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지식] 언어지식에 대하여

 1  [언어지식] 언어지식에 대하여-1
 2  [언어지식] 언어지식에 대하여-2
 3  [언어지식] 언어지식에 대하여-3
 4  [언어지식] 언어지식에 대하여-4
 5  [언어지식] 언어지식에 대하여-5
 6  [언어지식] 언어지식에 대하여-6
 7  [언어지식] 언어지식에 대하여-7
 8  [언어지식] 언어지식에 대하여-8
 9  [언어지식] 언어지식에 대하여-9
 10  [언어지식] 언어지식에 대하여-10
 11  [언어지식] 언어지식에 대하여-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언어지식] 언어지식에 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언어지식의 개념
2. 말소리
3. 어휘
4. 문법
5. 언어 외적인 언어지식
6. 생성문법에서의 언어지식
본문내용
1. 언어지식의 개념
어떤 언어를 안다는 것은 무엇을 뜻할까? 나는 영어로 아침 인사를 어떻게 하는지 알 수 있으며, 또 어떤 사람은 일본어의 ‘가다’ 동사가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알고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이야기하자면 여기에서의 ‘알다’라는 동사는 시비의 문제가 아니라 정도의 문제를 가리키는 것 같다. 즉 현대 미국 작가들의 가장 세련된 언어 구사를 모두 이해할 수 있는 사람도 영어를 ‘아는’ 것이며, 영어로 만날 때와 헤어질 때 뭐라고 말하는지만 아는 사람도 영어를 ‘아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기준은 지나치게 불분명하다. 그러므로 일단 언어지식의 개념을 몇 가지 관점에서 정리해보자.
이제 우리가 어떤 언어 L을 배우고 있다고 가정하자. 상식적인 용법에서, 우리는 위의 경우처럼 L에 대한 '부분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우리는 L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에 있으며, 만약 우리가 소기의 목표에 도달하게 되면 우리는 비로소 L을 알게 되는 것이다. 우리는 L을 '잘 알고 있을' 수도 있고, '조금밖에 모를' 수도 있으며, L에 관한 나름대로 '수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지만' 자유롭게 의사소통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런데 '언어지식'을 이렇게 상식적인 용법으로 사용할 때, 언어지식에 관한 일관성 있는 과학적 설명은 가능하지 않을 것 같다. 언어지식에 대한 과학적 해명을 위해서 보다 명확한 개념 정립이 필요하다. 그러면, 상식적 용법이 가지고 있는 몇 가지 문제점을 짚어보자.
첫째, 과연 어디서부터가 '언어를 아는' 것일까? 명확한 기준이 없다면, 같은 화자가 관점에 따라서 L을 잘 알고 있다고 말할 수도 있고 별로 못 한다고 말할 수도 있다. 기준을 만들기 위해서 우리는 언어지식을 한 차례 추상화시켜야할 것이다. 언어를 알기 위해 이러이러한 요소가 필요하다고 말할 수 있지만, 그것을 기준으로 실제 어떤 사람이 어떤 자연언어를 '알고 있다'거나, '알고 있지 않다'고 판정할 수는 없다.
둘째, 우리가 배우고 평가하는 것은 언어지식의 부분인데, 'L을 안다'라고 할 대 L은 전체로서의 L이다. 따라서 외형적으로 배우는 것들의 총체가 하나의 긴밀한 구조인 L의 지식에 곧바로 대응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초보 화자가 배우는 L과, L을 상용하는 사회에서 사용하는 L 사이에 불일치가 있다. 초보 화자는 L의 문법을 배울 때, 아마도 (다분히 목적론적인) L의 규범 문법(prescriptive grammar)을 배울 것이다. 그런데 통용되는 언어는 많은 부분에서 규범 문법과 다르다. 현대 영어 화자들은 "It's me"를 주로 쓰지만, 논리적인 규범 문법은 "It's I"라고 쓰기를 요구한다. 랑그는 L의 학습자가 배우는 것보다 훨씬 다양하고 불명료한 모습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구조주의자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적으로 일관성 있는 이상화된 사회공동체를 가정했다. 미국 구조주의 언어학의 대표자인 블룸필드(Leonard Bloomfield)에게 언어란 (동질적인 것으로
참고문헌
김진우,『언어: 그 이론과 응용』, 탑출판사, 1985.
남기심, 이정민, 이홍배,『언어학개론(개정판)』, 탑출판사, 1998.
Chomsky, N.,『언어지식』, 이선우 역, 아르케, 1999.
Dirven & Verspoor(eds.) 1999, Cognitive Exploration of Language Linguisitcs, John Benjamins
Borsley, Robert 1999 Syntactic Theory : A Unified Approach, 2nd ed., Arno
Radford, A.,『최소주의 통사론』, 이홍배 역, 한신문화사, 1999.
표준 국어 문법론 요약,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