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소논문] 『독립신문』을 통해 본 개화기 운동회의 모습과 그 의의

 1  [글쓰기 소논문] 『독립신문』을 통해 본 개화기 운동회의 모습과 그 의의-1
 2  [글쓰기 소논문] 『독립신문』을 통해 본 개화기 운동회의 모습과 그 의의-2
 3  [글쓰기 소논문] 『독립신문』을 통해 본 개화기 운동회의 모습과 그 의의-3
 4  [글쓰기 소논문] 『독립신문』을 통해 본 개화기 운동회의 모습과 그 의의-4
 5  [글쓰기 소논문] 『독립신문』을 통해 본 개화기 운동회의 모습과 그 의의-5
 6  [글쓰기 소논문] 『독립신문』을 통해 본 개화기 운동회의 모습과 그 의의-6
 7  [글쓰기 소논문] 『독립신문』을 통해 본 개화기 운동회의 모습과 그 의의-7
 8  [글쓰기 소논문] 『독립신문』을 통해 본 개화기 운동회의 모습과 그 의의-8
 9  [글쓰기 소논문] 『독립신문』을 통해 본 개화기 운동회의 모습과 그 의의-9
 10  [글쓰기 소논문] 『독립신문』을 통해 본 개화기 운동회의 모습과 그 의의-10
 11  [글쓰기 소논문] 『독립신문』을 통해 본 개화기 운동회의 모습과 그 의의-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글쓰기 소논문] 『독립신문』을 통해 본 개화기 운동회의 모습과 그 의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운동회 풍경
1) 공간적 위계질서의 해체 양상
2) 화려한 시각성과 흥겨운 분위기
3) 종목과 체급 그리고 민속놀이

3. 운동회의 효과와 의의
1) 의례를 통한 국가 상징의 각인
2) 계몽과 근대성의 실현 공간
3) 참여와 축제의 장

4. 맺음말
본문내용
1. 머리말
근대성 담론은 사람들의 몸에 대한 인식을 바꾸어 놓았다. 조선은 ‘아무리 급해도 양반은 뛰어서는 안 된다.’라는 속담이 있었을 정도로 신체활동을 천시하던 사회였다. 그러나 위생․건강 등이 문명의 척도로 제시되면서 몸은 근대성을 실현하는 매개체가 된다. 이와 더불어 조선의 문약에 대한 반성적 차원으로도 몸에 관한 관심은 증대하였다. 몸과 연관된 이러한 새로운 시각들은 자연스레 몸을 움직이는 활동, 즉 체육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처럼 근대 체육은 일종의 계몽의 기획이었다.『독립신문』의 다음과 같은 보도는 개화기 사람들의 체육에 대한 인식을 잘 보여준다.

다만 과 지각만 양 게 아니라 죠션사들이 몸 양 것도 매우 소중한 일이니 몸 양 은 공긔에 운동게 매일이요 목욕을 쟈죠 야 몸을 졍게 거시 뎨일이라.(1896.5.5) 이하 본문에 직접 인용한『독립신문』기사의 주는 날짜만 입력할 것을 밝힌다.


계몽적 기획으로서의 체육은 개화기 학교 교육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1895년 반포된 고종의 교육입국조서에서도 체육(體育)의 배양은 덕육(德育), 지육(智育)과 더불어 교육의 주된 목적이라고 선언하고 있다. 정준영,「구한말 체육사상의 변화 -위생체육에서 상무체육으로」,『한국사회사상사연구』, 김경일․박명규 外 17명, 나남, 2003, p. 243.
대부분의 근대 학교에서는 체육 과목을 설치했고, 선교사들을 통해 근대적 스포츠 경기가 지속적으로 국내에 도입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학교 교육을 집대성하는 자리로 학교마다 운동회 행사를 열게 된다.
이처럼 개화기의 체육열기와 운동회는 상당히 근대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근대적 신체 봉건적 속박에서 벗어나 개인이 자신의 자유롭게 신체활동을 벌인다는 의미에서 ‘해방의 신체’이기도 하지만, 또한 위생과 문명이라는 근대적 가치에 의해 ‘관리 받는 신체’라는 의미를 가진다.
자세한 내용은 고미숙, 『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 - 민족․섹슈얼리티․병리학』,책세상, 2001. 참조.
라는 개념이 성립하지 않거나 신체를 통한 근대성 실현이라는 시대적 과제가 부여되지 않는다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1897년~1900년도까지 운동회는 총 13회 열렸는데 『독립신문』은 당시 일어난 총 13회의 운동회를 모두 보도하고 있다. 『독립신문』이 보도한 총 13회의 운동회는 다음과 같다. 관립소학교 삼선평 운동회(1896.5.30), 관립소학교 훈련원 운동회(1896.6.2), 한성부공립소학교 운동회(1896.6.18), 경성학당 개교 1주년 기념운동회(1897.4.13), 서울관공립소학교 운동회(1897.4.29), 영어학교 운동회(1897.6.19) 외국어학당 운동회(1898.4.7), 배재학당 운동회(1899.4.22),외국어학교운동회(1899.5.1), 소학교 운동회(1899.5.3),인천공립소학교운동회(1899.10.5), 일순사 운동회(1899,10,9), 인천일본소학교추기운동회(1899,10,25) 괄호 안은 최초로 보도된 날짜.
당대의 유력 언론도 이토록 주목했다는 점에서, 운동회는 당시 특별한 행사였고.『독립신문』이 널리 알리고 싶어할만한 무언가가 있는 행사였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운동회는 새로운 시대의
참고문헌
『독립신문』(1896.4.7~1896.12.4)
『대한매일신보』(1904.7.18~1905.7.4./1907.5.23~1910.8.28)
고미숙, 『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 - 민족․섹슈얼리티․병리학』,책세상, 2001.
김진옥(金辰玉)․민천식(閔千植)구술, 이두현(李杜鉉)채록, 『봉산탈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독립신문강독회, 『독립신문 다시읽기』, 푸른역사, 2004.
여인성, 「근대 스포츠의 특성과 계몽운동」,『한국체육학회지』제31호, 한국체육학회, 1993.
이승원, 『학교의 탄생』, 휴머니스트, 2005.
이인숙,「開化期 運動會의 社會體育的 性格」,『한국체육학회지』제33권, 제 1호, 한국체육학회, 1994.
이태진, 『고종시대의 재조명』, 태학사, 2000.
정준영,「구한말 체육사상의 변화 -위생체육에서 상무체육으로」,『한국사회사상사연구』, 김경일․박명규 外 17명, 나남, 2003.
Hobsbawm. Eric 외, 박지향․장문석 옮김, 『만들어진 전통』, 휴머니스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