수관음질전양중)
祈以白屋尸置內乎多 (기이복백옥시치내호다)
千隱手 (천은수)
叱千隱目 (질천은목힐)
一等下叱放一等除惡 (일등하질방일등힐제악복)
二于萬隱吾羅 (이우만은오나)
一等沙隱賜以古只內乎叱等邪阿邪也 (일등사은사이고지내호질등사아사야)
吾良遣知賜尸等焉 (오양견지복사시등언)
放冬矣用屋尸慈悲也根古 (방동의용옥시자비야근고)
1-2. 배경설화.
三國遺事3卷-4塔像-芬皇寺千手大悲/盲兒得眼-00
芬皇寺千手大悲/盲兒得眼.
景德王代, 漢岐里女希明之兒, 生五稔而忽盲. 一日其母抱兒, 詣芬*皇(黃)寺左殿北壁千手大悲前, 令兒作歌禱之, 遂得明, 其詞曰: 膝古召, 二尸掌音毛乎支內良,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白屋尸置內乎多, 千隱手叱千隱目, 一等下叱放一等除惡支, 二于萬隱吾羅, 一等沙隱賜以古只內乎叱等邪阿邪也, 吾良遺知支賜尸等焉, 放冬矣用屋尸慈悲也根古. 讚曰: 竹馬蔥笙戱陌塵, 一朝雙碧失瞳人. 不因大士廻慈眼, 虛度楊花幾社春.
“경덕왕 때, 한기리의 여인, 희명의 아이가 난지 다섯 살 만에 갑자기 눈이 멀었다. 하루는 그 어머니가 아이를 안고서 분황사에 예불드리러 가서 전의 좌편 북쪽 벽 ‘천수대비’앞에서 아이에게 노래를 지어 빌라고 명하였더니, 눈이 밝아졌다. 그 가사는 이렇다.” (주)언어과학 韓國 東洋學 硏究 資料集成 홈페이지 참조.(http://www.clepsi.co.kr)
는 신라 당시 유행하던 관음신앙 아래 만들어진 기도문 형태의 향가이다. 관음신앙은 관음보살에 관한 것인데 관음보살은 그 본성이 중생의 소리를 들어 인간을 구제해주는 존재로, 치성만 드리면 인간의 소원이 성취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철, 「도천수대비가 연구」, 『한국시가연구』(백강서수생박사환갑기념논총).
당시 불교가 성행했던 신라 시대에, 관음보살은 민중들에게 있어 희망적인 존재였고 관음신앙이 상당히 보편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향가는, 당시 신라인들의 기도문 형태의 일반적인 노래였을 것이고 후대에 전승되면서 희명의 아이가 눈을 뜨게 되었다는 설화를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2. 기존 향가 해독 연구사
도천수관음가(禱千手觀音歌)에 대한 연구는 일본인인 소창진평(小倉進平)이 1920년대에 어석적 연구를 한 것을 그 처음으로 볼 수 있다. 그러다가 김동욱(金東旭)이 1950년대에 문학적 연구를 한 이래 꾸준히 연구되어 왔으나, 몇 문제에 한해서는 아직까지도 합치의 매듭을 짓지 못하고 상이한 시각만을 고수하고 있는 실정이다. 『향가문학연구』, 김승옥, p.453
기존 연구들을 살펴 봤을 때, 노래의 셋째 줄 까지는 해독에 약간의 차이가 있되 의미에 그리 큰 차이가 없으나, 그 다음부터는 큰 차이가 드러난다. 특히 이 발제지에서 논의하는 제 8번째 줄의 경우 그 해독은 열 일곱 사람의 해독이 각기 달라 향가 해독의 난제라 할 수 있다.
그러면 먼저 전체적인 해독 내용에 관해 양주동과 김완진의 해독을 비교하면서 전체 작품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 양주동 역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