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교육의 구성 요소와 바람직한 도덕교육

 1  도덕교육의 구성 요소와 바람직한 도덕교육-1
 2  도덕교육의 구성 요소와 바람직한 도덕교육-2
 3  도덕교육의 구성 요소와 바람직한 도덕교육-3
 4  도덕교육의 구성 요소와 바람직한 도덕교육-4
 5  도덕교육의 구성 요소와 바람직한 도덕교육-5
 6  도덕교육의 구성 요소와 바람직한 도덕교육-6
 7  도덕교육의 구성 요소와 바람직한 도덕교육-7
 8  도덕교육의 구성 요소와 바람직한 도덕교육-8
 9  도덕교육의 구성 요소와 바람직한 도덕교육-9
 10  도덕교육의 구성 요소와 바람직한 도덕교육-10
 11  도덕교육의 구성 요소와 바람직한 도덕교육-11
 12  도덕교육의 구성 요소와 바람직한 도덕교육-12
 13  도덕교육의 구성 요소와 바람직한 도덕교육-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도덕교육의 구성 요소와 바람직한 도덕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Ⅰ. 서 론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에 대하여 한마디로 정의할 수는 없지만, 우리는 올바른 교육의 시작이 도덕성 교육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한다.
* 도덕성 쟁점 - 도덕적 인지와 도덕적 행동
도덕이 붕괴되고 있다는 말. 왠지 낯설지 않다. 수능 부정행위로 적발되는 아이들은 해마다 늘고 있으며, 왕따의 피해는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학생들의 짜깁기 리포트는 수준급이며, 분실물은 이름을 써놓았어도 일단 잃어버리면 거의 찾을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왜 그럴까? 학생들이 선과 악을 구별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일까? 옳고 그름을 구별하고 판단하는데 필요한 ‘도덕성’. 우리 조의 쟁점은 이것에서 시작한다.
그동안 도덕성은 보통 두 가지 측면으로 측정되어 왔다. 양심, 공감, 동정심을 느끼는 정서적인 측면, 그리고 자제력, 책임감, 분별력, 공정성을 느끼는 인지적인 측면이 그것이다. 그러나 마음과 생각이 곧 도덕은 아니다. 도덕은 생각과 행동을 일치시킬 때만 의미를 갖는다. 우리 조 역시 이 부분을 중점적으로 바라보고, 도덕적인 생각 즉 도덕적인 인지와 도덕적인 행동 사이의 차이에 초점을 맞추어 발제를 준비하였다. 리포트에서는 도덕성에 관한 간단한 정의를 먼저 다룬 뒤, 도덕성의 구성 요소와 관련 이론을 설명하는 방향으로 내용을 전개해 나가도록 하겠다.
Ⅱ. 본 론
1) 도덕성이란?
도덕성이라는 말을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어렵다. 그 속에는 철학적, 논리적, 경험 과학적 요소가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덕성(morality)이라는 용어는 라틴어의 mores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이것은 예절, 관습 등을 뜻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도덕적으로 행동한다함은 집단 규범에 순응해서 행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덕성의 의미는 학자에 따라서 다르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도덕성의 개념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를 이돈희는 ‘도덕성이란 도덕적 행위를 할 수 있는 능력 또는 성향’이라고 하였다. 이때의 도덕적 행위란 ‘인간관계에서 요구되는 규칙 혹은 규범을 준수하는 행위’를 뜻한다. 다시 말하면 도덕성이란 ‘인간관계에서 요구되는 도덕적 규범들을 행위로써 나타낼 수 있는 능력 또는 성향’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일반적 정의는 도덕성이라는 것이 인간의 행위라는 것과 분리되어서 정의될 수 없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다. Piaget는 ‘모든 도덕적 내용이란 어떤 규범 자체를 말하며 개체가 이러한 규범을 어떻게 지키는가 하는 것이 바로 도덕성의 본질’이라고 하였다. 장병림은 ‘진실한 도덕성이란 완전한 개인의 자유의사에 따라 도덕률대로 행하는 행동으로서, 외적 권위에서 내적 권위에로의 이행과 함께 나타나는 행동’이라고 보았다. Kohlberg는 초기에는 ‘개인에 의한 내면화된 사회적 행동의 문화적 규칙으로서의 양심’이라고 하였다가 후기에는 ‘두 사람 또는 그 이상의 사람들의 이해와 주장 사이에 갈등이 있는 곳에 어떤 것이 옳은가 하는 결정이며, 이 도덕성의 원리는 다른 사람의 권리에 대한 존중, 즉 공정성’이라고 하여 도덕적 원리로서의 공정성에 관한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견해들을 종합해 볼 때, 도덕성이란 사회의 관습적, 전통적, 문화적 규범을 그 사회에 소속된 개인이 내면화시킨 후, 이 내면화된 규범에 따라 자신의 행위를 자율적으로 통제하는 인지, 태도, 행동을 의미한다. 또한 도덕은 언제나 사회와 문화를 배경으로 해서 성립하므로 도덕성 발달도 이와 같은 기본적인 문화적 규칙을 내면화해가는 과정에서의 성장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내면화라고 하는 현상의 어떤 면을 강조하느냐에 따라서 크게 세 가지의 이론으로 나누어진다. 행동주의 사회심리학에서는 도덕성을 개별적인 사태 속에 산재하는 도덕적 행위의 종체, 또는 여러 가지 덕행이나 덕목의 총합체로 정의한다. 정신분석학에서는 성격을 구성하는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 중에서 초자아를 양심이라고 부르면서 이것을 도덕성으로 간주한다. 인지발달이론에서는 도덕성이란 가치 갈등상황에서 보여 주는 도덕적 판단 혹은 도덕적 추론 능력으로서 인지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질적으로 변해간다고 본다. 정리하면, 행동주의 사회심리학 입장은 도덕적 습관의 문제에, 정신분석학 입장은 도덕적 양심의 문제에, 인지발달론 입장은 도덕적 판단의 문제에 보다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도덕성 관련 연구들 >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