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도덕교육론 - 공감(호프만의 이론을 중심으로)

 1  초등도덕교육론 - 공감(호프만의 이론을 중심으로)-1
 2  초등도덕교육론 - 공감(호프만의 이론을 중심으로)-2
 3  초등도덕교육론 - 공감(호프만의 이론을 중심으로)-3
 4  초등도덕교육론 - 공감(호프만의 이론을 중심으로)-4
 5  초등도덕교육론 - 공감(호프만의 이론을 중심으로)-5
 6  초등도덕교육론 - 공감(호프만의 이론을 중심으로)-6
 7  초등도덕교육론 - 공감(호프만의 이론을 중심으로)-7
 8  초등도덕교육론 - 공감(호프만의 이론을 중심으로)-8
 9  초등도덕교육론 - 공감(호프만의 이론을 중심으로)-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초등도덕교육론 - 공감(호프만의 이론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공 감
-호프만의 이론을 중심으로-

I. 서론
-공감 이론 선정 이유
II. 본론
1. 공감과 관련된 이론
(1) 공감의 정의
(2) 공감의 인지적 속성
(3) 정의와 인지의 통합으로서의 공감
(4) 도덕교육의 정의적 측면에서의 공감
2. 공감과 관련된 경험 사례 및 분석
(1) (사례1)
(2) (사례2)
(3) (사례3)
3. 공감을 통한 도덕교육
(1) 도덕 교육에서의 공감의 의의
(2) 수업 전략 및 적용
III. 결론
IV. 참고문헌
I. 서론
-공감 이론 선정 이유
인간은 사회적 동물로서 혼자서는 살아가기 어려운 존재이다. 그리하여 우리는 사회를 형성하여 다른 사람과 상호의존하며 삶을 영위하게 된다. 이때 반드시 필요한 것 중의 하나가 바로 도덕규범이다. 도덕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개인의 도덕성을 계발하고 발달시키는 것이다. 도덕성은 그 구성요소로서 정의적 측면의 도덕적 정서와 인지적 측면의 추론, 그리고 앞의 두 요소를 바탕으로 하는 도덕적인 행동을 들 수 있으며, 결국 도덕적 가치의 내면화에 있어 행동 측면, 정의적 측면 및 인지 판단 등 세 요소를 포함한다고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하루하루 급격하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이러한 도덕교육은 어떤 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 고민해보지 않을 수 없다. 문명의 이기가 발전함에 따라 요즘 우리 아이들은 컴퓨터 혹은 게임기와 함께 하는 시간이 많아 누군가와 함께 놀기보단 혼자 노는 것에 익숙해져 있다. 그리하여 주변 사람들에 대한 관심은 줄고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아이들에게 도덕적인 판단 능력의 육성 즉, 인지 발달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온 기존의 도덕교육은 잘못된 행동을 고치고 보다 바람직한 행동을 익히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감정적·정서적 측면의 도덕 교육을 보다 강화하여 아이들이 직접 느끼게 하고 느낀 것을 실천으로 옮길 수 있게 해야 한다. 그런 면에서 다른 사람과 함께 느끼는 ‘공감’을 통한 도덕 교육은 아이들에게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상호작용하고 소통하며 더불어 사는 삶을 일깨워 줄 수 있다. 그리하여 공감과 관련된 이론을 분석하고 사례에 적용해 보면서 초등학교 도덕 수업에 어떻게 ‘공감’을 활용할지에 대해 고민해보고자 한다.
II. 본론
1. 공감과 관련된 이론
(1) 공감의 정의
콜버그가 지나치게 도덕적 추론에 의존한 도덕성의 발달의 측면을 강조했다면 호프만은 외부의 규범의 사회화에 강조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콜버그의 도덕 발달이론이 인지의 우선성을 가정하고서는 정의나 공정성에 바탕을 둔 도덕 판단과 추론에 따르는 것을 도덕적 행위라고 보았다면 호프만은 인지적 측면에서보다는 동기적 측면에서 즉 타인이나 집단을 대표해서 무엇인가를 하려는 경향에 의해 유도된 행동 혹은 인간의 복지나 정의와 관련되는 도덕 규범이나 기준에 일치하게 행동하고자 하는 경향에 의해 일어난 행동을 도덕적 행위로 보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도덕적 동기는 바로 공감에서 나온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의 이론의 초점은 도덕 발달에 있어 공감의 역할에 두고 있다. 공감 정서는 도덕 판단과 의사결정, 그리고 행동에 있어서 도덕 원리들의 작동에 동기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공감과 도덕 원리의 결합은 바로 감정과 인지가 결합된 종합적인 도덕 이론의 핵심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호프만은 공감을 “그 자신의 상황보다는 타인의 상황에 더 적절한 심리적인 반응”이라고 정의한다. 그가 주장한 공감의 개념은 다른 사람의 느낌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 대리적인 정서적 반응이다. 정서주의자인 호프만은 공감 과정에서 타인의 정서를 더 깊이 파악하고자 하는 인지적인 과정도 배제하지 않는다. 호프만의 공감개념은 초기에는 정서적인 것으로 정의하였다. 하지만 후기 입장에서는 자아의 발달에 따라 정서보다는 인지적인 요소를 더욱 강조하였다.
대부분의 학자들이 공감의 정의를 주로 결과적인 용어로 관찰자와 대상자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왔으나 호프만은 그 관계의 이면에 놓여 있는 과정의 측면에서 공감을 받아들인다. 그리고 그는 공감을 두 가지 방식으로 정의한다. 첫째, 공감은 타인의 내적인 상태(사고, 감정, 인지, 의도)에 대한 인지적인 앎을 의미하고, 둘째, 공감을 타인에 대한 다양한 정서적 반응으로 정의 내린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공감이 정서적 반응임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정서적 요소 뿐만 아니라 인지적 요소도 함께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정서적 요소와 인지적 요소와의 상호 작용은 공감경험의 발달수준과 변화에서 뿐만 아니라 공감 발생의 다양한 형태에서 볼 수 있다.
(2) 공감의 인지적 속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